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테크/Bible Study

[스크랩] 신명기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2. 10. 07:35

신명기

이 책의 히브리 어 명칭은 '엘레 하데바림'(이는 … 말씀이니라)이다. 이 명칭은 히브리 어 성경 1:1의 첫 두 단어를 따라 붙인 것인데, 이것은 성경 맨 처음에 나오는 단어를 책의 명칭으로 삼는 유대인들의 관례에서 기인된 것이다. 칠십인역은 신 17:18에 따라 '듀테로노미온'(제2의 율법)이라 불렀다. 한글 성경은 '신명기'(申命記)라 부르는데 '하나님의 계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해 주는 책'이란 뜻이다.

1. 저자
신명기 자체가 모세의 저작성을 증거하며(1:5;31:9), 그 외 구약 성경의 다른 책들도 이에 동의한다(삼하 2:3;8:53; 왕하 14:6;18:12). 예수님도 모세의 저작임을 증거하시며(마 19:7-8; 막 10:3-5; 요5:46-47), 신약 성경의 다른 저자들도 모세가 저자임을 증거한다(행 3:22-23;7:37-38; 롬 10-19).
2. 저작 연대
신명기는 아마 B.C. 1406년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추정은 왕상 6:1을 근거로 해서 가능하다. 솔로몬 재위 4년은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480년'되던 해였다. 솔로몬 재위 4년이 B.C. 966년 무렵이었으므로, 자연히 출애굽 사건은 B.C. 1446년경에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스라엘 민족의 광야 생활 40년을 제외하면 B.C. 1406년경으로 추정한다.

신학사상

신명기의 신학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원리는, 그것이 '언약문서'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데 있다. 따라서 신명기에 담겨진 다양하고 풍부한 신학 사상들은 바로 이 '언약'이라는 틀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스라엘 민족은 애굽에서 세상 권력에 속박되어 있었다. 그러나 출애굽 사건을 통해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역사에 개입하심으로써, 이스라엘은 인간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으며, 시내 산 언약을 계기로 새로운 복종 관계에 들어갔다. 즉, 애굽의 지배가 하나님의 통치로 대치되었던 겄이다(참조. 출 15:18). 아래에서는 언약의 각 부분을 다룸으로써 하나님과 인간간의 이러한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살펴 볼 것이다.
1. 전문(前文): 선지자의 본질과 기능
신명기는 '이는 모세가…이스라엘 무리에게 선포한 말씀이니라'(1:1)라는 말씀으로 시작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대변자', 또한 '선지자'로서 모세의 역할을 지적하는 말이다. 선지자로서 모세는 하나님과 밀접한 교제에 들어갔으며, 인간들에게 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 또한 최초의 선지자로서 그는 다음 세대에 나타날 선지자들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을 확정하였다(참조. 13:21-5;
18:15-22). 그러나 모세의 선지자적 역할은 단순히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데 그치지 않았다. 그는 하나님께 맡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책임있는 인물로서, 그들에게 하나님께 대한 충성과 사랑을 촉구하며, 그들이 언약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하지 않았을 때 뒤따를 결과에 대해 경고해야 했다.
2. 역사적 서언(序言) : 역사 신학
언약에 있어서 역사는 독특한 역할을 수행한다. 역사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위해 하셨던 일을 계시해 준다. 다시 말해 역사는 하나님의 뜻을 드러낸다. 신명기에 있어서도 역사의 역할은 이러한 사실에 초점이 집중되어 있다. 즉, 역사는 과거에 대한 기억을 불러 일으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현제의 시점에서 인간이 취해야 할 행동의 틀을 마련해 준다.
3. 일반규정 : 언약 관계의 근본 원리
신명기에 있어서 하나님과 그의 백성들을 연결하는 언약 관계의 근본원리는 사랑이다. 하나님이 주권적인 위치에서 언약을 체결하게 된 동기도 사랑이며,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언약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이 사랑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계의 본질 - 하나님께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 - 이 구체화된 것으로 십계명을 들 수 있다(5:6-21).
4. 특별 규정 : 언약 공동체의 구체적인 삶
신명기 언약법의 특별 규정이 취급하는 내용은 인간 삶의 모든 영역을 포괄한다. 즉, 여기에는 성소, 우상 숭배, 절기, 성적 범죄, 전쟁, 노예, 안식년, 예언과 제사 제도, 경제 문제, 유괴 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것들은 크게 의식법, 종교법, 시민법, 형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 세계에서는 자주 종교적인 삶과 세속적인 삶이 구분된다. 그러나 이스라엘에 있어서는 그러한 구분은 인위적이며 허구적인 것이었다. 왜냐하면, 인간의 모든 삶은 언약의 주(主)이신 하나님의 지배 아래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인간 사회는 그 구성원들이 하나님께 성실했을 때에만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5. 축복과 저주 : 보상과 형벌
신명기에서 축복과 저주를 취급한 부분(27-28장)은 신명기 전체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는 듯한 인상을 준다. 왜냐하면, 여기서는 축복에 대해서보다는 저주를 더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언약의 하나님께 대한 순종은 장수와 약속된 땅의 소유 등 축복이 주어지며, 반대로 불순종은 불행을 초래한다.

역사적 배경

신명기에 기록된 사건들은 모세 말기, 곧 이스라엘의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바로 직전에 일어난 것들이다. 신명기의 역사적 배경은 모세의 설교초반부(1-4장)에 묘사된다. 그는 현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과거의 사건을 끌어들인다. 왜냐하면 과거 역사를 비추어 봄으로써 현재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곧 과거의 역사가, 하나님의 계획과 약속 안에서, 미래의 목표를 인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미래의 목표는 하나님에 대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순종과 맡김에 있었다. 이리하여 신명기는 이스라엘 인들의 과거 역사의 맥락에서 그리고 미래의 역사를 전망하는 입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책의 직접적인 배경으로서 가장 의의있는 사건은 출애굽이며, 이 사건에 이어 시내 산에서 언약을 체결한다.
시내 산 사건 이후, 이스라엘 민족은 팔레스타인 남부 광야 지대를 지나 사해 동편과 큰 계곡을 따라 북상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그들은 비교적 작은 많은 소국가와 대결하기 시작했고, 그들이 바라보는 약속의 땅은 요단 강 저편에 놓여 있었다. 이와 같이 신명기에 기록된 사건들은 요단 강을 건너기 바로 직전에 일어났던 것들이다.

1. 기록자 : 모세(아마도 여호수아가 34장에 언급된 모세의 죽음을 기록하였을 것이다).
2. 기록연대 : B.C. 1410-1395년 사이
3. 기록장소 : 모압 땅에 위치한 요단강 근처의 평원에서 기록하였다.
4. 기록대상 : 가나안 땅에 들어가게 될 새로운 세대의 이스라엘 백성
5. 핵심어 및 내용 : 신명기의 핵심어는 "기럭하가", "언약", "순종" 등이다. 모세는 신명기를 통하여 억압의 상태에서 그들을 구원해주셨고 광야에서 지켜주신 하나님과 족장들이 맺었던 그 언약을 잊지말고 지키라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계속해서 권면한다. 이처럼 받을만한 아무런 자격도 없는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하나님께 그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보답은 주저함없이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는 것이다.

출처 : 與主同行
글쓴이 : 에스더 원글보기
메모 :

'신앙테크 > Bible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레위기  (0) 2009.02.10
[스크랩] 민수기  (0) 2009.02.10
[스크랩] 여호수아  (0) 2009.02.10
[스크랩] 사사기  (0) 2009.02.10
[스크랩] 룻기  (0) 200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