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촬영의 기초(노출이란?) http://www.pan-focus.com/education/basic/depth/1.jpg 노출이란 간단한 기술로서 한 장면의 광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라 렌즈의 조리개를 조정한다. 그러나 앤슬 아담스는 "인간의 미학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은 단순한 수치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한 장면속의 각 인물이나 피사체를 카메라나 필름의 관계속에서 평..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3요소에 의한 배색 제목없음 두가지 이상의 색을 배합하는 것을 배색이라 하며, 한 가지 색에서 느끼지 못한 새로운 느낌을 얻는다. 배색을 할 때에는 색의 3요소와 기타 성질들을 고려하여 그 디자인의 사용목적에 맞고 아름답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색은 명도의 배색, 색상의 배색, 채도의 배색 등이 있다. 명도나 채..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앵글(카메라 위치) 찍는 위치에 따른 사진 이미지의 변화(Angle) 1. 눈 위치(Eye angle) 찍고자 하는 물체와 같은 높이에서 찍는 방법을 말한다. 자연스런 사진을 얻고자 할 때 좋은 위치다. 그러나 자칫 평범한 사진이 되기 쉽다. 2. 높은 위치(High angle) 찍고자하는 물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내려다보며 찍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프레이밍 요령 프레이밍 요령 프레이밍은 사진 촬영의 끝마무리로 사진기 파인더를 통해 찍고자 하는 물체의 범위를 결정하고 한 순간을 잡아내는 작업이라고 앞에서 얘기를 했다. 결국 사진에서 구도는 찍는 순간 결정이 되며 프레이밍은 곧 사진의 구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아무리 하찮은 것을 찍었더라도 한 장..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라이팅 라이팅색온도 : 눈에 보이는 빛은 전체의 전자기 스펙트럼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가시광선을 하얀 빛으로 인식하지만 사실은 짙은 파랑에서 밝은 빨강에까지 파장이 0.000016에서 0.000028인치 사이에 걸쳐 있는 것으 로, 이것이 혼합된 상태를 하얀 빛으로 여기는 것뿐이다.가시 스펙트럼 ..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억새와 갈대 촬영 기술 억새와 갈대 촬영 기술 억새와 갈대 촬영법 가을에 피는 억새와 갈대꽃은 다른 꽃이나 열매와 달리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아침이나 저녁 햇살에 반짝이는 억새꽃은 순수한 천사의 마음과 같은 깨끗한 인상을 줘서 누구나 좋아하는 풍경이다.그러나 억새나 갈대를 사진으로 표현하기는 쉽지 ..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플래쉬활용2 [Digital Tip2]실내에서 인물사진 제대로 찍기 [Digital Tip2]실내에서 인물사진 제대로 찍기 실내에서 인물 사진 제_대_로_ 찍기 "실내에서 찍으면 사진이 너무 많이 흔들리거나 어두워서 안 보여요" 어두운 사진, 흔들린 사진, 하얗게 번져버린 사진 등. 실내에서 찍은 사진은 그 결과물도 찍은 사람만큼이나 ..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플래쉬활용1 [Digital Tutor2]플레쉬 촬영모드의 활용 1 [Digital Tutor2]플레쉬 촬영모드의 활용 1 - 플레쉬 촬영모드의 활용 1 - 양재문(신구대 교육원 교수) 플레쉬는 사진촬영의 영역을 더욱 넓힐 수 있는 필수품이다. 플레쉬는 단순히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보다 창의적인 수단으로 쓰일 수도 있다...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풍경사진1 1. 하늘의 풍경 == 일출 사진소재로서 동쪽하늘을 물들이며 서서히 솟아오르는 태양만큼 매력적인 것은 없을 것이다. 떠오르는 태양은 매일 그 모습을 바꾸기 때문에 같은 해돋이를 마추칠 수는 없다. 밋밋한 바다에서 떠오르는 태양은 너무 평범하기에 수면 반사등을 고려하여 조금 높은 위치에서 찍..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
[스크랩] 풍경 사진 촬영의 기초지식 풍경 사진 촬영의 기초지식 풍경 사진 촬영의 기초지식 사진촬영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많이 다루는 주제가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단연 우세하다. 자연의 웅장함과 현상의 아름다움, 인공적인 것과 이루어져 발생하는 멋드러짐이 이 유가 되어 많은 소재가 된다.또한 자연환경은 인간과 가장 긴.. 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2009.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