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skin/book_pro_top.gif)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m2_blank.gif)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m2_blank.gif)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em_icon10.gif)
책 속으로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m2_blank.gif)
1982년 라틴 아메리카 대륙이 겪어야 했던 역사의 '리얼리티'와 원시 토착 신화의 마술 같은 '상상력'을 결합한 『백년의 고독』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신작 소설. 90세에 이른 작가가 90세의 노인의...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m2_blank.gif)
나의 평가
![꽤 괜찮아요](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h_i_star01.gif)
![꽤 괜찮아요](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h_i_star01.gif)
![꽤 괜찮아요](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h_i_star01.gif)
![꽤 괜찮아요](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h_i_star01.gif)
![꽤 괜찮아요](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h_i_star02.gif)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tem_icon10.gif)
이 책은..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m2_blank.gif)
그의 책 '백년의 고독'의 무게감과 등장인물들의 복잡함에 압박되어 아직까지 그 작품
을 다 읽어내지도 못하고 있는 와중에 가장 최근 작인 동시에 또 다른 그의 유명 작품인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느낌은 뭐랄까요? 이 책에 나온 표현 그대로 세월과 더불어
축적된 '현자'의 진솔한 고백으로 여겨졌다고나 할까요? 아주 편하게, 그러나 행간의
뜻에 유의하려고 노력하면서 후다닥 읽어내렸습니다. 아마도 몇 번을 다시 읽게 될 것
같단 예감과 함께요.
확실히 외국작품들을 읽다보면 우리나라 말과 다른 뉘앙스, 표현에 따른 묘한 매력을
느끼게 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도 원전엔 어떻게 표현되어 있을까란 궁금증을 느끼게
만드는 문락, 단어가 분명히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면 또 어김없이 못 말리는 나의 호
기심이 고개를 들며 제 자신을 괴롭히기도 하지요. 원문을 읽어보고 싶다는 충동감 말
입니다.
그건 그렇구, 전 이 책의 제목에서부터 작가의 의도를 혼자 떠올려보는 스스로의 즐거
움에 빠졌습니다. 말 그대로 이 얘기가 그가 직접이든, 아님 간접이든 경험했던 창녀들
에 대한, 그것도 '슬프다'라고 밖에 표현할 수 없는 그런 창녀들에 대해 말하고 싶었던
걸까란 의문부터 시작하였지요. 슬프다고 느꼈다면 과연 무엇이 슬프다는 것인지 거기
에 대해서도 찬찬히 생각을 해 보았구요.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이건 순전히 저만의 느낌인데요. '슬프다'는 건 절대 창녀들이
슬프다는 게 아니라는 거였습니다. 그건 바로 자신의 실체, 내면과 관계없이 사람들이
바라보는 숫자에 불과한 나이먹음에 대한 자신의 슬픔을 표현할 것 뿐이란 걸루요. 아
마도 이 소설에서 작가는 흔히 표현하는 '노병은 죽지 않았다.'를 강조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 보았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의 영혼과 육체는 여전히 사랑에 목
말라하는 한 인간의 그것이고, 여기에서 절대 나이란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란 거지요. 그러니 그가 표현한 '슬프다'는 그 자신은 절대 슬프게 느
끼지 않는, 보여지는 슬픔에 대한 일종의 비틀기라고 여겨졌습니다.
창녀 역시 자신의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또는 될 수 있었던 모든 여자들을 좀 더
극적으로 표현한 게 아닐까란 제 느낌입니다. 이 세상의 여자들을 표현하기에는 많이
자극적인 어휘가 될 수도 있겠지만, 그런만큼 남과 녀의 사랑에 있어서 직업과 귀천을
떠나 본질을 강조하기 위해서 그만한 직업이 어디 있을까 싶으면서 말입니다.
결국 우리 모두는 서로 사랑을 하고, 받고, 나누는 그런 인간들임을 이 소설은 말하고
싶었다고 제겐 그렇게 느껴졌습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직업과 귀천에 상관없이 진정
한 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구요. 아무런 기대없이 그냥 주고 싶고, 마냥 순수함으로 상
대를 향해 퍼부을 수 있는 우리들의 선한 마음을 표현했다구요. 사실 그렇게 하기란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님은 우리 모두가 확실히 인정하고, 그러면서도 그것에 대한
꿈을 완전히 포기하고 있진 않잖아요?
바로 그런 우리의 꿈을 이 작품은 아흔살의 용기 있는 주인공을 통해 보여주는 거라고
여겨집니다. 젊은 나이보다는 많이 나이든 한 남자를 통해서 우리 안에 존재하는 순수
에 대한 열정과 우리의 희망을 말하고 싶었던 거라구요. 그런데 여기에서 한 가지 제가
유추하는 것은 굳이 나이든 남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이 한 편으로는 세월의 무게감
을 말하고 싶었을지도 모르지만,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작가가 묘사하는 것처럼 별 생각
없이, 일종의 나태로 자신의 삶을 무책임하게 이끌어왔던 늙으수레한 남자를 통해 그런
사람도 뒤늦게 발견할 수 있는 희망에 대한 메세지가 더 강한 것이 아닐까란 점이구요.
어쩜 단순히 작가 자신의 회고적인 성질이 더 강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뒤늦게 해 보
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나름대로의 '희망'에 대해 더 무게를 주고 싶네요. ㅎ
그리고 또 하나, 바로 이 소설은 마지막 '추억'이라는 어휘에도 꽤 묵직한 무게감이 서
려있다 여겨집니다. 추억을 간직하는 한 우리 모두는 여전히 숨쉬고, 맥박 뛰는, 어떠
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인간이라는 사실을, 또 자신의 삶을 사랑해온 한 인간에 대
한 존경의 뉘앙스가 느껴졌습니다. 그 삶이 타인에게는 어떻게 보이던지에 상관없이
말이지요. 어쩜 작가 자신이 자신에게 주고 싶었던 지나간 시간에 대한 진한 향수와
그리움, 그리고 영원히 간직하고픈 아련함이란 걸루요.
![](http://blogimg.hanmail.net/blog/theme/skin/book_pro_bot.gif)
출처 : bambi
글쓴이 : 꿈을 가진 여자 원글보기
메모 :
'이야기테크 > 책방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렇게 맘에 꼭 드는 책이 있다니!!! <행복한 이기주의자> (0) | 2009.05.15 |
---|---|
[스크랩] 전혜린 평전 <불꽃처럼 살다간 여인 전혜린> (0) | 2009.05.15 |
[스크랩] 작가의 탁월한 직관과 그 묘사에 탄복하면서…. (0) | 2009.05.15 |
[스크랩] 초벌구이식 독서로써 ‘파피용’을 읽은 후의 감상 (0) | 2009.05.15 |
[스크랩] 인생이란 대서사시를 촘촘하게 읊어낸 밀란 쿤데라의 `농담` (0) | 2009.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