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열등감과 죄책감 下.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12. 21:09

열등감과 죄책감 下.

 

<죄의식>

1. 죄책감이란 무엇인가 ?


1) 모든 종류의 상한 감정은 공통적으로 열등감과 함께 죄책감을 일으킨다.

이 가운데 열등감은 막연히 자기를 비하하는 것이고,

죄책감은 어떤 기준을 제시하고 그것에 미달된 부분을 놓고 자기를 정죄하는 감정이다.
2) 죄책감은 부적절하게 자기 스스로에 대하여 죄의식에 시달리는 상한 감정이다.
- 실제 상황으로는 넘어갈 수 있는 것을 혼자 Guilty Feeling을 느끼며 괴로워하는 것이 죄책감이라는 상한 마음이다.
3) 죄책감은 자기 자신 및 남에 대해서도 용서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삶의 모습이다.
- 죄책감은 자기 뿐 아니라 남에 대해서도 심한 정죄 속에 고통을 느끼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용서를 통한 기쁨을 느끼기보다는 정죄를 통한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내면을 갖게 된다.

 

2. 죄책감을 갖게 되는 원인들


1) 원죄
타락의 결과로 죄인 되어 낙원에서 추방당한 후 모든 인간은 죄책감을 가지고 살아가게 되었다.
- 원죄가 꽉 찬 세상은 자기중심이 되어 자기를 지키는 방법으로 남에게 죄책감을 강요하는 세상이 되었고,

이것은 어린 시절부터 계속되어 결국 사람들이 죄책감에 시달릴 수 있게만들었다.
2) 가정환경
① Broken Family : 가정의 결손은 부모의 마음 뿐 아니라 자녀에게도 깊은 죄책감을 넣어준다.

특히 부모가 결손의 책임이나 문제를 자녀에게 조금이라도 전가한다면 상태는 더욱심해진다(너 때문에…)
② 상처가 있는 부모 : 상처가 있는 사람은 모든 문제를 본인이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남에게 전가를 하게 된다.

그런데 그 대상으로 자녀가 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자녀는 죄책감을 갖게 된다.
③ 율법주의적인 가정 : 스스로 높은 기준과 신앙적 열심을 갖는 부모(두려움과 굶주린 마음, 버림받은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의

도덕적 신앙적 기준 제시는 자녀에게 죄책감을 심하게 넣을 수 있다.
3) 삶에 있어서의 실패의 경험
삶 가운데 심한 실패의 경험은 인간의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데,

특히 이 실패가 배신에 의한 것이어서 용서의 문제가 걸려 있을 때에는 더욱 심하다.
→ 죄책감의 문제는 용서의 문제와 밀접하다.

 

3. 죄책감의 증상들


1) 내면적인 문제
- 언젠가 나쁜 일이 닥칠 것 같은 불안감 속에 산다.
- 심각한 죄책감이 작은 실수에도 찾아와 내면을 뒤흔들어 놓는다.
- 은혜를 누리고 살아가는 것이 좋으면서도 그것을 잃을까하는 두려움에서 자기를 계속 정죄 한다(더 기도하고 더 잘해야 돼!).
- 정죄 받지 않기 위하여 자기를 계속 자아 비판하면서 학대해 나간다.
- 감추기 : 자기를 감추려고 노력하지만 잘 감추어지지 않을 때마다 심한 고통을 느낀다.
2) 관계의 장애
- 지나친 희생과 봉사 : 남의 입장에서 볼 때 그럴 필요가 없을 정도로 지나치게 자기 희생을 하려고 함(일에 열심)
- 죄에 대하여 민감 : 죄나 Scandal에 대하여 아주 민감하고 심하게 정죄함.
- 정당한 비판도 받지 못하고 심하게 반발함. 그리고 본인은 그것 때문에 혼자 괴로워 함.
3) 영적인 장애
- 하나님의 은혜를 온전히 누리지 못함.
- 습관적인 회개로 신앙의 능력이 나타나지 못함.
- 마귀에게 공격을 받아 자주 넘어짐.

 

4. 성경에 나오는 죄책감을 가진 사람들


1) 사도 바울
- 사도 바울은 상처가 많은 사람이다. 특히 죄책감의 문제는 그에게 심각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용서의 사랑으로 이 죄책감을 극복한 사람이다.
로마서 8:31-39을 보면 그의 죄책감과 이것을 극복하는 치유의 장면이 다 나온다.
자신을 “죄인 중에 괴수”라고 공개할 수 있는 것은 그리스도의 용서를 경험했기 때문이다(딤전 1:15-16).
* 바울이 이런 죄책감을 갖게 된 것은 엄격한 부모, 율법주의적 환경에서의 성장 때문이었다.
2) 다윗
- 시편 51편에 나타난 다윗은 심한 죄책감과 이것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극복한 사람이다.
3절: 심각한 죄의식
4절 : 사람들의 정죄에 시달리기를 거부하는 모습.
5절 : 자기가 근원적으로 죄인임을 인정
7-12절 : 죄로 인한 버림받음의 두려움
16-19절 : 죄 용서의 체험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