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indoin.co.kr/images/board_title_indiainfo_fes_7.gif)
|
Rath yatra - 푸리 ,오리샤
화려한 전차 축제가 푸리에 있는 유명한 자가나트 사원에서 거행된다. 우주를 관장하는 자가나트 신의 상, 그리고 그의 여동생 슈부하드라의 상, 형인 발브하드라의 상이 세개의 커다란 전차에 올려져 행진을 합니다. 메인 전차는 높이 14m, 사방10m, 16개의 바퀴로 이루어지는데 수천명의 숭배자들이 전차를 1.5km 떨어진 군디차 만디르로 끌고 간다.
|
|
In-ul-Zuha - 인도 전역
전세계에서 축하하는 이슬람교의 축제로 인도 전역에 걸쳐 거행되며, 사원의 교인이 행사를 주관하고 준비된 특별한 음식을 축제에 참가한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나누어 준다.
|
|
International Mango Festival - 델리
델리에서 벌어지는 특별한 망고축제에서는 많은 종류의 망고맛을 감상 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문화행사가 이 축제를 더 재미있게 하기도 한다.
|
|
Chetichand 축제
Sind 지역 주민들의 주요한 축제이며 그들 가정의 수호신의 탄신을 축하해 주는 축제이다. 매년 40일간의 축제가 이뤄지며 일반덕으로 7월16일부터 8월24일까지 이다. 이 기간동안 사람들은 청동으로 만든 그릇에다 등을 밝히는 의식을 수행한다.
|
| |
![](http://www.indoin.co.kr/images/board_title_indiainfo_fes_8.gif)
|
자나마쉬타미 (Janamashtami : All over India)
이 축제는 크리쉬나 신의 탄생을 축하하는 축제로서 8월과 9월 사이에 인도 전역에서 거행되는 축제이다. 이때 신전들은 여러가지것들로 장식되고 종이 울리며 소라고동이 연주된다. 그리고 크리쉬나신을 찬양하기위해 산스크리트 찬가가 들려 진다. 크리쉬나 신을 따르는 추종자들은 이때에 24시간 동안 금식을 거행하며 이 금식은 그날밤 12시에 끝나게 된다. 이것은 크리쉬나신 이 태어난 시각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이축제는 크리쉬나 신상이 우유로 닦기어지며 그의 이름은 108번 송영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그리고 특히 크리쉬나가 그의 유년시절과 청년기를 보냈던 마투라(Mathura)와 브린다반(Brindavan) 지역에서는 크리쉬나의 일생으로부터 나온 에피소드를 묘사한 크리쉬나 릴라(Krishna Leela, 크리쉬나의 흥미진진한 청년기 이야기)등 이와 같은 공연이 젊은 남자들에 의해서 하일라이트로 장식된다. 또한 이날을 위한 특별한 스윗(설탕, 버터, 우유등으로 만드는 과자)이 준비되고 마하라쉬트라(Maharashtra)에서는 두부와 버터를 담는 토기항아리가 거리 곳곳에 높이 매달리고 서로의 어깨 위로 올라가 인간 피라미드를 만들어 높이 매달린 항아리를 부수려고 노력한다.
|
|
독립기념일(Independence day : 전국 8월 15일)
인도의 독립기념일은 매년 우리의 양력으로 8월 15일에 거행되는 행사로서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기념하여 거행하는 행사이다. 인도의 대통령과 수상이 랄킬라에서 연설을 메인행사로 해서 인디아 게이트로 많은 이들이 몰려가는 것이 행사의 기본맥락이며 이날에는 어지간하면 이 행사를 보려고 합류하려고 시도하지 않아도 될만큼 많은 인파와 검문검색으로 무진장 지겨운 하루를 보내게 되며 또한 귀중품들과 소지품을 하루종일 무진장 조심하면서 이 행사를 지켜봐야 할정도로 많은 이들이 자신의 대목으로서 기념하는 날이기도 하다.
|
|
럭샤반단 (Rakshabandhan, Rakhi : 전국)
럭샤반단은 쉬라반의 달 즉 7월과 8월사이에 걸쳐있는 보름달이 뜬 날 즉 프르니마의 날에 거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락키 프르니마라고도 불려지기도 한다. 락키 프르니마의 주요한 행사들은 여러지방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 된다. 서인도에서는 이축제가 나르디 프르니마 또는 코코넛 풀문 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힌두이즘에 따르면 코코넛은 주요한 종교적 상징을 지니고 있다. 코코넛의 세개의 눈들은 쉬바신의 세개의 눈을 상징하기도 한다. 따라서 코코넛은 힌두축제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코코넛은 뭄바이에 있는 바닷가에서 대단한 군중들의 모임과 함께 물의 신에게 받쳐지기도 한다. 이 락키축제는 살루노라고도 불려지는데 이것은 새해를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살리누롭부터 온 것이다. 하여간 이 축제는 형제와 자매들 사이의 사랑의 연합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락키는 가까운 친구나 이웃사이에서도 기념되는데 서로의 팔목에 끈을 묶어주기도 한다. 보편적으로 여인들은 자신들의 남자형제에게 락키를 묶어주는데 오른팔목에 묶어주는 것이다. 이 럭샤반단은 중세기에는 라자스탄 지역에서 주로 성행되었으며 프르니마의 특별한날에 마르와르에서 럭샤반단으로서 거행되???고 점차 전 라자스탄지역으로 퍼졌으며 마침내는 전 인도로 퍼지게된다. 럭샤반단은 점차적으로 종교적인 측면이 강하게 첨가되어졌다.
현재는 관행적으로 결혼을 했던 하지 않었던 한 집안의 여자형제들은 남자 형제들에게 락키라고 불리는 시중에서 많이 팔리고 있는 끈을 묶어주면서 남자형제들의 안녕을 빌고 신에게 기원을 드린다. 이것은 이 남자 형제들이 자신들을 지켜주는 커다란 힘이며 이 힘들이 오래도록 존속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락키를 받은 남자 형제들은 이 여자형제들을 위하여 그녀들의 옆에서 보호할것을 맹세한다. 또한 락키에 대한 보답으로 선물이나 돈을 준비했다가 여자형제들에게 건네는것을 관습으로 하고 있다. 이날만큼은 결혼한 여인들도 곱게 단장하고 친정을 찾아 나들이를 하며 온가족이 모여 대화와 먹고 즐기는 것을 하루의 일과를 삼는다. 대개 거리는 조용하며 한산한 느낌을 보여주며 마치 한국의 추석과 같은 느낌을 받기에 별반 지장이 없을 정도로 비슷한 느낌을 준다. 인도에서 여성이 혼자 살아간다는 것은 불가능 하며 결국 남자 형제 혹은 자신들의 종족 공동체의 보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현대의 럭샤반단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
오남 (Onam : 께랄라)
화려한 오남은 께랄라의 주요한 축제이다. 이 축제는 8월과 9월사이의 기간에 열리는 것으로 남서인디아의 몬순이 끝나는 시점에 열리는 것으로 주변이 온통 초록으로 물들어 있는 기간이며 온갖 생산물에 감사를 드리는 기간이기도 하다. 오남은 역시 추수제의 의미도 들어있으며 많은 생산물을 추수하는 기쁨과 추수후에 다가오는 안식을 축하하는 축제이기도 하다. 이 축제기간동안 온 동네사람들은 신화속에 나오는 발리왕을 맞이하기 위해서 집안을 단장하고 꽂과 빛으로 장식을 하고 재미있고 흥미로운 우화등이 장식되며 집안의 나이든 어른들은 각가족들에게 선물을 나누어 주며 집안사람들에게 옷을 선물하는 풍습을 지니고 있다. 또한 바마나의 사진이나 모습등은 각 가정에 모셔져 있으며 신전에서는 바마나에게 푸자를 드린다. 바마나의 발은 발리왕의 머리에 놓여져 있는 모습이 신전에 그려져 있으며 이 신전을 중심으로 오남축제의 성대함이 집중된다.
|
| |
![](http://www.indoin.co.kr/images/board_title_indiainfo_fes_9.gif)
|
가네쉬 차투르티 (Ganesh Chaturti 9월 10일)
가네쉬에 대한 숭배는 전인도에 걸쳐서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서 대개 어느 종교적행사나 축제에서도 이 가네쉬에 대한 숭배는 빠지지 않고 거행되는 것이다. 가네쉬 차투르띠는 바돈 또는 바드라빠드(8월과 9월)달에 거행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사회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른 어떤축제도 가네쉬축제의 점진적인 전개처럼 그렇게 생명력있게 사회적인 전개로 그려지지는 못한다. 가네쉬에 대한 숭배에 대한 기원은 아리안시대 이전으로 올라간다. 북쪽지역에서는 가네쉬는 종족의 신으로서 숭배되었으며 그들의 토템은 코끼리였다. 가네쉬와 함께 그려지는 쥐도 역시 소수부족의 토템이었다. 아리안시대 이전의 신으로서의 쉬바 또한 모헨조다로와 하라파문명에서 분명히 드러나는 것이었다. 민주주의는 고대부족들사이에서는 하나의 규범과도 같은 것이었다. 가나라는 의미는 종족을 의미하는 것이며 가나-이샤는 백성들의 우두머리 즉 리더를 의미하는 말이었다. 아리안족이 역사의 무대에 나타났을때 즉 인도로의 침입을 한이후에 가네쉬는 비그나라즈 또는 방해물의 리더로서 알려졌다. 작은 종족의 민주정체는 아리안의 강력한 왕권에 그리고 브라만의식에 도전을 시도했다. 이즈음에서 종족이나 부족들을 이겨내고 그들의 멸망을 당연한것으로 주장하는 마우리야왕조그리고 그 왕조의 정치고문인 차냐꺄의 등장이 있었다. 여러곳에 사는 종족들이 패하면서 이미 항간에 널리퍼져있던 가네쉬숭배가 아리안들에 의해서 채택되었으며 그것은 사람들을 달래기 위해서 취해진 하나의 정책적인 행위였을뿐이었다. 결국 갈등과 동화의 작용은 가네쉬으로 하여금 하나의 종족신앙에서 아리안의 신으로까지의 승격을 초래하게 만들었다. 결국 하늘의 신이며 신들의 신인 인드라의 애완코끼리인 아이라밧처럼 코끼리의 코를 언급함으로써 일개 부족의 신에서 더 높은 존재로의 승격이 이루어 지게 된것이다. 가네쉬는 각각 다른 부족들에서 여러가지의 이름으로 숭앙되고 있는 존재이다. 무려 50여개가 넘는 각기 다른 형상으로서의 가네쉬숭배는 이름도 다양하다. 엑크단타, 까필, 람보더, 수묵 등등이 있다. 경전에 의하면 오직 인간들만이 가네쉬를 숭배하는 것이 아니라 신들도 마찬가지로 가네쉬를 숭배한다고 나와있다. 브라마의 경우에는 그가 창조를 시작하기전에 가네쉬에게 기도를 했으며 쉬바는 악마인 트리푸라를 정복하기 전에 기도를 했고 두르가는 마히사수라를 파멸시키기전에 카마데바는 우주를 정복하기 전에 그리고 비슈누는 악마의 왕인 발리를 물리치기전에 기도를 했으며 마침내는 세샤나가는 그의 머리로 지구를 나르기전에 가네쉬에게 각각 기도를 한다고 했다. 동인도에서는 특별히 벵갈에서는 가네쉬는 농작물의 새로운 수확과 새해를 알려주는 존재로서 숭배를 받고 있으며 모든 벵갈지역에서 가네쉬는 주요하게 지켜지는 축제의 주인공이다. 가네쉬 차투르티는 몬순의 끝무렵 즉 거의 몬순이 끝나는 시점에 지켜지는 축제로서 10흘간이나 벌어지는 이 축제행사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리고 사람들의 삶의 일부분을 흥겨움과 웃음으로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대부분의 가정에서 가네쉬의 신상은 모셔지고 있으며 마을집단의 가네쉬에 대한 숭배도 또한 널리 퍼져있는 행사이기도 하다. 신상은 다양한 색깔과 모양과 크기로서 나타나며 어떠한 경우에는 가네쉬의 신상을 행사를 앞두고 만들기도 하는데 그 크기는 엄청난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신상은 사람들의 행렬의 중간에 모셔지며 각 가정들은 아름답게 자신들의 집을 장식하며 거리는 마치 요정들의 나라인냥 치장을 갖추게 된다. 신상은 예술적인 치장이 입혀지게 되며 공식적인 행사들이 곳곳에서 열리게 되는데 즉 놀이와 음악연주등등이 기획된다. 숭배자들은 이때에 가네쉬의 신상옆에서 밤을 꼬박지새워야하는 철칙이 주어지게 된다. 특히 마하라쉬트라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거리로 뛰쳐나가서 가네쉬신상을 구경하며 도시야경의 환상적인 맛을 즐기려고 밖으로 나간다. 축제기간의 마지막날인 10흘째 되는 날에는 모든 가네쉬 신상들이 줄을 맞추어서 시내에서 퍼레이드를 이루며 제사장들은 기도를 바치며 사람들은 온동네에서 춤을 추며 가네쉬축제가 그리고 가네쉬신이 다음해에 다시돌아올 것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축제의 마지막을 장식하게 된다.
|
|
신들의 축제
힌두 Ashwin 달의 첫날부터 열흘간 벌어지는 이 축제에는 신들의 계곡 절에 신상들이 모인다. 신들의 축제는 원래 "Raghunathji" 산에 있는 절에 있는 "Raghunathji"를 숭배하는 "Dussehra" 축제이다. Raghunathji와 다른 신들은 이 연회이 주인인 "Hadimba" 여신이 Manali에서 도착할 때까지 마을 밖에서 기다리게 된다. Hadimba가 도착하면 Raghunathji가 200여 신들에 둘러싸여지고 자치마다이 열리게 된다. 연회는 밤낮으로 계속되는데 karnal, dhoi, narsinghas 등의 악기 연주와 민속 춤은 이색적인 볼거리를 제공한다.
|
| |
![](http://www.indoin.co.kr/images/board_title_indiainfo_fes_10.gif)
|
두세라 (Dussehra, 인도 전역)
라마(Rama) 신의 라바나(Ravana) 격퇴를 기념하는 두세라 축제는 악을 물리치는 선의 승리를 상징한다. 라마 신의 일생을 연극화한 람리라(Ramlila)가 두세라 축제일전 9일 동안 공연된다. 열번째 날에는 라바나의 우상과 그의 아들과 형제의 우상이 불에 태워진다. 웨스트벵갈 지역에서는 아름답게 장식된 여신 두르가(Durga)의 상 주위에 사람들이 모여들어 이 축제를 즐긴다. 남인도에서는 집집마다 흙으로 빚은 신의 상으로 장식을 하고 사람들은 기쁨을 교환하기 위해 친지나 친구의 집을 서로 방문한다.
|
|
라마야나 (Ramayana)
라마가 나아간 길이란 선스크리트어로 흔히 라마의 사랑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시인 발미키가 BC300년 이후에 쓴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 전해지는 것은 약 2만 4,000개의 2행연구가 7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랑카의 마왕 라바나에게 납치된 아내인 시타를 구하기 위해 주인공인 라마가 떠난다. 수많은 모험 끝에 원숭이들의 왕 수그리바와 동맹을 맺고 마침내 마왕 라바나를 무찌르고 시타를 구해낸다는 이야기이다. 이 시는 인도에서 지금도 대단한 인기를 누릴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인도네시아 태국등 동남아시아 전역에 퍼졌다. 이 시의 주인공들은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판다바 형제들과 함께 전통적인 자바-발리 연극의 주인공이 되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많은 사원 건축물에 라마야나에 나오는 사건들이 부조로 조각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
마하바라타 (Mahabharata)
바라타왕족의 대서사시라는 뜻으로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종교적 감화를 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BC 400~AD 200년경에 완성된 것으로 친척이던 카우라바가문과 판다바가문 사이에 벌어지는왕권쟁탈전을 다루고 있다. 마하바라타에 들어있는 바가바드기타는 윤회를 벗어나 해탈을 얻으려는 사람이 지켜야 할 행위(Dharma)를 밝히고 있는만큼 가장 중요한 힌두교 성전으로 다뤄지고 있다.
|
|
간디 탄생일
2002 10월 2일은 간디의 133회 탄생기념일로서 전 인도가 간디를 국가의 아버지로서 여기고 섬기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날이다. 온 인도가 국가의 공휴일로서 이날을 기념하며 간디의 국가에 대한 헌신과 봉사와 그의 행위들을 기리는 날로서 이날을 기념하고 있다. 인도에서 현재 누군가의 탄생일로서 지키는 날은 크리쉬나 생일과, 부처의 생일, 그리고 간디의 생일이 그 기념일로서 말할 수 있다. 대부분의 관공서와 학교, 기업, 가게 등이 문을 닫고 하루를 가족들과 함께 가정에서 혹은 야외에서 보내며 간디와 관련된 행사를 하는 여러군데의 장소등을 방문하면서 간디의 생일을 지키고 있다. 또한 몇가지 중요한 행사로서는 간디를 기념하면서 벌이는 평화행진, 간디의 모습을 흉내내는 아이들의 콘테스트 그리고 라즈가트에서의 간디 추모 행사등을 들 수 있다.
|
|
두루가 (Durga, 벵갈지역)
Aswin(9월~10월)의 달의 청명한 푸른 하늘은 이 달들의 상징과도 같은 하얀 양털 구름, 부드러운 산들바람, 따뜻한 햇빛 그리고 'kash' 꽃들로 정돈 된다. 이 시기는 두루가 푸자를 위한 것으로 벵갈의 중요 축제이고 모든 벵갈 사람들의 마음에 새로운 희망을 가져다 주는 시기이기도 하다. 두루가 푸자(Durga Puja) 또는 두루고차바(Durgotsava)는 사라와티 푸자(Saraswati Puja)의 끝과 연결된 축제로 시작된다. 찬디로부터 마할라야와 동트기전의 찬송가가 두루고차바의 강림을 알린다. 축제 준비와 행사에 대한 기대는 푸자를 하는 날과 Shashit, Saptami, Ashtami 그리고 Nabami 때에 최고조에 이른다. 드럼의 박자, 심벌즈를 치는 소리, 종의 울림, 두루가 형상전의 춤들, 공기 안에서 흔들리는 향 등이 전체적인 두루가 푸자의 모든 형식이다. 위의 형상들은 곧 행렬안에서 물속에 담기게 되는데 이 날이 비요얌이다. 벨갈사람들은 그들의 일상의 삶으로 돌아가 다음 해를 기다리며 여신을 환영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가 아는 것처럼 두루가 푸자는 인생의 노정, 신분의 차이, 신념과 종교로부터 모든 사람들을 한데 묶는 축제이다. 소수의 집에서 그들이 여전히 개인적인 푸자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두루가 푸자는 공동체 축제 이다. 두루고차바는 여러 계층의 사람들을 위한 생계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해왔으며 광고인, 성직자, 꽃파는 사람, 드럼연주자, 식료품업자, 과자를 만드는 사람, 자원봉사자등은 이 축제의 부분이면서 전부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이 시기는 선물을 교환하는 때이며 새 옷을 드디어 입기 위한 시즌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이 푸자는 종교적 열광을 생기게 할 뿐만 아니라 무수한 사람들에게 수입을 준다. 두루가 푸자의 주목한 말한 특징은 잡지에서의 푸자에 관한 이슈이다. 이 문화적인 관점은 마하라야의 전날에 제공되는 문학이다. 벵갈의 독특한 특징은 문화의 선두로서 항상 우리에게 상기되어 왔다. 푸자와 연관되어진 문화적 행사와 여성모임들이 열리며 이 모임들은 다양한 지방 예술과 시골 산업들로 연결되어지고 개발된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두르가 푸자는 과거에 비하면 많은 변화를 거쳤다. 그것은 전세계에 걸쳐서 벵갈 사람들에게서만 거행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바로야르 혹은 12명이 친구들이 함께 참여해서 두르가 푸자를 거행했으며 따라서 바로야리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했다. 켈커타에 있는 몇몇의 두르가 푸자는 전체적으로 여성에 의해서만 진행되기도 하며 현재 이 두르가 푸자는 사회 공동체 전체의 축제이며 벵갈의 전 지역에서 거행되는 축제 이기도 하다.
|
| |
![](http://www.indoin.co.kr/images/board_title_indiainfo_fes_11.gif)
|
빛의 축제 (디왈리, Diwal)
빛의 축제인 디왈리는 크리쉬나 차투르다시의 달인 칼틱(9월과 10월)에 열린다. 그 달은 28일 안에 지구의 둘레를 돈다. 이 동안 14일간은 빛의 날들이고 15일간은 어둠의 날들이다. 크리쉬나 차투르다시는 이 기간동안의 가장 어두운 저녁이다. 디왈리는 홀리와 더세라에 이어 전 인도가 기념하는 3개의 중요한 페스티발 중에 하나이다. 이 디왈리 축제는 다른 축제들과는 달리 형식이나 성질에서 다른 면을 보이고 있으며 그 이유는 칼리 의식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디왈리 축제의 신화적인 배경은 많고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로는 더세라 승리의 주역인 라마가 랑카에서 라바나(악마)를 물리치고 난후 아요디아로 돌아올 때 아요디아 사람들이 불과 등으로 이 날을 기념한 것을 신화적 배경으로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신화로는 카르틱의 달에 나락카수라라는 악마가 현재의 마투라 지역의 부린다반의 모든 시골처녀 납치함으로써 이에 분노한 크리쉬나 신이 악마 나락카수라를 죽이게 된다. 그리고 이 지역의 모든 시골 처녀들이 구출 받게 되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온 마투라와 부린다반 지역에서 등과 불로써 축하를 벌이는 것이 또 다른 신화적 배경이다. 다른 신화적 배경은 부와 지혜의 상징으로 나타나는 락시미 여신이 이날에 각 가정을 방문하여 축복을 내려준다는 신화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락시미 여신은 어둡고 더러운 곳을 싫어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날 집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새 옷과 새로움으로 단장하고 락시미 여신을 맞이하는데 이때 사람들은 집안 구석 구석을 빛추기 위하여 그리고 이 여신이 자신의 집에 잘 찾아오게 하기 위하여 불과 등으로 환히 밝히는 이유가 있다. 이 축제의 사회적 측면의 배경을 보면 매우 흥미롭다. 비 아리안 계통의 종족들인 카티야, 카우시키, 빠르나사바리 그리고 기타 종족들에 의하여 칼리 숭배의 증거들을 발견할 수 있다. 여신인 칼리는 크리쉬나 차투르다시 달의 가장 어두운 날에 숭배되어져 왔다. 그녀는 두렵고 벌거벗은 대상으로서 인지되어 왔으며 어둠만이 그녀의 옷이었다. 어둠으로 인하여 칼리 숭배는 가장 환한 조명 하에서 치뤄지게 되며 폭죽들이 악마의 악한 정신들을 막기 위하여 터트려 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축제는 아리안의 제의식으로 진입하게 되며 점차적으로 이 두려운 형상이 다른 형태로 대체되게 되었다. 칼리 여신은 각각 다른 지역들에서 여러가지 이름으로 나타나게 된다. 안드라 프라데쉬와 카라나타카 주에서 이 칼리 여신은 차문데시와리라고 불려지며 칸치 지방에서는 카막쉬 그리고 미낙쉬로 불려지며 마두라이를 비롯하여 더 아래쪽의 인도 남부에서는 무크 암비카로 불려진다. 인도의 동쪽 지역들에서는 마하 칼리로 불려지고 있다. 이 칼리 푸자는 동쪽 지역 특히 뱅갈 지역에서는 중단되었었다. 그러나 16세기 경에 크리쉬나난다 아람바귀쉬가 이 칼리 푸자를 초기의 형태로 재 도입했다. 점차적으로 이 칼리 푸자는 쉬바 숭배로 연결되어 졌으며 뱅갈 지역의 독특한 특징을 이루어 가게 되었다. 뱅갈 사람들은 이 축제를 대중적이고 익숙한 현상으로 만들어 갔다. 그리고 두려운 여신인 칼리는 쉬야마, 바드로칼리, 락샤칼리, 시다칼리 등등으로 되어갔다. 가장 대중적인 형태로서의 칼리 푸자는 칼리와 쉬바의 숭배에 있다. 이 축제는 현재 전 인도인의 축제이며 디왈리는 빛과 등불의 축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관광객들에게도 축제가 주는 환상적인 분위기에 젖게하기에 충분하다.
|
|
Ramzan 또는 Id-ul-Fitr 축제
10월과 11월에 있는 성스로운 ‘라마단’직후에 있는 이슬람교도들의 축제이다. 일부 이슬람교도들은 그들의 경전이 이달의 마지막 10일 중 어느 날 밤에 천국에서 ???으로 떨어졌다고 말한다. 선지자 무하마드는 형제애의 감정을 더욱 다지는 의미에서 어느 한날을 축제의 날로 선포하였다. 라마단 기간 중에는 이슬람 교도들은 낮에는 굶고 물도 마시지 않은다. 해가 진 이후에만 먹는다. Ramzan은 금싱을 중간하는 축하를 의미한다. 남자들은 순결과 금욕을 상징하는 하얀옷을 입고 여성들은 과자를 준비한다.
|
| |
![](http://www.indoin.co.kr/images/board_title_indiainfo_fes_12.gif)
|
크리스마스
기독교인들 뿐만 아니라 타 종교의 사람들도 크리스마스를 열광적으로 축하한다. 델리, 뭄바이, 켈커타와 같은 큰 도시들에서는 축제분위기로 고조되고, 크리스마스 바겐세일과 축제행사가 진행된다.
|
|
조르멜라 (Jor mela)
푼잡에 있는 시르힌드라는 지역에서 매년 3일간 열리는 이 축제는 수 천의 사람들이 주요성지로 몰려드는 때이기도 하다. 이 축제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3세기 전에 시르힌드는 파테가르 사힙 구르드와라에 의해 기념되어진 승리의 장소였다. 이 숭배의 장소는 또한 구르고빈드싱의 두 어린아들의 순교지로서도 이름이 나있는 곳이며, 구르고빈드싱의 두 아들은 산채로 이곳에서 매장을 당하였다. 푼잡의 방그라 그리고 기다 라는 춤의 리듬에는 성스러운 이야기에 대한 찬양과 주문이 섞여져 있다. 시르힌드는 찬디가르에서 60km, 그리고 루디아나로부터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
|
마하바라타 우싸브 (Mahabharata Utsav)
이 축제는 하르야나에서 열리는 축제로 쉬리마드 바그와드 기타의 생일을 축하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때에는 바그와드 기타에 대한 토론회와 고대 마하바라타의 근간을 두고 있는 야외극 그리고 크리쉬나 신을 기념하는 발레, 사회봉사활동을 위한 캠프 등이 이 행사의 주요 볼거리들로 나타나게 된다.
|
|
갈단나코트 (Galdan nakchot)
이 축제는 라닥에서 열리는 것으로 이 지역에 있는 곰파(절)들의 축제이다.
|
|
바이쿤트 에카다시 (Vaikunth Ekidasi)
스리랑감에 랑가나타스와미 신의 유명한 바이쉬나비뜨에서 열리는 바이쿤트 에카다시 축제는 매년 20일간 진행이 되며, 12월에 열린다. 이 때에 타밀라두로부터 그리고 다른 지역으로부터 수천의 숭배자들이 이 바이쿤트 에카다시 사원으로 모여든다. 이 성스러운 날에는 웃사바 신상을 빠람빠다바살(의식)을 거쳐서 순래자들에게 공개가 되어진다.
|
|
이둘 피뜨르 (Idul fitr)
무술림의 축제이다. 이 축제 기간 동안에는 술을 살 수 없다.
|
|
구르 테그 바하두르(Guru Tegh Bahadur) 순교일
시크교의 구르였던, 테그 바하두르의 순교일을 기념하는 축제이며 이날은 델리 저녁이 아수라장이 된다.
|
|
성 프란시스의 날
성 Francis Xavier는 스페인의 카톨릭 선교사였다. 그의 유체는 고아에 있는 Bom Jesus 성당 Basilica에 은으로 된 관 안에 안치되어있다. 그의 죽음을 추모하는 의식은 그가 매장된 12월3일에 시작된다. 전에는 매 10년마다 그의 유체가 유리상자로 밀봉된 채, 보고 경배를 드릴수 있도록 발만 보이게 했었다. 인도 전국에서 성인을 조금이라도 보기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1994년 교회는 더 이상 유체를 공개하지 않기로 하였다.
| |
<출처 : INDOIN>
출처 : 여행가이드 [국내여행,유럽여행,일본여행,중국여행,동남아여행]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