사서오경(四書五經)
중국에서 유가(儒家)의 기본적 경전(經典)의 총칭. 사서(四書)란 중국의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의 4책을 말하며, 오경(五經)은 유교의 다섯 가지 경서(經書), 즉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말한다.
【사서】
사서(四書)란 중국의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의 4책을 말한다. <대학> <중용>은 원래 <예기(禮記)>의 편명(編名)으로, 단행본이 아니엇으나, 남조(南朝) 송(宋) 나라의 대옹(戴顒)이 <중용전(中庸傳)> 2권을, 송(宋) 나라 무제(武帝)가 <중용강소(中庸講疏)> 1권을 짓고, 또 송나라 정자(程子)가 <대학> <중용>을 중요시하여 사마광(司馬光)이 <대학광의(大學廣義)> <중용광의(中庸廣義> 각 1권을 지은 후로부터 단행본으로 되어 주(注)를 다는 자가 많아졌다.
그 후 주자(朱子)에 이르러 <논어> <맹자>와 합할여 사서(四書)라 칭하고, <四書章句集解)> <사서혹문(四書或問)>을 지었다. 학용논맹(學庸論孟)이라 하며, 성인(聖人)의 가르침의 요령을 얻은 것이라 하여 존중되었다.
우리나라에도 일찍이 유교와 함께 들어와 유가(儒家)들의 필독서가 되었으며, 특히 백제 때 왕인(王仁)이 일본에 <논어>를 전한 일은 유명하다.
【오경(五經)】
유교의 다섯 가지 경서(經書).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말한다.
오경(五經)이란 한대(漢代)에 중시된 <시(詩)> <서(書)> <역(易)> <《예기(禮)> <춘추(春秋)> 5서에서 기원된 것이다. 당시 <서(書)>는 <금문상서(今文尙書)>, <예(禮)>는 <의례(儀禮)>, <춘추(春秋)>는 <공양전(公羊傳)>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그 후 오경은 <모시(毛詩)> <고문상서(古文尙書)> <역경(易經)> <예기(禮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5서로 한정되었다. 당대(唐代)의 공영달(孔穎達) 등에 의한 관찬 주석서 <오경정의(五經正義)>의 성립으로 오경의 내용은 앞의 5서, 즉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로 확정되었다.
여기에 <악기(樂記)> 또는 <주례(周禮)>를 넣어 육경(六經)이라 한다.
☞<육경(六經) : 6종의 경서(經書). 곧 <역경(易經)> <서경(書經)> <시경(詩經)> <춘추(春秋)> <예기(禮記)> <악기(樂記)>를 말한다. <악기>는 진(秦) 나라 때 없어지고 그 나머지를 오경(五經)이라 한다.
788년(신라 원성왕 4)에 신라 태학(太學)에서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란 과거 비슷한 제도를 둘 때 오경(五經)ㆍ삼사(三史: 史記ㆍ漢書ㆍ後漢書)ㆍ제자백가(諸子百家)에 정통한 자가 있으면, 순서를 뛰어 등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에도 그 이전에 전래하여 유행했음을 알 수 있고, 그 후에도 계속하여 읽혀졌으며, 특히 조선에 들어와서는 유학(儒學)의 극성과 함께 사대부(士大夫)들의 필독서로 되었다. (이홍직: <국사대사전>)
'자녀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열자(列子) (0) | 2010.10.25 |
---|---|
[스크랩] 전체주의(全體主義.totalitarianism) (0) | 2010.10.25 |
[스크랩] 에피쿠로스학파(Epicurean school) (0) | 2010.10.25 |
[스크랩] 도그마(dogma) (0) | 2010.10.25 |
[스크랩]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 (0) | 2010.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