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수석과 분재,란,꽃

[스크랩] 풍란 가꾸기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10. 3. 09:53

 

 

풍란

 

   

 

목록

   

 

명칭

 

생태적 특성

 

재배역사

재배 및 관리

 

자생지

물관리

 

주요품종

 

병충해

 

 

 

 

 

 


   

명칭

풍란은 식물학적 분류로 반다족에 속하는 기근성 난으로 전세계에 1속 1종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에도시대(1603~1865)로부터부유한 사람이 기르는 난이라는 뜻으로 부귀란이라고 하였다.
동양에서는 바람을 좋아하고 공기 중에 있는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여 살아가는 난이라는 뜻으로 풍란이라고 하였고 또한 소엽풍란, 선초(仙草), 건란(乾蘭), 괘란(掛蘭), 현란(懸蘭), 발란(髮蘭) 등으로 불리고 있다.

영 문 : Neofinetia falcata Hu

한 문 : 風蘭, 부귀란(富貴蘭)

   

재배역사

풍란은 17C 초엽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는 문헌상으로 1798년 김정견이 저술한 [재물보(才物譜)]에 풍란에 관한 기록이 있고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로 추정된다.

   

자생지

풍란은 주로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지에서 자생되고 중국대륙 남부와 도서지방, 일본의 규슈 및 오키나와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개체가 분포한다.
우리 나라에는 제주도, 홍도, 흑산도, 거문도, 백도, 완도 등지에서 자생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산채와 자생지 생태계 파괴 등으로 멸종위기에 있다.

   

주요품종

풍란의 픔종으로는 엽예품과 화예품, 기종 등으로 나뉘며 엽예품으로는 복륜(覆輪)계열, 호(縞)계열, 중투(中透)계열, 산반(散班)계열, 호반(虎斑)계열, 서(曙)계열, 기타 특수무늬 등으로 나뉘며 화예품으로는 적화계(赤花系), 홍화계(紅花系)가 있고, 기종(畸種)은왜성종, 두엽, 단엽종과 영충검엽종(鈴蟲劍葉種), 입엽종(立葉種)이 있다.

엽예품

ㄱ) 북륜계열

어성복륜(御城覆輪)

입엽성(立葉性)이 중형종으로서 잎살이 두껍고 가늘며 잎의 매수가 많고 녹색 바탕에 순백의 대복륜을나타낸다.
번식력이 좋고 재배도 수월한 초보자용의 품종이다.

준하복륜(駿河覆輪)

중립엽성 소형종이며 복륜의 대표적 명화로서 초보자용이고 잎은 작지만 폭이 넓다. 출아시에는 담백의 복륜이고, 후에 광택이있는 녹색 잎에 순백의 복륜이 나타난다.

부귀전(富貴殿)

수엽성(垂葉性) 중형종으로서 잎폭이 넓고 잎살이 있으며 짜임새가 좋은 품종이다.
녹색잎에 유백색의 대복륜이 나타난다. 번식력이 약하기 때문에 귀하다.

만월(滿月)

평엽성의 중형종으로서 출아시는 황색복륜이고 생장하면서 유백색의 선명한 복륜으로 변한다.
잎의 골이 깊고 잎의 매수도 잘 나오고 노수엽(露受葉)이 섞인다.

천해복균(天惠覆輪)

입엽성 중형종이고 [어성복륜(御城覆輪)]이 황금복륜으로 변한것으로 중급품으로서 인기가 있다.

검용(劍龍)

백청룡(伯靑龍)에서 복륜으로 발전된 품종이다. 크기는 중형으로 입엽이다.
잎은 폭이 좁으며 끝이 뾰족하다. 선천적으로 나오는 무늬는 설백에 가까우며 흰무늬 부분은 얇아서 잘 탄다.
붙음매는 반달모양으로 붉은 기가 있는 이축이다. 겨울에는 잎 가장 자리에 선명한 부홍색이 착색되는 경우가 있다. 성질이 약하고 큰 포기로 만들기 어렵다. 어검(御劍).보검(寶劍)과 더불어 삼검종(三劍種)이라 한다. 등록 품종이다.

금갑복륜(金甲覆輪)

희엽(姬葉)으로 잎의 폭이 넓고 두터우며 윤기가 있는 극황색 복륜이다.
생육기인 가을까지는 약간 푸르지만 겨울에는 윤기가 있는 황금색으로 물든다. 붙음매는 반달형이며 이축에 이근이다. 성질은 약한 편이며 번식도 잘 안된다.
유령으로 나오가나 복륜이 되지 않은 촉은 빨리 자르는 것이 좋다. 등록 품종이다.

대동환(大洞丸)

대강환호(大江丸縞)가 담황색의 대복륜으로 변화한 것이다. 잎 폭은 넓고 중앙부가 빳빳한 목엽형(木葉型)으로 극황색인데 큰 포기가 드물다. 붙음매는 일문자에 가까우며 이축이다. 평균적으로 뿌리가 가늘며 끝이 붉다. 등록 품종이다.

보검

관설(貫雪)에서 변화한 품종으로 직도형의 잎에 설백의 심복륜이 나타나고 약간 안쪽으로 굽어진 활모양의 입엽이다.
축은 붉고 뿌리는 루비색이지만 적다색 뿌리도 섞여있다. 고정품은 적으며 겨울에 홍색으로 물든다.

수정복륜(水晶覆輪)

무늬의 경계가 뚜렷한 순백색의 복륜이다. 잎 가장자리가 예리한 중입엽이다. 잎 뒤에 점점이 뿌린 듯한 성반(星班)이 있으며 뿌리는 진한 다각색으로 혼탁하다.
겨울철에는 잎 가장자리에 붉은 안토시안색소가 가늘게 홍외로 나온다. 붙음매는 반달형이며 이축에 이근으로 등록품종이다.

어검(御劒)

귀모전(貴母殿)에서 변화한 중형종이다. 잎은 가는 입엽에 활모양으로 안쪽으로 휘어진다. 바탕색은 초록색이며 선천성 설백색 복륜이 들어있다.
화려한 것이 많으며 유령으로 나오는 신아가 많아서 번식이 잘 안된다.
붙음매는 반달형이며 청축에 청근이다. 본종과 어검(御劒).보검(寶劒)을 합쳐서 삼검(三劒)이라고 한다.
등록 품종이다.

어기(御旗)

도우이중(都羽二重)에서 변화된 품종이다. 잎은 농록색의 두텁고 폭이 넓은 입엽에 대형종으로 웅장한 모습이다.
백색의 선천성 복륜이며 성축이 되면 황색이 증가한다. 붙음매는 반달형이며 이축으로 등록 품종이다.

청왕복륜(靑王覆輪)

청왕금(靑王錦)이 복륜으로 변화한 것이다. 어릴때부터 복륜으로 나오는 것은 드물다.
모양이 부드러워 여성적인데 붙음매는 반달형이며 청축에 청근으로 미등록 품종이다

ㄴ) 호계열

백모란(白牡蘭)

입엽성 중형종으로서 잎폭이 넓고 키가 크다. 녹색과 흰 잎이 나와서 녹색 바탕에는 담황색의 호반(虎班)에 줄무늬가 있고 흰 바탕에는 녹색 줄무늬가 호반을 나타낸다.
성숙하게 되면 흰 줄 무늬만이 남는다고 하는 복잡한 변화를 한다.

경하(慶賀)

입엽성 중형종으로서 잎폭이 넓고 살이 두꺼우며 키가 크다. 흰 바탕에 녹색의 흩어진 얼룩무늬를 나타낸다.

관설(貫雪)

입엽성 대형종으로서 잎살이 두껍고 농록색 잎에 순백의 줄무늬를 나타낸다. 꽃은 아름다운 자홍색이고, 웅대한 잎은 호방(豪放)
함을 느끼게 한다.

부사금(富士錦)

중엽성 중형종으로서 잎은 작고 농록색 바탕에 단정한 모습을 하고 있다.
출아시에는 황백색의 줄무늬가 나타나고 후에 선명한 순백색 줄무늬가 있다.

청왕금(靑王錦)

중립엽성 중형종으로서 잎은 가늘고 선단을 향해 약간 휘어진다. 녹색 잎에 순황색의 줄무늬가 나타나며, 출아시에는호반(虎班)
처럼 나타나지만 점차 줄무늬로 변한다.
특히 끝잎은 녹색으로 나오지만 후에 줄무늬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유곡금(幽谷錦)

중립엽성 중형종으로서 잎살이 두껍고 세엽이며 농록색 잎에 순황색 줄무늬가 나타나고 간혹 녹색 호반이 박혔다.

나인광(羅因光)

중립엽성 중형종이며 소엽으로 잎끝을 향해 약간 휘어지고 농록색 잎에 얼룩 줄무늬가, 녹색 줄무늬에 황색줄무늬가, 황색줄무늬에 녹색 줄무늬가 박혀 있다.

ㄷ) 중투계열

진학

ㄹ) 산반계열

팔중의, 우의

ㅁ) 호반계열

백모란, 봉황전, 고의, 당금, 설산, 남해설호

ㅂ) 서계열

화의

ㅅ) 특수무늬

금광성, 일월복륜, 홍선

화예품

ㄱ) 적화계

주천완, 동천홍, 성성

ㄴ) 화계

도원

ㄷ) 황화계

춘급전, 대팔주

기종

ㄱ) 왜성종

무학, 두금강, 옥금강, 두환, 정지송, 임대붕, 금공작 등

ㄴ) 영충검엽종

영충검, 비충, 우약환, 변경환 등

ㄷ) 입엽종

청축조선철

ㄹ) 관엽종

안마울두, 보울두(사천용), 귀보청 등

ㅁ) 광엽종

청용사자, 낭화사자, 수파사자

ㅂ) 만곡엽종

청해(청해파), 사청해, 대파청해 등

ㅅ) 갑룡엽종

기주갑룡, 기린환, 사자갑룡 등

ㅇ) 라사지엽종

금은라사, 공작환 등

   

생태적 특성

형태 및 특성

풍란은 위구경이 없고 수분과 양분을 잎과 뿌리에 저장한다. 잎은 줄기를 중심으로 년에 좌우로
엇갈려서 1매에서 2~3매가 나오고 평균수명은 4~7년 정도이며 1포기당 2~20여매가 붙는다. 잎의 길이는 10cm 전후이며 넓이는 1.5cm 정도로서 육질이 단단하고 두껍다.
잎은 자태, 형태, 색과 질감, 붙음매의 모양에 따라 분류되는데 잎의 자태에 따라 입엽, 만곡엽, 검엽, 병엽, 광엽, 희엽, 역엽 등이 있고, 잎의 형태에 따라 광엽, 침엽, 두엽, 영충검엽, 울두엽, 관엽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또한 잎면의 색과 질감에 따라 나사지엽, 갑룡엽, 축면지엽 등으로 구분하며, 잎의 붙음매 모양에 따라서도 일자문, 월형, 산형, 파형, 궁형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개화는 6~7월 중에 5~10cm정도의 꽃대에서 5~6송이의 순백색이나 핑크, 적색, 담황색, 담록색 등으로 피는데 평균 개화기간은 15~20일 정도이다.

기후적응

풍란의 생육적온은 20~25도 범위이고 겨울철 온도가 5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공중습도는 80~90% 정도에서 잘 자란다.

번식

포기나누기와 종자에 의하여 번식하는데 포기나누기는 3~4월이 적기이며 2~3촉 정도씩 분주
시킨다. 종잡번식은 무균배양에 의해 번식시키는데 프로토콤에 의한 무균배양에는 하이포 넥스
배지에 BA0.01ppm 단용처리가 효과적이고 배양묘는 2~3년에 개화주로 육성된다.

   

재배 및 관리

온습도 관리

생육온도가 20~25도이고 겨울철에는 5~8도에서 휴면을 취하는 온대성식물이므로 겨울철에는 20도이상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주면 도장되거나 분열되지 않고 화아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보통 10도 이하나, 30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휴면을 취하게 되는데 가급적 여름휴면은 짧게 유지
시켜 주는 것이 생육에 좋다.
여름철 습도는 80~90% 정도가 알맞고 겨울철에는 50% 정도가 알맞다.
겨울철 풍란의 잎이 쪼글쪼글한 것은 월동을 하기 위해 필요없는 수분을 방출한 것이기 때문에 간혹 병이나 건조로 인한 피해로 인식 관수를 자주하여 주거나 습도를 높여주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광 관리

풍란은 자연광의 30~60% 차광된 조건에서 잘 자라며 강한 직사광선이 쬐지 않는 곳에 재배하는 것이 좋다.
적정광도는 5,000~10,000ux이며 가급적 저녁 햇빛을 받지 않는 장소가 좋다.

시비관리

난과식물 가운데 풍란은 비료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지만 인공적으로 재배할 경우 생장이 왕성한 시기인 4~6월과 9~10월에는 어느 정도 시비를 하여 주어야만 정상적으로 잘 자란다.
비료를 주는 시기로는 일몰 직후 물을 충분히 준 다음 4종복비를 이용 2,500~3,000배로 묽게 희석하여 월 2~3회 사용하고 뿌리부분은 가급적 비료분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여 부득이 비료분이 뿌리부분에 묻을 경우 물로 씻어 주어야 한다.

재배방법

풍란의 재배방법은 현공법(懸空法), 분식법(盆植法), 착생법(着生法)이 있다.
분갈이 시기로는 봄(3~4월)과 가을(9~10월)이 가장 적당한데, 분갈이시 주의할 것은 뿌리를 다치지 않게 조심하여야 하며 특히생장점부분은 연약하기 때문에 손상에 중의하여야 한다.

현공법

옛날부터 많이 재배되어 오던 방식으로 <그림 4-3>과 같이 수태를 둥글게 감아 공중에 매달아 놓는 수태식과 대바구니에 수태를 기르는 죽람식이 있다.

분식법

분식은 화분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방식으로 화분의 중간부분에 공간을 만들어 주는 공동식
(空洞式)과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숯덩이나 스티로폼 등으로 화분 안에 토대를 만들어 놓고 그 주위를 수태로 감싸 심는 토대식(土臺式)이 있다.

착생법

요즈음 풍란재배가들이 이용하고 또 인기도 높은 재배방식으로 돌에 붙이는 석부식과 나무에 붙이는 목부식이 있는데 부착시기로는 5~6월이 알맞다.
적당한 돌의 종류로는 평석이나 와석형태보다 입석이 좋고, 물형석보다는 총석(叢石), 준봉(峻蜂),층암(層岩), 단애(斷崖) 및 영상석(靈象石)등이 소재석으로 좋다. 석질은 보통 단단하고 잘 부스러지지 않는 화강암 계통이 석부작으로 적당하며, 석회암이나 편마암 등은 좋지 않다.
목부착의 소재목으로는 주목, 향나무, 밤나무, 노간주나무, 박달나무 등이 재질이단단하고 잘 부스러지지 않는 화강암 계통이 석부작으로 주목, 향나무, 밤나무, 노간주나무, 박달나무 등이 재질이 단단하고 잘 썩지 않아 좋다.

   

물관리

풍란은 착생란으로서 공기중의 습기를 이용하여 살아가므로 공중습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여름철 물을 줄 경우 서늘한 시기인 저녁에 분무기로 뿜어주는 것이 좋은데 수돗물은 염소성분이있어 하루 정도 받아 두었다가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수온이 낮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햇빛이 강한 한낮에 관수하게 되면 반사작용에 의하여 잎이 타거나 반점이 생겨 병충해의 피해가 예상되므로 가급적 관수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충해

풍란은 선초(仙草)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병충해에 저항력이 강하고 무병 장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요즈음 환경의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병해가 발생되고 집단적인 대량 재배에 따른 해충
의 제공 등으로 달팽이, 깍지벌레(개각충) 피해도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주요 병해로는 탄저병, 갈반병, 연부병, 근부병 등이 있고 충해로는 달팽이, 깍지벌레, 응애가 있다.

 

출처 : 열차여행
글쓴이 : scada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