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적 질병의 원인
트리니티 신학교의 게리 콜린스 교수는 “질병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부터 오나 신체적 역기능 이상의 것을 포함하며 의사뿐만 아니라 비의료적인 상담자 모두에게 관계되는 심리적이고 영적인 문제”1)라고 말한다.
성경적 관점에서 보면 질병은 하나님의 뜻에 불순종한 결과 또는 하나님의 뜻에 대항하는 사탄 행위의 결과로 설명된다(단 4:30-33; 눅 13:16; 행 12:21-23; 신 28:15-21). 즉 죄의 결과로 세상에 질병과 죽음이 왔다(롬 5:12; 6:23; 고전 15:22; 겔 18:4). 질병의 원인에 대한 자세한 것은 필자의 저서 「통전적 치유 목회학」을 참조하기 바란다.
질병들이 상호연관되듯 내적 질병의 원인들도 서로 연관되어 작용한다. 치유는 질병의 원인에 대한 바른 진단과 그 원인 제거에서 시작된다. 이제 내적 질병의 원인들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내적 질병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질병의 개념 및 내적 질병의 기본 이해에 관하여 먼저 고찰해 본다.
1) 질병의 개념2)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약 1:14,15).
질병이란 평안이 결여된 상태, 온전성을 잃은 부조화의 상태이다. 질병의 개념은 전인과 전환경의 통전적 차원에서 이해해야 함을 전제로 한다.
구약에서 질병을 표현하는 용어는 히브리어의 holi(병)와 hala(약하다)에서 유래되어 ‘병든’, ‘아픈’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신약시대에는 병들어 힘이 없는 상태(astheneo : 마 10:8; 약 5:14), 피곤에 지친 상태(kamo : 히 12:3; 약 5:15), 쇠약한 것이나 질병(malakia : 마 4:23; 9:35), 나쁜 병이나 악령을 가지고 있는 상태(kakos : 마 4:24; 8:16; 막 1:32)를 나타낸다.
웹스터 사전은 질병을 “평온함이 결여된 상태 또는 건강의 부조리를 경험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 이명수 박사는 로마서 3장과 8장 22-23절에 의해 질병의 개념을 이해한다. 그는 인간을 몸과 마음과 영의 통합적인 전인(全人)으로 보며, 질병의 포괄적인 개념을 “신체적, 영적, 정신적 및 사회적 질서가 정상 상태로부터 이탈된 상태, 즉 자아와 인간과 환경과 신(God)과의 부조화(disharmony)를 이룬 상태”라고 규정한다.
질병을 의미하는 영어 disease는 dis(아니다)와 ease(평안)의 합성어로 ‘평안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dis의 어원은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는 의미의 disobey로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면(obey) 건강하고, 불순종(disobey)하면 평안하지 않은 상태, 즉 질병(disease)에 걸리게 된다.
건강함(health), 온전함(wholeness), 거룩함(holiness)은 모두 온전함(completion)이라는 뜻의 고어 hal에서 유래된 것인데, 질병은 하나님과 자신과 이웃과 자연과의 균형과 조화가 깨져 온전하지 못하거나 원활하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조직체의 규칙적인 반응에 의해 연합된 사물들의 집합 안에서 어떤 것이 고장난 상태 또는 조직체의 ‘부적응’ 및 ‘부조화’ 상태가 질병이다.
결국 질병이란 하나님의 법을 어겨 하나님의 지배를 벗어난 전인적인 인간과 그를 둘러싼 모든 관계의 단절이다. 그 결과 하나님과 자기 자신과 이웃과 사회, 정치, 경제, 자연 환경과의 부조화로 온전하지 못한, 그래서 구속적 치유와 성장을 기다리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어떤 형태든지 마음과 영혼에 평안함이 없거나 행복하지 못해 기쁨과 감사와 감격이 사라진 것은 질병의 상태이다.
“내게 굽히사 응답하소서 내가 근심으로 편치 못하여 탄식하오니 내 마음이 내 속에서 심히 아파하며 사망의 위험이 내게 미쳤도다 두려움과 떨림이 내게 이르고 황공함이 나를 덮었도다”(시 55:2,4,5).
질병의 영역별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육체적 질병 (somatic disease, somatopathy)
저항력과 파괴력의 균형이 깨진 부조화의 상태로 세균이 침투하거나 사고에 의해 진행된다.
“이에 모세가 아론에게 이르되 너는 향로를 취하고 단의 불을 그것에 담고 그 위에 향을 두어 가지고 급히 회중에게로 가서 그들을 위하여 속죄하라 여호와께서 진노하셨으므로 염병이 시작되었음이니라”(민 16:46).
* 정신적 질병 (psychopathy)
마음과 정신의 온전함과 평온이 깨진 상태로 불안, 근심, 공포, 초조, 시기, 질투, 보복심, 이기심, 억압감, 절망 등에 휘말려 감정조절 기능과 표현이 힘들고 우월감이나 심한 열등감에 사로잡히는 상태이다.
“사울이 손에 단창을 가지고 그 집에 앉았을 때에 여호와의 부리신 악신이 사울에게 접하였으므로 다윗이 손으로 수금을 탈 때에 사울이 단창으로 다윗을 벽에 박으려 하였으나 그는 사울의 앞을 피하고 사울의 창은 벽에 박힌지라 다윗이 그 밤에 도피하매”(삼상 19:9,10)
* 영적 질병 (spiritopathy)
하나님의 법과 성령의 지배를 받지 못하고 악한 사탄의 지배를 받아 인간의 정욕과 명예와 욕망을 따라 사는 상태를 말한다. 영적 질병은 모든 병의 근원이 된다.
“여호와의 신이 사울에게서 떠나고 여호와의 부리신 악신이 그를 번뇌케 한지라”(삼상 16:14).
* 전환경적 질병 (environmentopathy)
자신과는 물론 대인관계, 대신관계, 정치, 경제, 문화, 자연 생태계 등 하나님의 모든 주권 영역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원활치 못하고 조화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무질서와 불신, 불의, 불만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다.
“언제까지 이 땅이 슬퍼하며 온 지방의 채소가 마르리이까 짐승과 새들도 멸절하게 되었사오니 이는 이 땅 거민이 악하여 스스로 말하기를 그가 우리의 결국을 보지 못하리라 함이니이다”(렘 12:4).
그외 현대에 많이 나타나는 정신과 신체적 질병(psycho-somatic disorder)을 ‘심신증’이라고도 하는데, 정신적 충격과 병리 상태가 신체에 영향을 주고 신체적 질병이 정신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병이다. 또한 영적, 정신적 질병(spirito-psychict disorder)과 영적, 정신적, 신체적 질병(humanopathy, anthropopathy)이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질병상태도 있다.
요즘은 자연환경의 생명력이 파괴된 상태도 병리적 징후로 보고 있다.
2) 내적 질병의 기본 이해3)
“하나님의 구하시는 제사는 상한 심령이라 하나님이여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을 주께서 멸시치 아니하시리이다”(시 51:17).
(1) 내적 질병이란?
내적 질병이란 죄가 들어와 깨어진 원마음이 치유되지 않음으로 겪게 되는 내적 갈등 상태이다.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 아래로 나를 사로잡아 오는 것을 보는도다”(롬 7:22-23).
외적 세계로부터 경험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반응의 정도가 정상적 수준을 넘어 병리적 상태로 와전된 결과이다. 이 병리적 상태는 “평안하지 못함, 안녕하지 못함 그리고 균형을 잃은 부조화”의 특징을 보여 준다.
“내 마음이 진동하며 두려움이 나를 놀래며 희망의 서광이 변하여 내게 떨림이 되도다”(사 21:4).
내적 질병은 자아 존중감의 상실, 감정조절 기능의 파괴나 손상, 삶의 리듬 파괴나 불균형, 영적 세계에 대한 무지와 하나님에 대한 불신앙, 불편한 인간관계,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공동체 생활에 대한 부적응 등을 초래한다.
“때가 제 육 시쯤 되었더라. 사마리아 여자 하나가 물을 길러 왔으매”(요 4:6-7). - 사람들을 피해 한적한 시간에 물 길음 -
'건강테크 > 내적치유 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편집성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 (0) | 2009.04.12 |
---|---|
[스크랩] 공황장애(Panic Disorder) (0) | 2009.04.12 |
[스크랩] 내적 질병의 원인과 증상 2. (0) | 2009.04.12 |
[스크랩] 내적 질병의 원인과 증상 (0) | 2009.04.12 |
[스크랩] 실질적인 내적 치유 (0) | 2009.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