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버섯이야기

[스크랩] 최경숙선생의 음식이야기 "버섯밥"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10. 06:35

 
지구상에는 500여종이 넘는 버섯이 있고 식용 가능한 것들은 80여종이라고 한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시대부터 야생버섯을 채취했다는 기록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사기" 신라 성덕왕 시대에서 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버섯은 "세종실록"을 보면 세종대왕 시대에 식용버섯으로 송이 ?표고 ?진이(眞耳) ?조족이(鳥足耳), 약용버섯으로 복령 ?복신(茯神)의 주산지까지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전부터 버섯을 많이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수분함량은 80~90% 정도이고, 단백질과 지방이 적고 칼로리가 없다. 마른 버섯에는 비타민 B2, 비타민 D의 모체인 엘고스테린이 많이 들어 있다. 항암효과가 있고 혈액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현대인의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건강 식품이다.
버섯은 고기와 어우러지면 맛이 좋아져, 버섯밥의 양념장은 쇠고기 양념장으로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늦은 봄에는 표고 버섯 갓이 갈라진 화고, 겨우내 살이 오른 탐스런 동고를 슈퍼마켓에서 구할 수 있다. 일본식 버섯밥은 버섯의 향을 살리는 것이라 가을 버섯이 좋지만, 한국식 버섯밥은 육질의 씹히는 맛이 좋은 봄 버섯으로 만들어 양념장을 곁들여 낸다.
재료(4인분)
쌀 1.5컵, 찹쌀 1/2컵, 표고 4개, 양송이 4개, 만가닥 버섯 100g, 물 2컵, 굵은 소금 약간
만드는 법
1. 쌀 씻어 불리기
쌀과 찹쌀은 함께 씻어 물에 넣어 30분 정도 불린 후 체에 받쳐 물기를 뺀다.

2. 표고 살짝 구어 썰기
표고는 껍질의 지저분한 것만 칼끝으로 살짝 벗긴 후 기둥을 떼고 그릴에 살짝 구워 얇게 썬다.
생표고는 구우면 향이 살아나고 육질이 쫀득해진다.

3. 양송이&만가닥버섯 손질하기
양송이는 굵은 소금을 뿌려 손으로 가볍게 원을 그리면서 표면을 씻은 후 0.5츠 두께로 썬다. 만가닥 버섯은 깨끗한 물에 2~3회 씻은 후 가닥을 뗀다.

4. 안치기
불린 쌀과 찹쌀을 전기밥솥에 담고 안쪽의 숫자 2에 맞춰 물을 붓고 그 위에 손질한 버섯을 올린 후 전기밥솥에서 예열 없이 밥짓기 단계의 버튼을 누린다. 밥이 완성되는 동안 쇠고기의 양념장을 만들어 그릇에 따로 담아 곁들인다.
재료
다진 쇠고기 100g, 청주 1큰술, 끓는물 1/2컵, 고기양념( 간장 1큰술, 다진마늘 1/8큰술, 참기름 1/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간장 6큰술, 맛간장 4큰술 / 다진마늘 1작은술, 다진 청양고추 2큰술, 다진 부추 1/2컵, 송송썬 쪽파 4큰술, 참기름 2큰술, 통깨 2큰술
만들기
1. 다진 고기는 분량의 양념장으로 양념하여 볶는다. 고기가 반쯤 익었을 때 청주를 붓고 청주의 알코올이 날아 가면 끓는 물을 붓고 중간 불에서 3분 정도 끓인다.

2. 위의 조린 고기에 간장, 맛간장, 다진 마늘을 넣어 끓이다 한번 부르르 끓으면 불에서 내린 후 다진 청양고추, 다진 부추, 다진 마늘, 고춧가루, 송송썬 쪽파, 참기름, 통깨를 넣어 섞는다.


 

 

 

 

<출처;tong.nate.com/source4313>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