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취득하면 부동산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ㆍ군ㆍ구청에 세금을 내야한다.
과연 무슨 세금을 얼마나 내야하는 걸까?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부동산이 소재하는 관할 시ㆍ군ㆍ구청에 취득세를 신고ㆍ납부해야 한며, 이 기한 내에 취득세를 신고ㆍ납부하지 않으면 신고불성실(20%) 및
납부불성실(1일 0.03%)의 가산세를 추가로 물게된다.
취득한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등기를 하는 경우에는 등록세를 납부하고
그 영수증을 등기신청서에
첨부해야
한다.
취득세를
납부할 때는 취득세액의
10%에 상당하는
농어촌특별세를 함께 납부해야 한다. (※취득세ㆍ등록세를
감면받는 경우는 감면세액의 20%)
등록세를
납부할 때는 등록세액의
20%에 상당하는
지방교육세를 함께 납부해야 한다.
취득세
등의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
)는 주택유상거래분(취득세
50%, 등록세 50% 경감)
예를
들어 홍길동씨가 건설회사로부터 아파트를 2억원에 분양 매입하고 취득세 등을 신고하는 경우에는
▲
취득세 2,000,000원 등록세 2,000,000원, ▲
농어촌특별세 1,000,000원 [(취득세
2,000,000×10%)+(취득세ㆍ등록세 감면세액 4,000,000×20%)] ▲
지방교육세 400,000원 ⇒
합계 5,400,000원의 세금을 내야 한다.
이
밖에도 부동산을 취득하면 중개업자에게
중개수수료,
법무사에게
등기대행 수수료 등을 지불해야
하며, 또한 국민주택채권도
매입해야한다.
자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채권을 팔아서 필요한 자금에 충당할 수 있다.
이같이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세금과 각종 비용을 합쳐 취득가액의 약 10%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다.
그러므로 거래금액 외에 추가로 10% 정도의 여유자금을 준비하고 있어야 차질 없이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다.
위
내용에 대한 문의는 해당 시ㆍ군ㆍ구청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