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책방이야기

[스크랩] 날 키운 책 1만권의 힘 들려주고 싶어요 (장향숙)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14. 09:52
날 키운 책 1만권의 힘 들려주고 싶어요
무산자·무학력·무건강·여성…
최악 조건 속 책읽기로 존재 확인
청소년 책읽는 계기 됐으면
“인세 아시아인원 위해 쓸 것”
한겨레  한승동 기자
» 국회의원 장향숙 의원이 펴낸 「깊은 긍정」
책·인터뷰 /‘깊은 긍정’ 펴낸 여성장애인 국회의원 1호 장향숙 의원
 

1958년 경북 영주군 평은면 산골마을에서 셋째 딸로 태어났다. 두 돌이 채 안돼 소아마비를 앓아 하반신과 오른쪽 상반신이 망가졌다. 5살 무렵 부모가 짚어주는 교회 성경책을 따라서 보다가 홀로 글자를 깨쳤다. 22살이 될 때까지 바깥 나들이 해본 적 없이 줄창 책을 읽고 문지방을 베고 누워 하늘만 쳐다보며 살았다. 열여섯 때 이사간 부산에서 잘 나가던 아버지 사업은 석유파동 때 주저앉았고 그 이후 지금까지 홀어머니는 월셋방에 산다. 가진 것 없는 ‘무산자’, 배운 적 없는 ‘무학력’, ‘무건강’, 거기에다 ‘여성’…. 누구도 바라지 않는 최악의 조건 속에서 최하층 빈민 중증장애인에게 주는 지원금을 분기별로 18만원씩 받아 연명했다. 나중엔 월 34~35만원씩으로 늘었지만.

 

50년을 살아오면서 읽은 책은 1만권이 넘는다. 성경에서 시작해서 동생이 다니던 초등학교 도서관 책들을 통째로 삼키고 니코스 카잔차키스, 알베르 카뮈, 스콧 펙, 키에르케고르, 쇼펜하우어, 생택 쥐페리, 리처드 바크, 미셸 푸코, 김용택 등 닥치는대로 읽었다. 새 책이 없으면 읽은 걸 거듭 읽었다. 그에겐 책읽는 것이 전부였다. 그것밖에 할 수 없었고 코피를 흘려가며 책을 파고들었으며 결국 책이 그를 살렸다.

 

“책을 읽는다는 건 자기 자신과의 끝없는 대화이자 자기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껍질을 벗겨가는 것이다.” 여러 차례 껍질을 깨고 변태하면서 정신은 점점 깊어갔다. “사람의 힘과 능력, 인생을 만드는 건 외부에서 주어지는 게 아니다. 중요한 건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길을 선택하는 것이다. 변화의 폭은 자신에게 달렸다.” 열쇠는 바로 독서다. 만리장서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장향숙(48). 한국 여성장애인 국회의원 1호. 무서운 기세로 쌓아올린 독서와 사유의 내공으로 삶을 탄탄하게 떠받쳐온 그가 처음으로 책을 썼다.

<깊은 긍정>(지식의 숲). “너무 바빠 제대로 손도 못 봤다. 그저 어머니나 아버지들이 자식들에게 책을 사고 읽게 만드는데 보탬이 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랄 따름이다.” 그의 고단하고 비범한 성장사를 한눈에 감동적으로 간접체험할 수 있다.

 

자신을 만든 건 무엇이었던가? 먼저 문자를 깨친 것, 그리고 최악의 조건을 개인차원의 팔자나 운명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것을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파악하는 정체성 확립, 자신의 생명을 나눠준 보이지 않는 수많은 봉사자들 덕이었다. 그 위에 깊은 고뇌와 아픔, 사색. ‘깊은 긍정’은 거기서 나왔다. “인세가 나온다면, 우리가 죄 많이 지은 베트남 등 아시아 나라 장애인들이 우리가 체험한 장애인 운동사나 발전사를 익히고 돌아가 자기나라에서 스스로 운동을 조직하고 인권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한푼 남김없이 쓰겠다. 그러니 많이 팔렸으면 좋겠다.”

 

» 첫책 낸 장향숙 의원
원래 영상미디어에 빠르게 물들어가고 있는 우리 청소년들이 독서쪽으로 눈을 돌리게 만드는 따뜻한 책얘기를 쓰고 싶었다. “종이에 인쇄한 활자문화를 통해 사색, 상상력을 기르는 것, 그것이 근본, 기본인데 그게 돼 있지 않으면 영상미디어라는 건 할리우드 문화처럼 실제 삶과 접속되지 못한 채 폭력과 성 등 편향에 빠져들게 된다.” 책을 읽지 않으면 문명은 오히려 퇴보해 인간은 동굴속에 살던 원시인과 진배없게 되고 말 것이다. 청소년 독서얘기 외에 여성장애인들 만나 꾸려온 인권얘기, 4대째 기독자인 나의 집안 신앙생활얘기, ‘장향숙이 느낀 정치’얘기도 장차 책으로 쓰고 싶다.

 

스무살 넘어 비로소 바깥나들이를 하면서 청소년 선교모임 ‘영라이프’로 첫 사회활동을 했다. 직업재활원에서 태피스트리를 배워 잠시 직장생활도 했고 짧고 황홀한 ‘연애’도 해봤다. 장애인 재정지원을 위한 ‘황금고리운동’을 거쳐 부산여성장애인연대를 만들었고 한국여성장애인연합도 만들었다. 2004년 4월 17대 국회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순번 1번으로 국회의원이 되면서 인생살이가 바뀌었다.

 

음악 듣고 책도 1주일에 한 권은 보려고 애쓰지만 엄청 바쁘고 힘들어 여유가 없다. 올래 3주간의 국정감사 끝내고 호흡곤란증세로 병원엘 갔더니 에스(S)자로 심하게 굽은 척추가 이젠 심장까지 압박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그는 오른쪽 마비 때문에 장기 등 신체기관 무게가 왼쪽으로 쏠려 있어 오래 앉아 있기도 힘들다. 국회 참석 자체가 그에겐 초인적인 인내를 요구한다. 그래도 “주신 만큼 사는 것”이니 “세상에 대한 두려움은 없다.”

출처 : 본연의 행복나누기
글쓴이 : 본연 이해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