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역사이야기 388

[스크랩] 5. 수원 화성 ( Suwon Hwaseong Fortress : 문화, 1997 )

수원화성은 조선왕조 제22대 정조대왕이 선왕인 영조의 둘째왕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 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 남쪽의 화산으로 이장하고, 화산부근에 있던 읍치를 1798년 (정조13년) 수원의..

[스크랩] 6.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Historic Areas, 문화, 2000)

2000년 12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유산이 산재해 있는 종합역사지구로서 유적의 성격에 따라 모두 5개 지구로 나누어져 있는데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신라 왕을 비롯한 고분군 분포..

[스크랩] 7. 고창, 화순, 강화 의 고인돌 유적 (Dolmen Sites : 문화, 2000)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고인돌이 많이 남아 있는 나라 중의 하나 이다. 기원전 2 ~ 3000년 전의 고인돌 이 우리나라 고창군, 화순군, 강화군등에 잘 보존되어 있다. 이들을 한 건으로 하여, 2000년에 지정 되었다. 고인돌 이라는 것은 선사시대의 돌무덤의 일종으로 영어로는 돌멘(Dolmen)이라고 한다. 고인돌..

[스크랩] 8. 고구려 고분군 (The Complex of the Koguryo Tombs 문화, 2004)

고구려의 3번째 수도인 평양성 일대에 산재해 있는 고구려 유적들은 한국내전 때 다 없어지고 현재는 고분들만이 남아있다. 이들 중 벽화가 있는 고분 63기 가 2004.7.1 중국 소주시에서 개최된 세계유산위원회의 승인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이는 한국의 8번째이며, 북한 소재한 것 중에..

[스크랩] 중국땅에 남아 있는 고구려 유적 찾아보기

역대 왕조중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했던 고구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영토가 넓었고, 가장 강력했던 국가인 고구려의 유적을 북한에 가서 찾아볼 수는 없어도 중국에 들어가서 찾아 볼 수는 있습니다. 지금 중국이 역사를 조작하여 자기네 들의 변방국가라고 주장하는 고구려의 유적들을 찾아 보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