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실업과 위기상담 3. -1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14. 06:56

3.위기란 무엇인가?


(1)위기의 정의

   우리는 흔히 위기를 촉발시키는 사건과 위기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직업상실, 사랑하는 자의 죽음, 존경받는 지위나 신분의 상실, 신체불구가 되는 사고, 질병, 암이라는 의사의 통고를 받음, 여러 가지 자연재해를 당하거나 또는 자녀들의 사고 등 여러 가지 우발적인 위기사건이나 결혼, 출생, 사춘기, 중년위기, 직업선택, 노인화 등의 발달위기 사건 등을 위기와 동일한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위기란 어떤 외적인 위험에 대한 대응능력의 일시적 상실, 즉 위기사건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여러 가지 장애들을 대처할 수 없다는 확신 때문에 야기되는 여러 가지 내면적 위기감을 말한다. 그러므로 위기는 외적 위기사건에 대해서 자기의 내면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절망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위기를 당할 때 우리가 경험하는 번민, 우울증, 긴장, 공포, 혼돈과 혼란, 상실감, 무력감, 희망의 상실, 정신분열증과 같은 심각한 정신,정서장애들은 질병이라기 보다는 위험한 상황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위기에 잘 대처하여 위기를 극복하면, 이전의 수준의 기능회복과 함께 인격적, 신앙적, 관계적, 사회적  성장이 일어나며, 새로운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과 방법을 첨가하게 된다.

(2)위기의 발생과정

 

  위기란 어떤 외적 위험에 대한 한 개인의 내적 반응이며, 위기를 촉발시키는 사건과 혼돈되어서는 안된다. 위기의 발생은 다음의 4단계로 나누어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위험사건 발생

위기를 촉발하는 사건의 발생

    위기  발생

대응책들이 실패한 결과로 오는 내면적 위기감정

    평  가

위험사건과 자신의 자원평가

    대응책 시도

자기의 경험과 자원에 근거한 대응시도


 

1)위험사건 발생 : 이것은 우리에게 부딪쳐 오는 외적 상황이며, 정서적으로 위협을 주는    사건이다. 예를 들면 실직 당한 사람은 실직으로 수 많은 것들을 빼앗기고 잃어버렸을 뿐    아니라 앞으로도 많은 것을 잃어버릴 것이라고 느끼지 때문에 두려움, 충격, 분노, 불안

  등의 감정이 생겨난다. 그러나 이런 정서들은 아직도 통제 가능한 것이요, 위기감정은 아 니다.  

 

2)평가과정 ; 위험사건이 발생하면 그것을 평가한다. 이때에 위험사건에 부딛치고 있는 사    람은 과거의 위기경험을 회상하면서 그때에 사용하였던 방법들을 주로 생각해낸다. 그리    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내면적 자원들(지식, 경험, 신념, 능력)과 외면적 자원들(가족,     친구, 교회, 이웃, 전문가 등)도 검토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위험사건에 압도당하여    자기가 지금 가지고 있는 자원들도 보지 못하며, 자기가 할 수 있는 것들까지도 과소평가    하고, 자기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술적 힘을 가진 어떤 존재를 기대하여 자기 평가를    잘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위기사건을 당하는 자들에게 있어서 도움을 주는 이웃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3)대응단계 : 위험사건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대응책을 시도하는 단계이다.     라자루스(Richard Lazarus)는 누구든지 위험사건에 부딛치면 자기 나름대로의 평가에 근    거하여 대응책을 시도한다고 한다:“사람은 중요한 동기나 가치가 위협받고 있다고 느끼     면, 예를 들면, 생명, 건강, 재산, 또는 소중한 친밀 관계 등을 위협 당하고 있다고 느끼    면 곧 모종의 대응을 시도한다”(Lazarus,1966:153).  대응책은 외적자원의 활용과 자기내    면의 감정대응의 두 가지가 있으나 위기를 당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이미 사용해 본적이     있는 기술과 방법 등을 일차적으로 사용하려고 하며, 이것에 실패하면, 새로운 전략을 시    도하려고 노력한다.

 

4)위기발생 : 위험사건에 대한 모든 대응이 실패하면 심각한 위기 감정들이 생겨난다. 이    런 감정들 중에는 혼란, 붕괴되어 가는 느낌, 무기력, 허탈, 절망, 공황, 분노, 죄책, 수    치, 원망, 심각한 공포, 공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위험사건에 대한 대응책실패로    발생하는 정서적 내면 경험을 위기라고 한다.

    위기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실직, 사랑하는 사람을 잃음 같은  위험사건    이지만 동시에 그 위기사건에 대한 평가과정, 즉 주관적 인식과정도 위기발생에 크게 영    향을 미치며, 위험사건에 부딛치고 그것을 평가하며 대처해나가는 과정에서 그 주위에 있    는 친밀한 이웃이 있었느냐 하는 것은 위기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기가 발생하면    대체로 4-6주간 위기감정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슬픔 등 어떤 위기는 수년동안 계속 되    기도한다.

 

(3)위기의 특성

   위기를 당할 때 그 원인이 어떠하든지 간에 - 실직으로 오는 위기이든, 존중받는 명예나    지위의 상실로 오는 위기이든지, 또는 친밀한 이웃의 죽음으로 인한 위기이든지 간에 -     공통된 위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Halpern,1973:343). 이런 위기의 특성을 이해하면 위    기 개입에 중요한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위기를 통하여 성장 촉진시킬 수 있는 지혜를 얻    을 수 있다. 

  (1)모든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에 우발적 위기 - 갑작스럽게 닥쳐온 위험사건으로 인한 위     기 - 와 발달위기 - 인간 발달과정에서 누구나 경험하지 않으면 안될 사건들, 예를 들      면, 사춘기, 결혼, 직업선택, 중년기, 노년기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기들 - 을 경험     하며, 위기, 권태, 피로, 무력감, 무능, 혼동, 신체적 증상들, 근심, 인간관계의 혼란      및 붕괴, 가족관계의 혼란 및 붕괴 등의 위기행동을 유발한다(Harlpern,1973:343).

     이러한 위기감정들과 위기행동들은 정신적 질환의 결과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없고      위험사건에 압도당한 개인들이 통상적으로 경험하는 감정과 행동이요 위기사건이 지나가     면 사라질 것들이다. 그러나 이것은 아주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2)위기는 위험사건과 동일한 것은 아니나 위험사건의 종류에 따라서 그 사건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다. 스트레스는 우리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험사건의 유형별로 사람들에게 얼마나 크게 스트레스를 주는지       아는 것은 위기상담자들에게 중요한 것이다. 다음은 학자들이 연구한 위험사건들의         스트레스 도수를 배우자 사망을 100으로 하여 조사한 것이다.

                           배우자 사망 ………… 100%

                                  이혼 …………  73%

                                  투옥 …………  63%

                         부상이나 질병 …………  53%

                                  해고 …………  47%

                                  은퇴 …………  45%

                  중요한 사업상의 변화 …………  39%

                     (합자, 파산, 정리)

                       재정지수의 변화 …………  38%

                      이직 및 직업변경 …………  36%

                            저당, 융자 …………  31%

                          생활조건변화 …………  25%

                         상사와의 갈등 …………  23%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