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란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명칭 |
풍란은 식물학적 분류로 반다족에 속하는 기근성 난으로 전세계에 1속 1종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에도시대(1603~1865)로부터부유한 사람이 기르는 난이라는 뜻으로 부귀란이라고 하였다. |
영 문 : Neofinetia falcata Hu |
한 문 : 風蘭, 부귀란(富貴蘭) |
|
재배역사 |
풍란은 17C 초엽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는 문헌상으로 1798년 김정견이 저술한 [재물보(才物譜)]에 풍란에 관한 기록이 있고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로 추정된다. |
|
자생지 |
풍란은 주로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지에서 자생되고 중국대륙 남부와 도서지방, 일본의 규슈 및
오키나와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개체가 분포한다. |
|
주요품종 |
풍란의 픔종으로는 엽예품과 화예품, 기종 등으로 나뉘며 엽예품으로는 복륜(覆輪)계열, 호(縞)계열, 중투(中透)계열, 산반(散班)계열, 호반(虎斑)계열, 서(曙)계열, 기타 특수무늬 등으로 나뉘며 화예품으로는 적화계(赤花系), 홍화계(紅花系)가 있고, 기종(畸種)은왜성종, 두엽, 단엽종과 영충검엽종(鈴蟲劍葉種), 입엽종(立葉種)이 있다. |
|
엽예품 |
ㄱ) 북륜계열 | ||||||||||||||||||||||||||
| ||||||||||||||||||||||||||
ㄴ) 호계열 | ||||||||||||||||||||||||||
| ||||||||||||||||||||||||||
ㄷ) 중투계열 | ||||||||||||||||||||||||||
진학 | ||||||||||||||||||||||||||
ㄹ) 산반계열 | ||||||||||||||||||||||||||
팔중의, 우의 | ||||||||||||||||||||||||||
ㅁ) 호반계열 | ||||||||||||||||||||||||||
백모란, 봉황전, 고의, 당금, 설산, 남해설호 | ||||||||||||||||||||||||||
ㅂ) 서계열 | ||||||||||||||||||||||||||
화의 | ||||||||||||||||||||||||||
ㅅ) 특수무늬 | ||||||||||||||||||||||||||
금광성, 일월복륜, 홍선 |
|
화예품 |
ㄱ) 적화계 |
주천완, 동천홍, 성성 |
ㄴ) 화계 |
도원 |
ㄷ) 황화계 |
춘급전, 대팔주 |
|
기종 |
ㄱ) 왜성종 |
무학, 두금강, 옥금강, 두환, 정지송, 임대붕, 금공작 등 |
ㄴ) 영충검엽종 |
영충검, 비충, 우약환, 변경환 등 |
ㄷ) 입엽종 |
청축조선철 |
ㄹ) 관엽종 |
안마울두, 보울두(사천용), 귀보청 등 |
ㅁ) 광엽종 |
청용사자, 낭화사자, 수파사자 |
ㅂ) 만곡엽종 |
청해(청해파), 사청해, 대파청해 등 |
ㅅ) 갑룡엽종 |
기주갑룡, 기린환, 사자갑룡 등 |
ㅇ) 라사지엽종 |
금은라사, 공작환 등 |
|
생태적 특성 |
|
형태 및 특성 |
풍란은 위구경이 없고 수분과 양분을 잎과 뿌리에 저장한다. 잎은 줄기를 중심으로 년에
좌우로 |
|
기후적응 |
풍란의 생육적온은 20~25도 범위이고 겨울철 온도가 5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공중습도는 80~90% 정도에서 잘 자란다. |
번식 |
포기나누기와 종자에 의하여 번식하는데 포기나누기는 3~4월이 적기이며 2~3촉 정도씩
분주 |
|
재배 및 관리 |
|
온습도 관리 |
생육온도가 20~25도이고 겨울철에는 5~8도에서 휴면을 취하는 온대성식물이므로 겨울철에는 20도이상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주면 도장되거나 분열되지 않고 화아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
광 관리 |
풍란은 자연광의 30~60% 차광된 조건에서 잘 자라며 강한 직사광선이 쬐지 않는 곳에 재배하는 것이
좋다. |
|
시비관리 |
난과식물 가운데 풍란은 비료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지만 인공적으로 재배할 경우 생장이 왕성한 시기인
4~6월과 9~10월에는 어느 정도 시비를 하여 주어야만 정상적으로 잘 자란다. |
|
재배방법 |
풍란의 재배방법은 현공법(懸空法), 분식법(盆植法), 착생법(着生法)이 있다. |
현공법 |
옛날부터 많이 재배되어 오던 방식으로 <그림 4-3>과 같이 수태를 둥글게 감아 공중에 매달아 놓는 수태식과 대바구니에 수태를 기르는 죽람식이 있다. |
분식법 |
분식은 화분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방식으로 화분의 중간부분에 공간을 만들어 주는
공동식 |
착생법 |
요즈음 풍란재배가들이 이용하고 또 인기도 높은 재배방식으로 돌에 붙이는 석부식과 나무에 붙이는
목부식이 있는데 부착시기로는 5~6월이 알맞다. |
|
물관리 |
풍란은 착생란으로서 공기중의 습기를 이용하여 살아가므로 공중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
|
병충해 |
풍란은 선초(仙草)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병충해에 저항력이 강하고 무병 장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
'코리아테크 > 수석과 분재,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온도,습도, 채광 관리 (0) | 2008.10.03 |
---|---|
[스크랩] 나도(대엽)풍란 가꾸기 (0) | 2008.10.03 |
[스크랩] 보세란 가꾸기 (0) | 2008.10.03 |
[스크랩] 춘난의 관리방법 (0) | 2008.10.03 |
[스크랩] 한란의 관리방법 (0) | 200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