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품
대장군 - 상설기간은 아니지만 무관 최고위직.삼공보다 상위직이다. 독자적으로 장군부를 열어 정치에 관여할수도있다.
대장군과 별도로 2품의 중군대장군 하군대장군 진군대장군 무군대장군 남중대장군 보국대장군이있다.
2품
표기장군 - 삼공 아래의 상설기관. 평상시에 군을 통솔하는 최고위 무관. 군을 총 지휘하는 장군
거기장군 - 표기장군 다음의 고위직 무관 전차부대와 기병부대를 총지휘하는 장군
위장군 - 거기장군 다음의 고위직 무관. 황제의 경호 및 궁궐 수비등의 임무가 있다.
중군대장군
하군대장군
진군대장군
무군대장군
남중대장군
보국대장군
2품장군
정동장군
정서장군
정남장군
정북장군
표기장군의지휘를 받는다.
진동장군
진서장군
진남장군
진북장군
거기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2품관이하의 기타장군
전장군
후장군
좌장군
우장군
대장군 아래 일곱장군. 전투시 대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안동장군
안서장군
안남장군
안북장군
위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평동장군
평서장군
평남장군
평북장군
전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파동장군
파서장군
파남장군
파북장군
후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정로장군
안원장군
평구장군
보국장군
좌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호북장군
호야장군
도교장군
보한장군
우장군의 지휘를 받는다.
평난장군
양렬장군
양무장군
양위장군
어림장군
편장군
비장군
-----중랑장-----
오관중랑장
좌중랑장
우중랑장
호분중랑장
우림중랑장
-----교위직-----
1교위 -대장군배하의 군관. 제 3등관으로 연대장이라 할만한 자리. 오부로 갈려있었다.
2교위 - 여단장급의 군관직 월기교위 중루교위 사성교위등 팔교위가 있으며 도성 밖에 주둔하는 군대를 거느린다.
기도위 - 중랑장과 같이 황제의 시위를 관장하는 광룩훈에 속하며, 기병 담당으로 정원이 10명이었다.3제 등관으로 군위기병 연대장쯤의 직책
봉군도위 - 천자의 수레에만 배승하는 근위기병의 연대장격 제 6등관 (2천석)
북도위 - 각군의 방비와 치찬을 맡아 보던 제 3등관의 군관. 후한에서는 필요있을때마다 중요한 지점에 두었다. 사당장쯤이라면 알맞겠다.
사예교위 - 한나라 13주 가운데 도성에 가까운 일주 칠군만은 3등관인 사예교위가 통괄하였다.
교위라 - 한것은 군사권까지를 겸해쥐고 있었던 때문인 것 같다.
성문교위 - 낙양의 도성의 열두 성문을 지키는 위병 사령관. 3등관
영군도위 - 연대장격의 군관으로 생각된다.
월기교위 - 팔 교위의 하나로 도성 밖에 주둔하는 군대를 통솔한다. 월인으로써
조직된 기병대였다는 설이 있다. 기병 여단장격
장수교위 - 상비군의 부대장으로써 여단장 격 2등관
절충교위 - 적벽대전때 조조의 부하 악진이 절충장군이었던 데서 비롯된 요직군관으로서 여단장 격 절충이란 적을 무찔러 꺽는다는 뜻이다.
효기교위 백관지에 나타나지 않는 관명이지만 근위기병에는 효기라 칭하는것이었으며 삼국분립후에는 위에 효기장군이란 것이 있었다. 제 4등관으로서 근위기병의 여단장격
이상 무관 총 17명
출처: 네이버
'이야기테크 >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선왕조에서 재위기간이 가장 짧았던 왕 인종 (0) | 2009.02.28 |
---|---|
[스크랩] 삼국지매니아라고?그럼 대답해봐 (네이버에서 퍼온글 ) (0) | 2009.02.28 |
[스크랩] 삼국지시대의 관직 <문관편> (0) | 2009.02.28 |
[스크랩] 삼국지시대의 관직 <주요관직 및 서열편> (0) | 2009.02.28 |
[스크랩] (6) 격동의 시대 -1) 동 프랑크의 쇠퇴 (0) | 2009.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