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2-1 子曰 性相近也 習相遠也
子曰性相近也(자왈성상근야)나 : 공자 말씀하시기를, “성품은 서로 가까우나
習相遠也(습상원야)니라 : 습관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것이다.”고 하셨다.
性相 만물(萬物)의 본성(本性)과 현상(現象).性相近習相遠 천성(天性)은 원래(原來) 별로 큰 차이(差異)가 없으나, 습관(習慣)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생긴다는 뜻으로, 습관(習慣)이 매우 중요(重要)함을 이르는 말.
此所謂性 兼氣質而言者也 氣質之性 固有美惡之不同矣 然 以其初而言 則皆不甚相遠也 但習於善則善 習於惡則惡 於是 始相遠耳 ○ 程子曰 此 言氣質之性 非言性之本也 若言其本 則性卽是理 理無不善 孟子之言性善 是也 何相近之有哉
兼 겸할 겸.㉠겸하다 ㉡합치다 ㉢한결 같다 ㉣쌓다.氣質 ①바탕을 이루는 성질(性質) ②개인(個人)의 정서적(情緖的) 반응(反應)의 특징(特徵). 주로 체질적(體質的), 선천적(先天的)으로 규정(規定)됨.
子曰: 「性相近也, 習相遠也. 」
此所謂性, 兼氣質而言者也. 氣質之性, 固有美惡之不同矣. 然以其初而言, 則皆不甚相遠也. 但習於善則善, 習於惡則惡, 於是始相遠耳.
○程子曰: 「此言氣質之性. 非言性之本也. 若言其本, 則性卽是理, 理無不善, 孟子之言性善是也. 何相近之有哉? 」
17-03-1 子曰 唯上知與下愚 不移
子曰唯上知與下愚(자왈유상지여하우)는 : 공자 말씀하시기를,
“오직 가장 지혜로운 자와 가장 어리석은 자는
不移(불이)니라 : 옮기지 못한다.”고 하셨다.
愚 어리석을 우.㉠어리석다 ㉡우직하다 ㉢어리석게 하다 ㉣나(자기의 겸칭)
此 承上章而言人之氣質 相近之中 又有美惡一定 而非習之所能移者 ○ 程子曰 人性本善 有不可移者 何也 語其性則皆善也 語其才則有下愚之不移 所謂下愚有二焉 自暴自棄也 人苟以善自治 則無不可移雖昏愚之至 皆可漸磨而進也 惟自暴者 拒之以不信 自棄者 絶之以不爲 雖聖人與居 不能化而入也 仲尼之所謂下愚也 然 其質 非必昏且愚也 往往强戾而才力有過人者 商辛是也 聖人 以其自絶於善 謂之下愚 然 考其歸則誠愚也 或曰 此與上章當合爲一 子曰二字 蓋衍文耳
承 이을 승.㉠잇다 ㉡받들다 ㉢받아들이다 ㉣장가들다 ㉤도움.自暴自棄 자신(自身)을 스스로 해치고 버린다는 뜻으로, 몸가짐이나 행동(行動)을 되는 대로 취함 .昏愚 아무것도 모르고 어리석음.漸 점점 점.㉠점점 ㉡차차 ㉢번지다 ㉣천천히 나아가다 ㉤스미다 磨 갈 마.㉠갈다 ㉡닳다 ㉢고생하다 ㉣맷돌.强 ㉠강하다 ㉡강하게 하다 ㉢굳세다 ㉣힘쓰다 ㉤강제로 하다 ㉥마흔 살 ㉦포대기(襁) ㉧나머지 戾 어그러질 려.㉠어그러지다 ㉡이르다 ㉢돌려주다 ㉣사납다 ㉤안정하다 ㉥거세다 ㉦허물 ㉧죄.商장사 상.㉠장사 ㉡장수 ㉢헤아리다 ㉣장사하다 ㉤서쪽 ㉥가을 辛매울 신.㉠맵다 ㉡독하다 ㉢괴롭다 ㉣슬프다 ㉤여덟째 천간. 絶 ㉠끊다 ㉡건너다 ㉢뛰어나다 ㉣으뜸 ㉤결코 ㉥절귀 ㉦심히 ㉧절구(시의 한 체).誠 ㉠정성 ㉡진실 ㉢참 ㉣참으로 ㉤참되게 하다. 衍文 글 가운데 쓸데없이 긴 군더더기 글귀
子曰: 「唯上知與下愚不移. 」 知, 去聲.
○此承上章而言. 人之氣質相近之中, 又有美惡一定, 而非習之所能移者. ○程子曰: 「人性本善, 有不可移者何也? 語其性則皆善也, 語其才則有下愚之不移. 所謂下愚有二焉: 自暴自棄也. 人苟以善自治, 則無不可移, 雖昏愚之至, 皆可漸磨而進也. 惟自暴者拒之以不信, 自棄者絶之以不爲, 雖聖人與居, 不能化而入也, 仲尼之所謂下愚也. 然其質非必昏且愚也, 往往强戾而才力有過人者, 商辛是也. 聖人以其自絶於善, 謂之下愚, 然考其歸則誠愚也. 」 或曰: 「此與上章當合爲一, 子曰二字, 蓋衍文耳. 」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중일 한자 삼국지·下│ 韓國편] (0) | 2011.01.04 |
---|---|
[스크랩] 陽貨第十七 - 1. (0) | 2010.01.28 |
[스크랩] 陽貨第十七 - 4.5 (0) | 2010.01.28 |
[스크랩] 陽貨第十七 - 6.7 (0) | 2010.01.28 |
[스크랩] 陽貨第十七 - 8.9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