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종류
위기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주1. E. H. Erikson, "Identity and Life
Cycle," in Psychology Issues Monograph, vol. 1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59).
발달 위기란 우리가 일생을 살아나가는 동안 예기된 시기에 일어나는 위기들이다.
등교 첫날을 맞는 것, 사춘기를 잘 극복하는 것, 결혼 생활에 적응하는 것,
중년의 위기에 잘 대처하는 것, 퇴직에 대처하는 것 등,
이 모든 일들은 그 개인이나 그 가족들에게 특별한 노력을 요하는 위기적 상황들이다.
이러한 위기들은 매우 심각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 미리 예견할 수 있는 것들이며,
본인이 인생의 새로운 단계에 적응하는 것을 배우게 되면 저절로 해결된다.
사고 위기란 이름 그대로 예견하기가 매우 힘들며, 따라서 좀더 강한 충격을 준다.
갑작스런 지위나 재산의 상실, 사랑하는 사람의 교통 사고사,
예기치 않게 끝나 버린 약혼, 갑작스런 실직 등 이러한 일들은
그 본인에게 극도의 것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또
다(p97)음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할 때 혼란을 가져다
준다.
-----------------
위기에 대한 반응
위기에 처한 사람은 흔히 자기가 늘 문제를 다루던 방법을 먼저 찾게 된다.
그러나 그는 곧 이전의 방식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음을 알게 된다.
최초에 발생했던 긴장은 그대로 존재하면서,
여기에 그 문제에 대처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생긴 좌절과 혼란이 더해지게 된다.
이 시기에 그 개인이 지니고 있는 내적 자원이 모두 가동되게 된다.
그는 그 문제를 다루기 위해 시도하고는 실패하는 방법을 수도 없이 되풀이하며,
축적되어 있는 신체적 에너지에 의지하며,
그 상황을 다룰 수 있는 창조적이고도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내기 위해 머리를 짜낼 것이며,
그리고 변화되어질 수 없는 상황들을 수용하고 또 최대로 이용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만약 이 모든 방법이 실패하고 문제가 계속된다면,
그 사람은 결국 신체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아니면 양쪽 다 쇠약해지고 말 것이다
(주2. G. Caplan, Principle of Preventive Psychiatry(New York: Basic Books, 1964).
이것이 바로 소위 신경 쇠약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즉 긴장에 대처할 만한 내적 자원이나 정력이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는 것이다.
사람은 지친 채 포기하게 되며, 비현실이 세계로 퇴보해 들어가거나
불행하게도 그 문제를 부인하는,
그러나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동을 고집하게 된다.
'건강테크 > 내적치유 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게리 콜린스 - 친구간의 상담의 위험은 무엇인가? (0) | 2009.04.25 |
---|---|
[스크랩] 게리 콜린스 - 친구간의 상담의 위험은 무엇인가? 2. (0) | 2009.04.25 |
[스크랩] 게리 콜린스 - 각 위기의 독특성 (0) | 2009.04.25 |
[스크랩] 게리 콜린스 - 위기에 대처하는 일 (0) | 2009.04.25 |
[스크랩] 게리 콜린스 - 위기를 맞는 불건전한 방법과 건전한 방법 (0) | 200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