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글이란 수필로 한정합시다.
옛어른들은 글을 잘 쓰려면 三多를 해야한다고 하셨습니다.
1. 多商量(다상량)----생각을 많이 하라는 말입니다.
2. 多讀(다독)----많이 읽으라는 것입니다.
3. 多作(다작)---작품을 많이 써보라는 말입니다.
옛어른의 충고를 들으면서 제 말에 귀를 기울여 주세요.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은 글을 쓰기 위하여
컴퓨터 앞에 앉은 사람 누구나 할 수 있는 질문입니다.
우선 무엇을 쓸까라는 생각을 하겠지요.
무얼 써야 할까요?
저는 이렇게 권하고 싶습니다.
*깊이 감동받은 것을 써라!
내가 감동받지 않은 것은 독자도 감동하지 않습니다.
우선 자신이 감동받은 사실을 쓰기를 권합니다.
감동을 받았을지라도
대번에 글을 쓰기를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시간을 두고 기다려 봅시다.
시간이 흘러도 내 마음 속에서
지워지지 않는 무엇을 건져 올리세요.
흡사 술을 만들 때 누룩이 괴기를 기다리듯
우리의 생각이나 느낌이 괴어 오르기를 기다려 봅시다.
그리고 그 생각이나 느낌들을
건축가가 집을 짓듯이 잘 짜 맞추어 구성해 봅시다.
처음에는 어떻게 시작할까?
다음에는 시작한 것을 어떻게 이어 받아서 발전시킬까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극적인 반전같은 변화를 주어보세요
마침내 자기 생각으로 어떤 형상의 틀을 만들었다면
멋있게 마무리해 주는 것이 좋겠죠.
위에 설명한 것은 가장 안정적인 구성의 방식인
기승전결의 방식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세요?
대개 아무 생각없이 막글을 쓰지요.
아마추어들은 대개 마구 써내려갑니다.
이럴 때 글재주를 가진 사람들은 무심중간에도
자연스럽고 적절하게 글을 짜내려 간답니다.
그러나 글쓰기를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은 대개
머리 속으로, 혹은 창작 노우트에 실제로 글을 구성해 본답니다.
이렇게 도입을 하자, 그리고 이런 저런 에피소우드를 넣어서 발전시키자.
멋있다고 생각되는 글귀나 생각이 있어도
주제의식에 맞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잘라버리자.
이렇게 다듬어서 초점있고 풍성한 글을 만들어낸답니다.
글의 문체는 역시 그 사람을 나타내어 주기때문에
필자의 개성에 따라 간결하거나 화려하거나 건조하게 나오기도 한답니다.
모든 글들은 하나의 초점을 향하여 유기적이고 긴밀하게 연결될 때
명확하고 분명하며 뚜렷한 글이 되겠지요.
글의 형식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글의 내용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형식과 내용을 따로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이지만
설명해 보자면 그렇다는 것이죠.
필자의 문장이 조금 조악하다면 교정보는 사람이 고쳐 줄 수 있지만
글의 근본 내용은 아무도 어쩌지 못하거든요.
그러니까 누구도 쓸 수 없는 신선하고 독창적인 글을 쓰려면
옛어른의 충고처럼 독서를 많이 하고 많이 생각하면서
감수성의 날도 세워야 하겠지요.
독창적인 것이란 터무니없고 엉뚱한 것이 아니랍니다.
조금 시각을 달리하거나 입장을 달리하여도 독창성이 생깁니다.
설령 문장이 깔끔하고 그럴싸해도 내용이 진부하거나
저열하다면 곤란하겠지요. 물론 문장력 있는 사람이
알맹이 없는 내용의 글을 쓰지도 않을 것이지만 말입니다. ^^
그래서 저는 여러분에게 책을 많이 읽고
세상의 모든 것들에 대하여 많이 고민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모든것들은 예민하게 느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요.
생각을 키울려면 매사에 왜
라는 질문을 해 보세요. 왜 왜 왜 왜!!!!
감수성은 천성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지만
노력으로 개발시킬 수도 있답니다.
사고능력도 마찬가지고요.
복잡하고 다양한 생활과 인간관계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간다면
사고능력은 자연스럽게 신장될 것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아무렇게나 제멋대로 글을 썼다면
이번 시간에는 무엇을 쓸까에 초점을 두면서 글을 한번 써봅시다.
글을 쓰기 전에 말로서 자기가 쓸 것을 발표해 봅시다.
'기본,기초,기술테크 > 기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 4강, 어떻게 쓸까? 2 (0) | 2009.07.16 |
---|---|
[스크랩] 제 3강, 어떻게 쓸까?1 (0) | 2009.07.16 |
[스크랩] 제1강, 글쓰기 지도의 기초 (0) | 2009.07.16 |
[스크랩] 해설과 함께 하는 팝송 자료 300곡 (0) | 2009.07.16 |
[스크랩] 중국지도 (0) | 200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