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연기색 만가닥버섯이 자라는 모습 연기색 만가닥버섯 [Scientific name] Lyophyllum fumosum [학명] - Lyophyllum fumosum (Per. ex Fr.) Kuhn. [분류] -균심균류(Hymenomycetidae) 주름버섯목(Agaricales) 송이과 Tricholomataceae (1) 버섯의 특징 ◇ 육안적 특징 ○ 자실체 팽나무버섯류처럼 다발로 발생 ① 갓 18-45㎜, 초기에 반구형-반반구형, 성장하면 편평하게 펴지고, 종종 갓끝은 위로 반전하며, 규칙한 파상의 굴곡이 있다. 표면은 초기에는 평활, 성장하면 종종 방사상으로 섬유질 인편이 생긴다. 건성, 암회갈색-회색이나 후에 퇴색, 옅은 회갈색-회색으로 된다. 조직은 백색-담회색, 상처시 변색하지 않는다. 맛은 부드럽거나 약간 쓴맛이있고, 냄새는 불분명하다. ② 주름살 대에 완전 붙은주름살, 홈주름살-짧은 내린주름살, 약간 빽빽하며, 백색-옅은 회색, 주름살날은 평활 ③ 대 기부는 하나의 괴경상, 그 위에 다수 총생 하거나, 분지가 형성. 대는 24-85×3-11㎜ 원통형, 상하 굵기가같거나, 기부 쪽이 약간 굵다. 표면은 백색-옅은 회색, 평활하거나 종으로 섬유질이 있으며, 건조시에 견사상의 광택이 나고, 상부에는 백색의 분질이 있으며, 대부분 중심형이나 종종 편심형도 있고, 속은 차있다. ◇ 현미경 특징 ○ 포자문 백색 ① 포자는 5.2-6.5×4.8-5.8㎛, 유구형-구형, 표면은 평활, 멜저용액에서 비아밀로이드 ② 담자기는 38.5-44.3×7.4-9.5㎛ 곤봉형, 4-포자형, 기부에 협구가 있으며, siderophilous granules를 내포하고 있다. 시스티디아는 없고, 자실층 조직은 평행형. 갓표피상층은 2-4.3㎛인 균사로 구성, 갈색색소가 있고, 격막에 협구가 있다. (2) 식용가능성 : 식용. (3) 발생시기 및 장소 : 가을에 참나무림 또는 소나무와 혼합림의 지상에 군생 또는 속생, 외생균근성. (4) 분 포 : 한국, 일본,유럽 등 북반구 온대 (5) 관 찰 : 연기색 만가닥버섯은 가을에 주로 참나무림의 지상에 회갈색-회색의 다발성으로 발생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
<출처;yahoo 강산맨 (life1199)>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
'코리아테크 > 버섯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말굽버섯 (0) | 2008.09.09 |
---|---|
[스크랩] 말불버섯 (0) | 2008.09.09 |
[스크랩] 장수버섯 (0) | 2008.09.09 |
[스크랩] 야생 싸리버섯 (0) | 2008.09.09 |
[스크랩] 당귀 젖버섯 (0) | 2008.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