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아이의 치유를 위한 집단상담 (1) 순기능 가정의 특징 순기능적 가정은 가족구성원들이 서로 감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서로에 대한 자유로움을 느끼는 가족을 말한다. 서로에 대한 지지를 통해서 가족임을 확실히 느끼고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자원이 된다. 가족구성원들은 건강한 의미에서 갈등을 느끼고, 이를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반면에 역기능적 가정은 가족관계가 너무 엄격하거나 너무 자유로워서 가족들이 서로에 대해 지지를 받기 어려운 가정을 의미한다(김용태,1997, p.6). 건강한 가정 또는 순기능가정은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잘 기능하는 건강한 가정은 친밀감과 힘의 욕구, 의미에의 욕구가 충족되는 가정으로 존스와 부트만(Jones & Butman, 1991) 은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근거로 순기능가정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① 가족구성원이 서로 사랑과 고마움을 표현할 줄을 안다. ② 대화가 풍성하며 피차 생각과 감정과 소원을 전달할 수 있다. ③ 명확하게 정립된 세계관을 가지고 있으며 신앙을 공유하고 있다. ④ 여러가지 일에 함께 동참하며 함께 웃으며 즐거운시간을 가진다. ⑤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공유하며 집안의 전통과 약속을 중요시한다. ⑥ 도전과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p.353). 한편 브래드쇼(Bradshaw, 1988)는 순기능가정에는 친밀감과 협상을 통한 갈등해소, 개방적이고 융통성있는 역할분담, 실수를 용납할 수 있는 가족규칙, 있는 그대로 보고 듣고, 생각하고, 느끼고 원하고 상상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볼스윅 부부(Balswick & Balswick, 1989)는 가족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응집성(cohesion), 적응성(adaptability), 대화(communication), 그리고 역할구조(role structure)의 네가지 영역에서 제대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런 의미에서 밀착된(enmeshed) 가족, 격리된(disengaged) 가족, 혼란된(chaotic) 가족, 엄격한(rigid) 가족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역기 능적이 된다고 하겠다. 역기능 가정의 대화는 또한 피동적(passive)이거나 공격적 (aggresive)이어서 사랑안에서 진실을 말하는 자기주장적(assertive) 성격을 띠지 못한다. 역기능가정 역기능가정이라는 말은 처음에는 알코올중독자 가정에만 적용되었던 말인데, 이제는 도박꾼, 과식자, 거식자, 종교중독자, 성중독자, 일중독자가 있는 가정에도 적용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역기능가정이란 어떤 가정인가? “역기능가정이란 아이들이 신체적, 정서적 또는 영적으로 성숙하도록 사회화시킬 능력이 손상될 정도로 곤경에 처한 가정이다”(Sell, 1997, p.74). 그레이슨과 존슨(Grayson & Johnson, 1991)은 “건강하지 않은 관계유형이 가족구성원간에 존재함으로 부모가 자녀의 정서적 필요를 채워주지 못하는 가정”(p. 12)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스트레스의 관점에서 역기능가정을 정의하면,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충분한 자원을 동원할 수 없는 가정으로, 응집력과 적응력이 없어서 스트레스 때문에 더 긴장되고 와해되는 가정” (Curran, 1985, p.3)이라고 할 수 있다. 역기능가정에서는 가족구성원 모두가 상처를 받는다. 모든 식구가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 도움은 다른 식구의 사랑이 담긴 이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그리스도인 형제나, 지원그룹, 민감한 목사, 의사, 또는 상담자의 사랑스런 면책이나 지원의 형태를 띌 수도 있다. 비록 우리가 가족의 한 사람을 희생양 취급을 할 수도 있지만, 실상은 모든 가족구성원이 고통을 나누며 책임을 공유하는 것이다. 역기능가정은 가족체계 전체의 문제이다. 역기능가정의 특성 각종 중독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학자들 (Missildine, 1987; Sell, 1992; Hart, 1990)은 중독증상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순기능가정과 역기능가정을 구분하였다. 중독이란 습관적으로 또는 강박충동적으로 어떤 대상에 매이는 상태를 일컫는다. 따라서 “약물이나 대상, 느낌, 행동, 분위기, 또는 개인적 상호작용을 위해 강압적이고 반복적이며 지나친 욕구가 존재할 때 그 사람은 중독자로 간주된다” 결국 역기능가정이란 부모중 하나 또는 모두가 알코올을 비롯한 약물이나, 음식, 충동적 소비, 분노, 일, 종교,섹스, 도박에 중독된 가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는 이 부모를 전문가들은 “폭군아이 부모”(King Baby parent)라고 부른다. 이들은 왕과 같이 가족위에 군림하면서 그들의 원하는 것을 가족에게 강요함으로 폭군행세를 하며, 아이처럼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라고 요구한다 이러한 부모들은 자녀에게 의식주를 제공할지는 몰라도, 친밀감과 소속감과 같은 정서적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버드와 워렌은 역기능 가족체계가 지니는 다섯 가지 성격을 ①부모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약물중독상태인 경우, ②가족 중 정서적 질병이 있어, 심리적으로 혼란스러운 가정, ③몹시 가혹하거나 엄격한 규칙을 가진 가족, ④성적, 신체적 학대가 일어나는 가족, ⑤부모-자녀간에 부적절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가족으로 요약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역기능가정은 자녀에게 외상적 경험을 안겨주는 가정이다. 외상(trauma)이란 “개인의 심리적 발달에 심각하며 영속적인 피해를 주는 정서적 충격을 일컫는 데, 이러한 외상은 대개 신체적, 성적, 언어적, 경제적, 심리적 학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는 긍정적 성장보다는 사람에게 피해와 상처를 주는 행동유형이 되풀이 될 때 이를 역기능적이라고 이해한다. 「가족치유, 마음치유」의 저자 슬레지는 역기능가정 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①중독증세를 나타내는 가족에게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②감정표현을 제한한다, ③명백한 문제가 있는데도 이를 부인하고 공개적인 대화를 회피한다, ④어린이들에게 희생양, 영웅, 대리배우자, 말없는 아이, 마스코트 등 파괴적인 역할을 하도록 유도한다, ⑤어린이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지 못한다, ⑥외부세계와 단절되어 있다. 우리사회에 역기능가정은 얼마나 퍼져 있을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미국가족이 역기능적이라는데 동의한다. 심리학자 존 프릴과 상담자 린다 프릴은 90-95%의 가족이 역기능적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가족치료사 버지니아 사티어는 건강한 가족이 4%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Grayson & Johnson, p.12). 우리나라의 실정은 어떠한가? 알코올중독에서 회복되어 성인아이 치유사역을 하고 있는 이 영국(1998)은 우리나라의 음주인구는 2천만명에 달하고 알코올중독 상태에 빠져있는 사람들이 무려 350만명이 넘으며, 1천만명은 알코올로 인한 역기능가정에서 고통하고 있다고 진단한 적이 있다(p.9). 상호복종적인 부부관계(엡 5:21)보다는 가부장적 가족문화에서 충효를 절대가치로 가르치며 남존여비를 근간으로 삼았던 유교문화, 일제 36년간의 억압, 전쟁, 그리고 가난은 갖가지 역기능적 요인을 잉태하고 있어 가정과 사회 전체를 역기능적으로 만들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최현주, 1996). 한편 고병인(1996)은 “목회현장과 대학 등에서 상담을 하며 본인이 느낄 수 있었던 한가지 공통점은 예수를 믿어 구원을 얻고 성령세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릴적에 손상받은 과거의 자아를 해결하지 못한 성도들이 의외로 많다 는 것이다. 대개 그들은 역기능가정의 환경에서 성장한 삶의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이들의 신앙은 한국교회의 장점이자 단점이기도 한 열성주의적 신앙으로 발전하여 공로신앙, 상급신앙, 종국에는 율법주의적 신앙이 되어 유대교적인 신앙의 화석화현상을 야기시켜 교회내에 율법주의적이며 권위주의적인 역기능을 만들기도 한다”(pp.1-2)고 지적하고 있다.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
'건강테크 > 내적치유 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인아이의 치유를 위한 집단상담 (1) (0) | 2009.04.25 |
---|---|
[스크랩] 가정 : 순기능과 역기능 (0) | 2009.04.25 |
[스크랩] 성인아이의 치유를 위한 집단상담 (0) | 2009.04.25 |
[스크랩] 치유되지 않은 마음의 상처 (0) | 2009.04.25 |
[스크랩] 내적 치유의 원리 1. (0) | 200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