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 대기업들의 인도시장공략...
국내 주요 기업들이 세계 2위 인구 대국(大國)인 인도를 대상으로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다.
LG전자는 6일 인도 남서부 푸네에서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쌍수 LG전자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공장 준공식을 갖고, 2010년까지 인도 현지 매출 규모를 100억달러로 늘린다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인도 시장 3대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LG전자는 지금까지 인도 북부 노이다 공장에서 TV·냉장고·에어컨 등을 생산해 왔으며, 올해 매출은 10억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LG전자가 발표한 3대 성장전략은 이 밖에 내년 초 푸네 공장에 GSM(유럽식 이동통신) 휴대전화기 생산라인을 신설하고, 2007년까지 현지 연구개발(R&D) 인력을 현재 750여명에서 1500명으로 늘린다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2007년까지 모두 1억5000만달러를 인도에 투자할 계획이다.
김쌍수 부회장은 “인도 남부의 교통 요지에 공장을 갖게 돼 물류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도 홈 네트워크나 차세대 인터넷 등 첨단기술 연구를 위해 인도에서 앞으로 2년 동안 250명의 엔지니어를 추가로 고용할 계획이다. 최지성(崔志成) 사장은 “현재 방갈로르와 노이다에 있는 연구센터의 인력을 2007년까지 1100명으로 늘릴 예정”이라면서 “이들이 개발한 기술을 삼성전자의 세계적 영업망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에 앞서 지난 5일 “앞으로 10년 안에 철강 생산 능력을 연간 5000만t 수준으로 늘리기 위해 인도 오리사주(州)에 제철소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리사주에는 양질(良質)의 철광석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현재 연간 3000만t 규모의 철광석 채굴 사업을 인도 정부에 신청한 상태다. 강창오(姜昌五) 포스코 사장은 “인도에 연간 1000만t 규모의 철강 생산이 가능한 세계적 수준의 통합형 제철소를 세울 계획”이라며 “오는 2009년부터 조업을 시작한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인도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현대자동차는 올해 현지 생산 능력을 20만대에서 25만대로 늘렸으며, 현재 생산 중인 모델인 액센트·쏘나타·아토스 외에 조만간 클릭도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또 두산중공업은 지난 5월부터 3억7000만달러 규모의 인도 최대 화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으며, 쌍용건설은 현재 인도 제3 국가고속도로를 닦고 있다.
'신앙테크 > 인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빤짐, 고아 / 여기 꼬맹이들도 게임에 푹 빠져있네요... 와우, 카스... (0) | 2009.08.05 |
---|---|
[스크랩] 카르나타카 주 (0) | 2009.08.05 |
[스크랩] 인도에 있다는 세계문화유산들 (0) | 2009.08.05 |
[스크랩] 인도 "대리모 외화벌이" (0) | 2009.08.05 |
[스크랩] 인도 `어린이 포레스트 검프` (0) | 2009.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