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정겨운 옛날 사진들 (1)전형적인 옛날 농가 (2)모기장 피서 (3)암닭과 병아리 (4)새참 내가기 (5)시냇가 물놀이 (6)얼음 배달 (7)"여치집 사세요" (8)만원 기차(외부) (9)만원 기차(내부) (10)원두막 (11)도리깨 타작 (12)마을 징검다리 (13)초가지붕 잇기 <출처;empas 고인돌>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아름다운 학창시절의 추억 가마솥의 누룽지가 생각 나군요 시험시간 컨닝 못하게 가방을 두었죠 청소도 하고 아름다운 놀이 뻥튀기를 기다리는 동심 뭐니뭐니 해도 말뚝박기가 최고였죠 교실에서 먹는 도시락 최고의 맛이였죠 동생을 돌봐주는 누나 괜시리 지나가는 여고생 보면 못살게 굴었죠 공부도 열심히 했죠 <출처;empa..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1956년 우리나라 최초의 패션쇼 1956년 10월29일 미국에 건너가 공부하고 돌아온 패션 디자이너 노라노(노명자)씨가 폐션쇼를 연것이 최초의 패션쇼로 알려져 있다 이당시의 패션은 허리가 잘룩하게 보이는것이 특색이다 매우 고풍스럽기도 하다 <출처;empas 고인돌>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100년전 장터와 장인 다듬잇방망이 만드는 노인 다듬이질에 쓰는 방망이를 깎는 노인. 남의 집 앞에 좌판을 벌였다. 연장으로 나무를 깎고 매끄럽게 다듬는 일에 몰두하는 모습에서 장인 정신이 느껴진다. 목재소 긴 톱으로 나무를 자르는 광경. 목공 둘이 위아래에서 톱을 마주잡고 끌고 당기며 나무를 켜고 있다. 주위에..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고종황제 고종황제 고종황제 고종황제 고종황제 고종황제 고종황제 고종과 순종.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가 입었던 붉은색 곤룡포 차림으로 1890년무렵의 모습이다. 아직 국호가 대한제국으로 바뀌기 전이라, 고종이 황제가 아니기 때문에 황룡포가 아닌 홍룡포 차림이다 고종황제와 신하들의 모습. 1910년 한일병..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조선왕조 사진전 홍지문은 한북문이라고도 하는데,인왕산 뒷 편 끝자락에 있는탕춘 대성의 성문이다. 홍지문 문루와 오른쪽의 홍지문 스 튜디오에서 촬영한 풍속 사진. ‘조선 풍속’엽서에 실린 사진 중 상당수는 스튜디오에서 조선인 모델을 고용해 찍은 것으로 추측된다 . 무대 배경에는 서구식 장식물이 등장하고..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백년전 한국 담은 생생한 사진들 백년전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생한 일상이 담긴 사진이 공개됐다. 미국 남가주대(USC) 한국학 도서관은 홈페이지(www.dsc.edu/isd/korean)에 1900년대 초반 한국의 모습을 담은 사진 160여 점을 선보였다. 이 사진들은 1908년부터 14년간 한국서 선교사로 활동했던 코윈 테일러 목사 부부가 찍은 것으로 테일러 목..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마지막 황실, 대한제국' 사진전 ★...(사)황실문화재단 주관으로 3일부터 내달 14일까지 전북 전주 한국소리문화의 전당에서 '마지막 황실, 잊혀진 대한제국'을 주제로 사진전이 열린다. 사진의 주인공인 덕혜옹주는 1912년 고종의 고명딸로 태어나 이혼, 딸의 자살 등 비극을 겪었으며 1989년 세상을 떠났..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
[스크랩] 사라져 간 것들 ( 사라져 간 것들 부엌 아궁이에 불 지필 때 쓰던 풍로... 할머니 어머님이 쓰시던 다리미와 인두... 되(곡식을 사고 팔 때 쓰던 되와 말)... 양은 도시락과 목 도시락... 다식판(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 다식판(떡.다식을 눌러 박아내는 틀)... 장군과 지게... 화장대 위의 목침... 나무로 만든 나막신... .. 이야기테크/빛바랜 사진이야기 2008.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