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C 2500
|
인더스 문명의 시작
이때에 현재의 파키스탄에 속하는 모헨조다로와 하라파,로탈등에 고도로 발달된 문화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인도사의 기원으로 간주되는 이 문화의 주인공 드라비디언족들은 1000년 정도를 이어져 내려오다 아리안족들에 의해 급속하게 잠식되어 무너졌고 현재는 남인도 타밀나두 지역으로 위축되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
BC 1500
|
아리아인들의 침입이라 불리우는 아리아인들의 이동 시작
이 이동은 오랜기간 동안 이루어져 점차 북인도 지역으로 넓게 확산됨. |
|
BC 1000
|
인도의 성전인 리그베다의 성립
|
|
BC 800
|
브라만교 성립
|
|
BC 500
|
불교의 붓다와 자이나교의 마하비라에 의한 새로운 종교운동 시작
이보다 조금 전 시기에 브라만교를 비판한 우파니샤드들의 사상운동 시작.
|
|
BC 327
|
알렉산더의 인도침입, 그러나 알렉산더는 현재의 파키스탄 땅인 인더스강
조차 건너지 못함. 전형적인 서양 사람들의 사관중 하나. 인도는 침입당한 적 없음.
|
|
BC 273
|
아쇼카 왕이 마우리아 왕조의 왕으로 즉위.
|
|
BC 261
|
마우리아 왕조와 패권을 다투던 칼링가 왕조와의 대접전.
이사건을 계기로 아쇼카 불교로 개종.
|
|
AD 1세기경
|
불교, 중국에 전파
|
|
15
|
쿠샨 왕조 시작.
|
|
52
|
도마에 의한 예수교 전파
케랄라에 상륙한 그는 72년까지 선교하다 남인도의 마드라스에서 사망, 현재 마드라스에는 그의 순교지와 그의 무덤에 교회가 조성되어 있음.
|
|
130
|
간다라 미술 융성
|
|
300
|
굽타왕조의 전성기
불교국이었던 굽타왕조는 여러곳에서 대규모의 불사를 단행, 아잔타,산치,사르나트등지가 오늘날의 모습으로 바뀌어감.
|
|
400
|
나란다에 불교대학 건설
|
|
500
|
힌두교 창시
|
|
570
|
마호메트 탄생(이슬람교 창시자의 탄생)
|
|
610
|
이슬람교 창시
|
|
622
|
마호메트 헤지라(이슬람력의 원년)
|
|
646
|
당나라 헌장의 '대당서역기' 편찬
|
|
671
|
당의 의정, 불교를 구하러 인도로
|
|
700년대
|
엘로라의 석굴 조성
|
|
900년대
|
남인도의 촐라왕조 강성, 동남아시아지역에 식민지 건설.
|
|
1001
|
아프카니스탄의 마흐무드가 회교권으로서는 처음으로 인도 침략
|
|
1176
|
무하메드 고리 인도침략
부하인 꾸뜹 우드 딘을 통한 델리, 바라나시 지역 섭정
|
|
1192
|
무하메드 사망
꾸뜹 우드 딘이 델리지역의 술탄에 오름
|
|
1336
|
아함피에 근거지를 둔 비자야나가르 왕조 시작
|
|
1398
|
사마르칸드에서 흥기한 티무르에 의해 델리의 술탄국과 경쟁, 티무르의 승리
|
|
1498
|
바스코 다가마가 께랄라에 상륙 이후 1510년 포르투갈의 고아장악
고아포루투갈 시대는 이후 1961년 까지 지속
|
|
1526
|
무굴제국 건설(~1858)
|
|
1556
|
파테푸르 시크리, 아그라 포트등에 인상적인 건축을 남긴 압바르 무굴제국의
제위에 오름.(~1605)
|
|
1565
|
5개국 회교연합군과의 전투에서 패한 비자야나가르 왕조 멸망
수도였던 함피는 최근까지 잊혀졌던 도시가 됨.
|
|
1600
|
영국에 의해 동인도 회사 설립
|
|
1605
|
제항기르 무굴의 황제에 오름(~1627)
이때 카쉬미르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
|
|
1612
|
동인도 회사의 무역소사 구자라트에 설립
|
|
1627
|
샤 자한 무굴제국의 황제에 오름.(~1666)
타지마할, 아그라포트 중축, 델리의 레드 포트, 자미 마스지드등을 남긴 건축광의 시대
|
|
1632
|
타지마할 건립
|
|
1639
|
동인도회사 샤자한의 허락으로 마드라스(현 첸나이)에 무역사무소 건립
|
|
1658
|
샤자한의 아들 아우랑제브의 반란으로 그에게 제위가 넘어감.
이후 샤자한은 아그라 포트에서 8년간 갇힌후 세상을 떠남
|
|
1668
|
동인도 회사 캘커타 무역소 개설
|
|
1690
|
동인도 회사 뭄바이에 무역소 개설
비슷한 시기 프랑스,네덜란드등도 인도 침략 구체화
|
|
1756
|
뱅갈의 회교군주 나왑의 캘커타 동인도 회사 공격, 영국인 몰살 사건 발생
이 사건을 계기로 인도와 영국의 전쟁이 본격화
|
|
1800년대 초
|
영국지배의 본격화
|
|
1857
|
델리 인근의 미루트에서 영국통치에 대한 저항운동이 최초로 시작
(세포이의 항쟁)
|
|
1858
|
무굴제국 멸망
|
|
1877
|
빅토리아 여왕이 인도의 황제직까기 겸임, 브리티시 인디아 시대의 개막
|
|
1885
|
인도 국민회의 창설
|
|
1906
|
스와데시, 스와라지 운동 시작
|
|
1911
|
저항의 거점이던 캘커타에서 뉴델리로 수도를 옮김
|
|
1915
|
남아프리카에서 변호사로 명성을 높이던 간디가 귀국하여 국민회의에 합류
간디의 독립운동 시작
|
|
1919
|
암리차르에서 집회를 하던 인도인들에게 영국정부가 명령의 신성함을 알려주기
위함이라는 우스운 이유로 발포
|
|
1920
|
간디에 의한 시민불복종운동 시작(샤타그라하)
|
|
1923
|
모헨조다로의 유적이 우연한 계기로 발견
|
|
1945. 8. 15
|
2차대전 종전
|
|
1947
|
힌두권의 네루를 수상으로 한 인도와 회교권의 무하마드 알리 진나를
대표로한 파키스탄으로 나라가 나뉨. 이와중에서 두 종교 세력간의 분쟁으로 약 50만명의 사상자가 남.
|
|
1948. 1. 30
|
간디, 힌두교 광신자에 의해 암살
|
|
1950
|
공화국으로 인도헌법 성립, 네루의 제 3세계 단결 표방
|
|
1959
|
달라이 라마 인도 망명, 다름살라에 망명정부 수립
|
|
1962
|
중국와 전쟁, 영토를 빼앗김
|
|
1965
|
파키스탄과 전쟁
|
|
1966
|
네루의 딸인 인디라 간디 정계 투신, 수상이 됨.
|
|
1971
|
파키스탄과 2차 전쟁, 동파키스탄 방글라데쉬로 독립
|
|
1974
|
인도 핵실험
|
|
1975
|
인디라 간디, 한국의 유신과 비슷한 긴급조치 발동
|
|
1977
|
30% 문맹의 인도 국민, 인디라 독재정권 선거로 거부, 인디라 투옥.
|
|
1980
|
인디라 간디, 당시 집권당인 자나타 파티의 준열을 틈타 다시 수상에 오름
그해 인디라 간디의 아들인 산자이 간디가 의문의 죽음을 당함.
|
|
1984
|
시크교의 분리독립운동에 인디라 간디 발포명령을 내려 탱크까지 동원해
시위대 해산. 그리고 4개월 후 시크교도인 자신의 경호원에게 인디라 간디 암살. 이 사건을 계기로 인도북구 전역에서 힌두교인들이 시크쿄도 학살. 인디라 간디의 큰아들 라지브 간디 동정표에 힘입어 수상에 오름.
|
|
1990
|
라지브 간디, 부패로 실각, 자나타 달의 뷔 피 싱이 수상에 오름
신분제 차별 철폐를 위한 예약제 강화 공약 이행을 위해 노력하다 상층 카스트의 반발로 실각
|
|
1992
|
마드라스(현 첸나이)에서 선거유세를 하던 라지브 간디 타밀 타이거에 의해
암살. 나라심하 라오가 수상에 오름. 힌두교와 회교간의 분쟁인 아요디야사태 발생
|
|
1994
|
라오 수상의 인도개방 정책 시작.
이후 인도는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경제발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