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책방이야기

[스크랩] [책] 오바마시대의 세계를 움직이는 10대 파워 / 우태희 / 새로운제안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3. 16. 16:48

 

 

■ 오바마시대의 세계를 움직이는 10대 파워 
==============================================================================================
지은이 : 우태희 지음 | 2008년 11월 발행
페이지 : 400쪽 | 신국판
ISBN : 978-89-5533-289-6(13320)
정가 : 17,000원
==============================================================================================

현직 주미 한국대사관 상무관이 오바마 당선을 예측하고 집필한 책!
오바마 당선 이후, 미국 그리고 세계정세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오바마가 미국 최초의 흑인대통령으로 선출됐다. 그의 당선은 미국 내 인종주의의 큰 벽을 뛰어넘은 성과이자, 미국 국민의 한층 발전된 민주주의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오바마의 당선은 향후 미국 및 세계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오바마 행정부는 미국 내 상당한 변화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우선, 부시 행정부 시절 대화 단절로 불편한 관계를 지속시킨 북한, 이란, 이라크 등에 대한 대화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계적인 비난이 거세지고 있는 이라크 전쟁에서의 조기철군과 알카에다 세력소탕 등의 외교?국방전략이 새롭게 구상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고유가에 대비한 재생에너지 육성 등 에너지정책의 수립과 더불어 과거 정부에서 되풀이되어온 워싱턴의 불건전한 로비문화 청산 및 정치개혁에도 변화의 칼날이 들이밀 예정이다.
가장 큰 관심사는 서브프라임으로 촉발된 미국의 경제 위기다. 신뢰를 잃은 월가의 투명성을 회복하고 침체된 미국의 경제 위기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나아가, 대선 내내 진보와 보수, 양극단으로 갈린 미 국민의 상처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도 관건이다.
세계의 눈은 향후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주목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자국의 이익이 직결되기 때문이다. 당장 오바마 행정부가 내세운 보호무역주의의 부활은 미국 내 한?미 FTA 비준안을 놓고 재협상론을 대두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바마 당선 이후의 정책 방향을 냉정하게 분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워싱턴 주재 주미대사관 상무관으로 근무하며 오바마의 행적을 냉정하게 분석한 이 책의 저자는 오바마는 물론, 그를 둘러싼 파워집단을 10가지로 분류, 그들의 행보와 역학관계를 토대로 향후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오바마 대통령과 그를 둘러싼 파워집단과의 관계를 통해 세계 정세의 변화 가능성을 예고하면서3
동시에 우리의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아낌없는 충고를 던져주고 있다.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자랑하는 10대 파워집단!
그들은 누구이며, 정치자금과 인맥파워는 무엇을 말하는가?


오바마 대통령, ‘변화’와 ‘희망’을 내세운 그의 열정과 카리스마가 미국 국민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수백 억 달러의 천문학적인 대선자금이 소요되는 대선에서 오바마의 당선 이면에는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돌아올 이익을 계산하는 수많은 파워집단이 존재하고, 그들의 자금이 대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만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그 파워집단은 누구이며, 그들의 자금은 누구에게,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가? 이 자금 그리고 10대 파워집단은 대선을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궁극적으로 오바마의 향후 정책 방향에 어떤 영향력을 미칠 것인가?
이 책은 이처럼 오바마 대통령의 당선을 둘러싼 미국 내 혹은 세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파워집단을 크게 10개로 구분하고, 이들과 오바마의 미묘한 관계와 향후 정책 방향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크게 1부 정치파워 그룹, 2부 경제파워 그룹, 3부 사회파워 그룹으로 구성했으며, 구제적으로 1부는 전통적 진보주의, 온건보수주의, K스트리트, 2부는 군산복합체, 다국적기업, 월스트리트, 에너지 기업, 3부는 진보적 싱크탱크, 인터넷 미디어, 시민운동단체로 각각 구분해 각 파워집단의 기능과 규모, 대선에서의 영향력 등을 면밀하게 제시하고 있다.

파워1 전통적 진보주의 / 과거 민주당과 공화당의 대선지지도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파생된 민주당의 민주지도평의회, 뉴뎀과 블루도그 등의 세력집단의 탄생경위와 나아가 신세대, 뉴딜주의자, 종교주의자, 자유의지주의자 등 최근에 등장한 신 진보주의자들의 실체를 파악하고, 이 같은 흐름에서 오바마가 어떻게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는가를 알아본다.
파워2 온건보수주의 / 깅그리치 혁명과 아울러 네오콘, 테오콘, 팔레오콘 등 신 보수주의자의 등장배경을 알아보고 오늘날 막대한 자금을 통해 보수주의 세력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기독교 우파, 풀뿌리 보수주의, 감세론자에 대해 알아본다. 나아가 부시 행정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준 공화당의 각종 스캔들을 살펴본다.
파워3 K스트리트 / 세계 유일하게 헌법으로 기본권을 인정한 ‘로비스트’의 실체에 대해 알아본다. 로비스트 역사와 더불어 미국 정치의 역사를 돌아보고 로비스트들이 가장 많이 활약하고 있는 ‘K스트리트’의 실체를 파헤친다. 아울러 역대 대통령의 대선에 전방위로 활동하던 최고의 로비스트들과 미국 정계를 뒤흔든 로비게이트를 살펴본다.
파워4 군산복합체 / 전 세계의 비난을 받고 있는 이라크전의 실태와 해당 전쟁으로 군산복합체가 얻은 이익을 분석해본다. 아울러 군산복합체의 정치자금 규모를 파악하고 부시 행정부를 포함한 관료들과 군산복합체 간의 밀접한 자금과 인맥파워를 살펴본다. 나아가 오바마의 집권으로 새롭게 바뀔 군산복합체의 앞날에 대해서도 가늠해본다.
파워5 다국적기업 / 대선에서 쟁점이 된 행정부 관료들과 월마트, 화이자, 카길, 몬산토, 디트로이트, GM 등 다국적기업간의 유착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정치자금은 물론, 인맥파워까지 기업의 이익과 자신의 안위와 세력을 위해 복잡하게 얽힌 미국 정치와 다국적기업의 관계를 알아본다.
파워6 월스트리트 / '월스트리트가 찍는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는 전례를 재확인시킨 월스트리트의 영향력을 알아본다. 아울러 서브프라임 사태와 금융위기로 마비된 월스트리트를 통해 그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살아남은 은행들의 생존방법과 향후 오바마 행정부에서 월스트리트의 방향을 점검해본다.
파워7 에너지기업 / 에너지업계와 미국 정치와의 관계를 통해 부시 행정부의 에너지 주요 정책과 과점체제에 놓인 석유대기업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오바마 행정부의 고유가 대책안에 대해서 알아본다.
파워8 진보적 싱크탱크 / 미국 행정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싱크탱크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오바마 행정부의 향후 브레인으로 추정되는 브루킹스연구소, 진보정책연구소, 미국진보센터 등의 진보적 싱크탱크의 기능과 인물들을 살펴보고 아울러 부시 행정부는 물론, 과거 보수주의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후버연구소, 헤리티지재단, 미국기업연구소 등의 보수적 싱크탱크의 기능과 인물들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파워9 인터넷 미디어 / 미국 대선을 가장 치열한 정쟁과 게이트로 몰아넣은 <드러지리포트>, <무브온> 등 인터넷 미디어와 UCC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인터넷 미디어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민주당의 하워드 딘의 사례를 살펴보고 과점체제에 놓인 기존 미국 언론들의 영향력을 알아본다. 나아가 갈수록 양극화되고 있는 미국의 정치이념에 대해서도 점검해본다.
파워10 시민운동단체 / 오바마 승리의 원동력이라고 할 만큼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미국의 시민단체들을 알아본다. 세금 및 정치자금 규모와 한도로 구분되는 시민단체의 종류를 알아보고 정치자금 투명화, 민권보호, 행정개혁, 기업개혁 등 각 분야에서 두드러지는 활약을 보이고 있는 시민단체들을 살펴본다.

에필로그에서는 앞서 10개 파워집단을 토대로 예상하는 향후 오바마 행정부의 개혁과제와 정책 방향을 짚어보고 이를 토대로 정립해야 할 한·미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추천사 ]
이 책은 저자가 워싱턴에서의 경험, 그동안 만났던 정치컨설턴트들과 K스트리트의 일화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엮어놓은 것이다. 세계 초강대국 미국도 정치분야는 다른 어느 나라와 마찬가지로 항상 개혁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국 정치를 움직이는 파워집단을 10개로 요약한다는 것은 매우 재치있는 생각이다. 이와 같은 다원주의적인 접근방식이 앞으로 전개될 미국의 대정치 개혁 전망에는 물론, 한국 정치에 시사하는 교훈도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한다.
- 로브 워니(W.Robert Warne, 前 KEI 원장)

 

추천사 _ 로브 와니(W. Robert Warne, 前 KEI 원장)
머리말 _ K스트리트를 걸으며
 
제1부_ 정치파워 그룹
  파워1 전통적 진보주의
    1. 최초의 흑인대통령 탄생
전당대회에서 화려한 데뷔 / 아메리칸 드림의 화신 / 붉은색 주와 푸른색 주로 분단 / 미국 정치지도의 변화 / 연속된 패배원인 분석
2. 지지기반 변화
전통적인 지지기반 상실 / 민주당의여피화 / DLC, 뉴뎀과 블루도그 / 전통적 진보주의로의 복귀
3. 2008년 대선경쟁
민주당 예비선거, 오바마 vs 힐러리 / 오바마의 대역전극 / 조 바이든, 부통령 지명 / 대선 본선 경쟁, 오바마 vs 매케인 / 오바마 승리의 원동력

 

  파워2 온건 보수주의
    1. 새로운 보수주의 판도
네오콘 시대의 마감 / 보수주의의 반격 / 깅그리치 혁명
2. 기독교 복음주의
기독교 우파 / 랄프 리드와 기독교연합 / 풀뿌리 보수주의
3. 감세론자
감세정책 전도사 / 글로버 노퀴스트와 수요회
4. 민주당의 의회장악
스캔들로 쫓겨난 공화당 인사들 / 각종 性 스캔들 / 낸시 팰로시의 공격 / 부시 대통령의 인기 추락

 

  파워3 K스트리트
    1. 대통령 만들기 일등공신
로비스트의 역사 / 로비스트산업 / K스트리트의 전관예우 / 정치컨설턴트로의 권력이동 / 킹메이커들이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곳 / 카리스마 넘치는 전략가, 칼 로브
2. 대표적 이익단체
대미 로비의 대명사, AIPAC / 미국의 주요 이익단체
3. 로비스트 규제
로브스트가 지켜야 할 법규 / 매케인-파인골드 선거자금 개혁법 / 워싱턴 정가를 뒤흔든 로비게이트 / 보수주의자들에게 떨어진 불똥 / 대대적인 정풍운동

 

 
제2부_ 경제파워 그룹
  파워4 군산복합체
    1. 이라크전과 미국정치
7년째 계속되고 있는 전쟁 / 2차대전 이후 가장 큰 전쟁비용 / 이라크전의 최대 수혜자, 군산복합체
2. 민간군수기업
군대보다 더 용감한 기업 / 불법행위의 대명사, 블랙워터 / KBR, 핼리버튼과 딕 체니 / 텍사스 달라스에 위치한 핼리버튼 본부
3. 군수 대기업과 정치인
세계 최대 군수업체, 록히드마틴 / 부시 가문과 밀접한 칼라일 그룹 /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 벡텔 / 이라크전의 득과 실

 

  파워5 다국적기업
    1. 월마트와 미국 정치
민주당 사우스캐롤라이나 토론회 / 월마트 효과 / 미국 정치인들의 기피대상 1호
2. 미국 제약업계
다국적 제약업계의 강력한 로비 / 글로벌 제약업체의 대표, 화이자 / 전통이 있는 독일계 제약회사, 머크
3. 미국 농업계
농심을 등에 업은 강한 로비력 / 다국적 곡물기업, 카길 / 바이오산업의 선두주자, 몬산토 / 아스파탐게이트와 럼스펠드
4. 미국 자동차업계
디트로이트의 로비력 / 세계2위 자동차기업으로 전락한 GM / 다시 미국 기업이 된 크라이슬러

 

  파워6 월스트리트
    1. 금융과 미국 정치
월스트리트의 로비력 / 특명 : 베어스턴스 구출 작전
2. 서브프라임 사태와 금융위기
은행 파산 도미노 / 금융구제법안의 처리 / 정통 아이비 시대의 마감
3. 살아남은 은행들
뛰어난 금융전문가 양성기관, 골드만삭스 / 미국 최대은행으로 자리매김한 뱅크오브아메리카

 

  파워7 에너지기업
    1. 에너지와 미국 정치
런퀴스트와 에너지업계 로비
2. 부시 행정부의 에너지정책
매년 쏟아낸 에너지정책 / 2005년 에너지정책법 입법
3. 고유가와 석유 대기업
슈퍼스파이크의 현실화 / 양당의 고유가 대책 대결 / 세계최대 석유회사, 엑슨모빌 / 글로벌 석유기업, 셰브런

 

 
제3부_ 사회파워 그룹
  파워8 진보적 싱크탱크
    1.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의 보급소
싱크탱크의 분류 / 싱크탱크의 역사
2. 진보적 싱크탱크
정책마케팅을 선도하는 브루킹스 연구소 / 오바마가 기용한 브루킹스 브레인들 / 민주당과 깊게 연계된 PPI, CAP, CNP / 재야 진보세력과 밀접한 싱크탱크, EPI, NPI
3. 보수적 싱크탱크
고르바초프와 후버연구소 / 보수주의의 이념적 상징, 헤리티지재단 / 네오콘의 싱크탱크, 미국기업연구소와 PNAC / 자유의지주의를 옹호하는 케이토연구소 / 안보문제를 다루는 전략문제연구소, 허드슨연구소

 

  파워9 인터넷 미디어
    1. 인터넷 신문
케리의 저격수, 드러지리포트 / 입수된 정보는 5분 이내에 뉴스화 / 르윈스키 스캔들과 인터넷 풀뿌리 운동 / 인터넷 좌우대결, 무브온 vs 프리 리퍼브릭
2. 인터넷과 정치
대선에서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 UCC / 최초의 인터넷 대통령후보 / 민주당 당권경쟁, 딘주의자 vS DLC
3. 미국의 기존 언론사
TV 선거광고의 세계 / 미디어 과점체제 / 보수미디어의 대부, 루퍼트 머독 / 백악관도 쩔쩔매는 3대 신문
4. 정치양극화의 심화
점점 멀어지고 있는 보수와 진보 / 이념은 물론 생활양식도 차이 / 정치양극화의 주된 원인

 

  파워10 시민운동단체
    1. 단체의 종류
미국은 NGO의 천국 / 비영리단체의 종류
2. 정치개혁
오바마를 등에 업은 흑인시민단체, NAACP / 열린 정치만들기를 선도한다, 코먼코스 / 정치자금을 투명하게 관리한다, CRP / 민권 보호에 앞장선다, ALCU
3. 행정개혁
납세자에게 책임지는 정부를 만든다, CAGW / 공직자 윤리를 평가하는 시민단체, CREW / 내부고발자를 보호한다, CAP
4. 기업개혁
소비자운동의 선구자, 랄프 네이더 / 부당한 기업활동을 감시한다, CW

 

 
에필로그
    지난 10년간 워싱턴 로비현황 / 로비스트들의 고급 사교장 / 워싱턴 대사관은 국력의 상징 / 문화를 통한 국위선양 / 오바마 행정부의 향후 정책방향 / 보호무역주의 부활 / 세제개혁 및 중소기업 지원 강화 / 재생에너지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전 국민 건강보험 적용 / 오바마 행정부와 한미관계 전망

 

■ 책 속으로

 

군수산업은 업종의 특성상 소비자가 바로 정부이다. 무기수출도 대부분 미국 정부의 승인과 보증이 필요한 해외군사판매방식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1차 로비대상은 미국 정부와 의회일 수밖에 없다. 국방안보의 전문성과 비밀성 때문에 정책결정이 소수의 전문 관료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로비를 통해 이들을 설득하게 된다. 그래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분쟁의 이면에는 군산복합체의 전쟁음모가 숨어있다고 한다. ‘군산복합체’는 군수산업체, 미 국방부 그리고 의회 사이에 형성된 ‘철의 삼각지대’를 일컫는 말이다.
- 제2부 ‘1.이라크와 미국 정치’ 중에서

정강정책에서는 직접 언급되지 않았지만, 오바마는 UAW 등 노동자층의 표심을 잡기 위해 그동안 한국을 포함한 콜롬비아, 파나마 등과의 FTA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또한 그는 북미자유무역협정에 변화된 노동 및 환경규범이 담겨야 한다고 주장하며 클린턴 행정부가 1994년 체결했던 이 협정도 재협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비록 표면적으로 FTA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갖고 있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후보시절 내놓은 여러 가지 공약 중에서 FTA 재협상 카드를 접을 공산이 제일 크다.
- 에필로그 ‘보호무역주의의 부활’ 중에서

출처 : 도움이 되는 한권의 도서
글쓴이 : 재무제표분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