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장 위기 목회 상담 방법
1. 위기 특성과 목회 상담
1) 사람이 위기에 처하면 여러 가지 부정적인 감정이 외부로 발산되게 되는데 이때 발산의 대상은 위기 당사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2) 과거에 위기를 성공적으로 처리해 본 경험이 많으면 많을 수록 다음에 오는 위기도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3) 어느 기간동안 여러 가지 위기가 거듭되면 그 사람이 겪은 위기는 가중되어 그만큼 대처하기가 힘이 들게 된다.
4) 위기는 하나님을 만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할편(Halpern)은 위기 상태의 순간을 다음의 그림으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
|
정상인의 마음 |
|
|
|
|
|
위기 상태의 마음 |
|
|
| ||||||||
|
|
|
|
|
|
|
|
|
| ||||||||||
병적인측면 |
|
|
건강한측면 |
|
병적인측면 |
|
|
|
건강한측면 |
위의 그림을 보면 정상적인 상태의 사람은 양밑변을 저변에 깔고 앉은 삼각형과 같아서 이런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상당한 노력을 기하더라도 변화는 주어진 노력에 비해서 극히 적다. 그러나 위기 상태에 있는 사람을 보면 양밑변을 위로하고 꼭지점을 아래로 하고 있는 불안정한 삼각형 같아서 어느 쪽으로든 넘어질 수밖에 없는 찰나에 있다. 문제는 어느 쪽에서 영향이 주어지느냐다.
2. 위기 예방 목회 상담
교과적인 위기 예방 목회 상담을 위해서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의 어떤 사건들이 위기의 파동을 일으키는가를 알고 있을 때에 큰 도움이 될 수가 있다. 미국의 훔즈와 레어(Holmes and Rahe)는 우리의 일상생활 가운데서 일어날 수 있는 점수를 매기면서 다음과 같이 나열해 보았다.
자기 배우자의 사망을 가장 큰 충격으로 가정하면서 100점으로서 책정하고 다른 사건을 비교해서 나열했다. 이것은 서양 사람들의 위기를 나열한 것이지만 우리의 위기의 종류와 충격의 정도를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될 수가 있다.
도표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스트레스의 정도가 점수로 나와 있지만 모든 사람이 다 그렇지는 않다는 사실이다. 만약 재산에 가치를 두지 않고 정신적 영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사람이 받는 화재의 충격과 그렇지 않는 사람의 충격은 차이가 있을 것이며 그 처방법도 크게 다를 것이다.
3. 위기 개입 방법
(1) 위기 파악
위기의 상황을 어느 정도로 이해하고 도울 있다면 상당히 구체적인 위기 대처 방법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2) 위기 해결 가능성 진단
클라인벨(Howard Clinebell)에 의하면 위기에 부정적으로 대처하는 사람과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사람의 반응은 서로가 다르다.
(3) 관계 형성
위기를 겪고 있는 사람을 효과적으로 도와주기 위해서는 먼저 이루어져야 할 조건이 있다. 그것은 좋은 인간관계를 수립하는 것이요, 효과적인 인간관계 수립을 위해서는 위기 당사자와 도와주는 사람 사이에 신뢰감이 형성되어져야 한다.
(4) 핵심 문제 규명
위기 개입자와 위기 당사자간의 신뢰적인 관계가 어느 정도 형성되고 위기 감정도 누그러졌으면 위기 상황을 위기 당사자로 하여금 정확히 파악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5) 문제에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한다.
문제 개입 단계에서 마지막으로 위기 개입자의 임무는 위기 당사자로 하여금 자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가도록 돕는 것이다.
(6) 위기 해결 후의 성장 지도
클라인벨은 위기는 해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위기를 성공적으로 대처한 후엔 그의 위기 경험이 다른 위기 당사자들의 회복에 도움이 되어서 서로가 성장해 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건강테크 > 내적치유 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목회상담에서 위기목회 상담 7. (0) | 2009.04.15 |
---|---|
[스크랩] 목회상담에서 위기목회 상담 6. (0) | 2009.04.15 |
[스크랩] 목회상담에서 위기목회 상담 4. (0) | 2009.04.15 |
[스크랩] 목회상담에서 위기목회 상담 2. (0) | 2009.04.15 |
[스크랩] 그리스도인과 불안(不安:Anxiety) 3. (0) | 2009.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