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버섯이야기

[스크랩] 꽃송이버섯의 연구 자료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9. 22:12

 

꽃송이버섯 개요

 

:: 학명 : Sparassis crispa Wulf. ex Fr.

:: 분류 : Sparassidaceae과 Sparassis속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호주 등

:: 형태 : 흰색, 담황색의 꽃양배추 모양

:: 발생 : 8-9월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의 뿌리부근 땅위나 그루터기

:: 맛 : 씹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 같은 은은한 향

 

세계의 야생 꽃송이버섯 


한국


일본


유럽


북미

 

:: 자실체의 색과 모양이 조금 다르지만 1속 4종이 보고

  - Records of Pennsylvania Fungi

  - Sparassis crispa, spathulata, radicata, herbstii, laminosa, brevipes, simplex, nemeccii 등.

 

 

◎ 세계 유일의 양성인 버섯!!

      - 버섯류, 인삼류 등은 음지에서 자라는 음성인 식물인데 반해 꽃송이버섯은 하루 최소 10시간 이상 조도를

         받고 자라는 양성인 버섯입니다.

 

  ◎ 경이로운 면역강화 물질 베타(1-3)D 글루칸 최고 함유!!

      -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아가리쿠스, 상황버섯에 함유된 총 베타글루칸 함유량을 비교한 결과 4배 이상

         높았으며, 특히 베타글루칸 중  베타(1-3)D 글루칸 함량은 무려 300~400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어

         경이롭다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먼저 glucan이라는 것은 다당류의 일종이다. 다당류라는 것은

포도당이나 과당 등 당류가 최소단위로 단당이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다당류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 중에서 glucan의 특징은 포도당만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당류인 glucan에는 종류가 두가지 있다. 한가지는 알파글루칸이라고 하며, 다른 한가지가 베타글루칸이다.

그 차이는 단당이 결합하고 있는 방식에 의해 생긴다. 단당이 서로 알파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파글루칸, 베타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베타글루칸이라고 부른다. 알파glucan도 베타glucan도 점성이 있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그러나 면역세포의 활성화라는 점에서는 전혀 기능이 다르다. 같은 glucan이라도 알파glucna에는 면역활성기능이 전혀 없고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은 오로지 β-glucan 뿐

이다.

 

또한 β-glucan 중에서도 단당의 결합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생긴다. 면역활성기능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그 다양한 종류 중에서도 특히 "β-glucan (1-3)(1-6)"이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고는 충분한 면역

활성기능이 기대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β-glucan에는  '(1-3)결합', '(1-4)결합', '(1-6)결합' 등으로 불리는 여러 가지 결합 방식이 있다. 이 1과 3이라는 숫자는 포도당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원자에 붙여진 번호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포도당의 1번탄소와 3번탄소가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β-glucan (1-3)", 1번탄소와 6번탄소가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β-glucan (1-6)"이라고 부른다. 또한 β-glucan의 구조는 나무의 그것과 비슷해서 줄기와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나무로 말하면 줄기를 이루는 부분을 주쇄라고 부르며, 가지를 이루는 부분을 분지라고 부른다. 결국 "β-glucan (1-3)(1-6)"이라고 하면β -glucan 중에서도 특히 주쇄의 부분이 "(1-3)" 형의 결합을 하고, 분지의 부분이 "(1-6)"형의 결합을 하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으로 되어있지 않으면 충분한 면역활성기능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1. 면역감시기구의 종류

 

  인체의 면역기능에는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이 있다. 체액성 면역은 세균,   바이러스 등 항원이 체내에

  들어왔을 때 그 항원을 분해ㆍ제거하기 위해 항체  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한편 세포성 면역은 어느 항원에 반응하는 세포(림프구)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면역감시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중 암세포를 제거하는 암에 관한 면역에서는 체액성 면역보다 T림프구를 중심으로 한 세포성 면역

  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세포성 면역은 암세포를 파괴하는 기능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정상세포에는 없고 암세포 표면

  에만 존재하는 항원(암특이항원)을 표적으로 하여 세포를 파괴하는 암항원 특이적 기구로, 항체의존 세포매개

  세포독성(ADCC)을 갖는 살해세포(Killer cell)에 의해 주도된다.

  

  다른 하나는 암특이항원과 무관하게 암세포를 파괴하는 암항원 비특이적기구인데, 자연살해 세포(Natural

  Killer, NK)와 림포카인 활성살해세포(Lymphokine-Activated Killer, LAK)가 대표적이다.

  면역요법의 목적은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암항원 특이적기구와 암항원 비특이적기구를  강화시켜 암세포

  파괴를 도우려는 것이다.

 

   ◎ 면역감시기구와 암의 발생 ◎

 

2. 면역감시기구의 역할

  우리 몸에 생긴 암세포의 99% 이상은 면역감시기구에 의해 억제 또는 파괴된다. 그런데 이 면역감시기구를

  교묘하게 빠져나간 암세포 하나가 증식하고 전이를 일으켜 우리 몸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생명까지도 앗아간다.

  암세포를 이물로 인식하여 파괴하는 면역감시기구의 방어체계는 정상세포가 악성화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단 악성화한 세포를 이물질로 인식하여 파괴함으로써 암의 발생과 전이를 억제하고 수술 후에는

  재발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3. 우리 인체의 면역감시기구는 어떻게 암세포를 제거하는가 ?

  우리 인체의 면역감시기구가 얼마나 철저하게 암세포를 제거하는지를 알게 되면, 암 환자가 기대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이고 강력한 아군은 역시 체내의 면역기구라는 사실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했을 때 암세포 표면에는 정상세포에서 볼 수 없는 이물질, 즉 암세포 특유의 암특이

  항원이라는 낯선 단백질이 출현한다.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면역기구가 어떤 물질을 자신의 것이 아닌 남의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우리 인체의 면역감시기구는 이런 이상한 단백질을 발견하면 이물질을 남의 것으로 인식하여 암세포를 공격

  하기 시작한다.

  암특이항원을 맨처음 발견하는 것은 혈액의 흐름을 따라 끊임없이 우리 몸을 순찰하고 있는 마크로파지라

  불리는 대식세포다. 대식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에게 목표물을 알려주어 공격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는 왕성한 식욕이 있어서 암특이항원을 잡아먹은 후 분해하여 이를 자신의 세포 표면에 있는

  MHC분자와 결합시켜 림프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로써 T림프구가 항원과 반응할 수 있게 된다.

 

  대식세포(항원전달세포)는 자신의 세포 표면에 주요 조직적합 복합체(MHC) 제일항원 분자와 제이항원 분자

  를 모두 가지고 있다. 대식세포는 이물질인 암특이항원을 잡아먹은 후 세포 안에서 펩타이드라 불리는 단백질

  로 분해한 후 세포 표면에 있는 MHC 제이항원과 함께 내놓아 보조 T림프구 전달하게 된다.

  면역반응이 일어나려면 이처럼 항원전달세포에 의해 항원이 보조 T림프구에 전달되어야 한다.

  대식세포 표면의 MHC 제이항원-펩타이드결합체와 반응한 보조 T림프구는 활성화되어 증식하면서 인터루킨

  -2 등의 사이토카인을 생산ㆍ분비하는데, 이 사이토카인이 세포독성 T림프구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파괴

  한다.

 

  세포독성 T림프구는 세포성 면역반응을 수행하는 세포인데, 그 행동세포인 살해세포가 암특이항원과 결합함

  으로써 표적이 되는 암세포를 공격ㆍ파괴한다. 또 활성화된 보조 T림프구는 B림프구가 형질세포로 분화해

  항체를 생산하도록 도와준다. 암특이항원과 이에 대한 항체가 결합하면 여기에 보체가 부착한다. 보체는 항원

  과 항체의 복합체에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서 보체의 성분이 연쇄적으로 활성화되어 암세포막을 관통시켜 암

  세포를 용해시켜 버린다. 한편 자연살해세포는 암특이항원의 인지가 필요 없으므로 암세포 출현시 즉각 공격

  하여 파괴할 수 있다.

 

  사람에게서 자연 발생한 암세포의 항원성은 아주 미약하기 때문에, 면역기구가 이를 인지하여 반응을 일으키

  려면 암세포가 증식하여 항원량이 어느 정도 증가해야 하므로 며칠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T세포는 암

  발생 초기에는 면역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암세포가 어느 정도 증식했을 때부터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암특이항원의 인지가 필요 없는 NK세포는 암세포 수가 극히 적은 초기 단계에 이를 공격하는 주된 세포다.

  암세포가 파괴되면 억제 T세포가 활성화되어 세포독성 T림프구의 작용을 억제하고, 또 항체 생산을 억제함으

  로써 비로서 이와 같은 일련의 면역반응은 완료된다.

  * 암세포를 제거하는 면역감시기구의 면역 반응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식세포가 암특이항원을 잡아먹은 후 분해 산물을 자신의 세포 표면에 제시한다.

    ② 항원을 인지한 보조 T림프구가 활성화되고 증식하면서 사이토카인(인터페론-감마,인털루킨-2)을 만들어

        내어 세포독성 T림프구를 활성화한다. 즉 대식세포의 지령에 따라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세포

        독성 T림프구가 작동된다.

    ③ 세포독성 T림프구의 행동세포인 살해세포가 표적이 되는 암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한다.

    ④ 보조 T림프구는 B림프구를 도와 항체를 생성함으로써 암세포를 파괴한다.

    ⑤ NK세포는 암세포를 발견하면 아무런 조작 없이 즉시 암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한다.

    ⑥ 암세포가 파괴되면 억제 T세포가 활성화되어 면역반응은 종료된다

 

 

 

면역이란 스스로의 몸을 자동적으로 내외의 적(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이물질)으로부터 지키는 뛰어난 고도의

   생체방어 시스템이다. 넘어져서 생긴 발의 상처나 감기에 걸렸을 때 이렇다 할 치료를 하지 않아도 며칠 후에

   는 원상으로 치유된다.

   이러한 경험은 누구나 갖고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면역력이며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자기치유

   력(自己治癒力)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면역의 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호중구(好中球), 단핵백혈구(單

   核白血球), 마크로파지(貪食細胞) 등의 원시세포(原始細胞)나 NK세포, 킬러T세포, 헬퍼 T세포라는 백혈구의

   동지들이다.

 

   적(유해물질)을 발견하면 이들이 연대해서 일제히 공격을 개시해 전멸할 때까지 투쟁을 벌인다. 그 중에서도

   마크로파지는 외부로부터의 침입자 뿐만 아니라 암처럼 체내에서 생겨난 이물질에 대해서도 유효한 공격을

   퍼붓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몸 속을 24시간 태세로 쉬지 않고 순찰을 하고 있으며 제아무리 작은 이물질이라도 발견해내면 즉각 습격해

   먹어치운다. 뿐만 아니라 암세포처럼 억센 강적을 만났을 경우는 이물질의 정보를 다른 면역세포에 전달해

   동원을 촉구, 총공격을 감행한다.

 『 β (1-3)D glucan』은 이 마크로파지의 활성을 높이는 특별한 힘을 갖추고 있다.  암의 예방, 개선효과를

   가장 기대할 수 있는 선진의 면역활성 물질 중의 하나라 할 수 있겠다.

   미국 연구기관에서 증명 이제 암과 맞서 과감히 싸우는 『  β(1-3)D glucan』의 뛰어난 성능은 대강 짐작했

   으리라 믿는다. 그렇다면 이용하는 측, 즉 환자들이 신경쓰이는 일이 몇 가지 있을 것이다.

 

   1> 어떻게 과학적으로 유효성이 증명되는가?

   2> 부작용 등의 안전성은?

 

   이 자리에서는 이상의 두 가지에 대해서 보고할까 한다.

 『 β (1-3)D glucan』의 연구가 가장 앞선 나라는 미국이다. 암에 대한 유효성(면역강화작용)에 대해서도 수

   많은 저명한 연구기관에서 분명히 밝혀내고 있다. 그 중에서 권위 있는 보고서를 소개한다면,

 

   1)『β (1-3)D glucan』은 마크로파디의 활성을 일으키는 작용에 의해 여러가지 미생물의 공격에

      대한 저항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킨다.

                                                                                                   (하버드 대학 의학부 : J.K.시좁박사)

 

      마크로파지는 면역시스템의 강력한 전사이면서 사령관이기도 한 중요한 면역세포.암세포와의 싸움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다 하고 있다.

     『β(1-3)D glucan』을 사용한 결과, 예상대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에 대한 저항력은 증가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β(1-3)D glucan』은 치료제로써 유효하다고 할 수 있겠다.

 

   2)『β(1-3)D glucan』은 동물이나 식물에 갖춰져 있는 면역조직의 한 요인인 마크로파지의 활성

      물질이다. 효모에서 추출한 glucan (β(1-3)D glucan)의 실험동물에 대한 투여는 마크로파지를

      자극하는 작용에 의해 치사성을 가진 갖가지 병원균에 대한 숙주저항(宿主抵抗)을 유발시켰다.

                                                                                              (하버드 대학 의학부 : M.J.야누스 박사)

 

                                                                                                         (미국 육군 방사선생물학연구소)

       생체에 치사량의 방사선을 투여하게 되면 골수를 파괴하고 면역시스템의 중핵(中核) 백혈구(白血球)를

       격감시키게 된다. 그러기 때문에 통상적인 경우라면 감마 방사선을 쬐인 쥐는 100% 사망하는 것이 상식이

       다.

       이 결과에 놀란 스탭이 더욱 연구를 진전시킨 결과 『β(1-3)D glucan』이 방사선의 해로부터 마크로파지

       를 지키며 활성화시킴으로써 방사선 장애를 억제한다는 매카니즘의 존재가 해명됐다.

      『β(1-3)D glucan』의 경이적이라 할 수 있는 면역활성작용에 주목한 동 연구소에서는 본격적인 연구를

       계속, 나아가서는 국가적 프로그램으로써『β(1-3)D glucan』의 제조, 보급에 나선다는 야심찬 계획이

       추진 중에 있다.

 

       외과수술, 방사선조사, 항암제 투여에 이은 제4의 암 치료법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면역력

       강화 요법』이다.

       "암은 면역병이다"라는 인식이 중요하다. 즉 면역체계가 무너져서 오는 병이 암 인 것이다. 암을 퇴치하는

        면역군단의 메커니즘 중 가장 중요한 성분이 β(1-3)D glucan 인 것이다

        이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는 버섯이 좋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출처;tong.nate.com/notemanh>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