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6-1 子張問仁於孔子 孔子曰 能行五子於天下 爲仁矣 請問之 曰恭寬信敏惠 恭則不侮寬則得衆 信則人任焉 敏則有功 惠則足以使人
子張(자장)이 : 자장이
問仁於孔子(문인어공자)한대 : 공자에게 인에 대해 물으니
孔子曰能行五者於天下(공자왈능행오자어천하)면 :
공자 말씀하시기를, “능히 다섯 가지를 천하에 행할 수 있으면
爲仁矣(위인의)니라 : 어질다 할 것이다.”고 하니
請問之(청문지)한대 : 이르기를, “청컨대 그 다섯 가지는 무엇입니까.”고 했다
曰恭寬信敏惠(왈공관신민혜)니 : 공자 말씀하시기를,
“공손한 것 너그러운 것 미더운 것 민첩한 것 자혜로운 것이니
恭則不侮(공칙불모)하고 : 공손하면 업신여기지 아니하고
寬則得衆(관칙득중)하고 : 너그러우면 무리를 얻고
信則人任焉(신칙인임언)하고 : 미더우면 사람이 의지하고
敏則有功(민칙유공)하고 : 민첩하면 공이 있고 .
惠則足以使人(혜칙족이사인)이니라 : 자혜로우면 사람을 부릴 것이다.”고 하셨다
侮 업신여길 모.㉠업신여기다 ㉡조롱하다 .任 맡길 임.㉠맡기다 ㉡맡다 ㉢마음대로 하다 ㉣미쁘다 ㉤메다 ㉥당해내다 ㉦보증하다 ㉧쓰다 ㉨일 ㉩임지 ㉪보따리. 敏 민첩할 민.㉠민첩하다 ㉡재빠르다 ㉢영리하다 ㉣총명하다 ㉤공손하다 ㉥힘쓰다 ㉦애써 일하다 ㉧엄지발가락 .惠 은혜 혜.㉠은혜 ㉡인자하다 ㉢주다 ㉣꾸미다 ㉤베풀다 ㉥세모창 ㉦순하다 ㉧슬기롭다.
行是五者 則心存而理得矣 於天下 言無適而不然 猶所謂雖之夷狄 不可棄者 五者之目 蓋因子張所不足而言耳 任 倚仗也 又言其效如此 ○ 張敬夫曰 能行此五者於天下 則其心公平而周遍 可知矣 然 恭其本與 李氏曰 此章 與六言六蔽五美四惡之類 皆與前後文體 大不相似
夷狄(이적) 오랑캐.倚仗 (의장)의지(依支)하고 믿음.遍 두루 편.㉠두루 ㉡번(횟수) ㉢두루 미치다 .相似 (상사)①모양(模樣)이 서로 비슷함.
子張問仁於孔子. 孔子曰: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 請問之. 曰: 「恭̖ 寬̖ 信̖ 敏̖ 惠. 恭則不侮, 寬則得衆, 信則人任焉, 敏則有功, 惠則足以使人. 」
行是五者, 則心存而理得矣. 於天下, 言無適而不然, 猶所謂雖之夷狄不可棄者. 五者之目, 蓋因子張所不足而言耳. 任, 倚仗也, 又言其效如此. ○張敬夫曰: 「能行此五者於天下, 則其心公平而周吳可知矣, 然恭其本與? 」 李氏曰: 「此章與六言̖ 六蔽̖ 五美̖ 四惡之類, 皆與前後文體大不相似. 」
17-07-1 佛?召 子欲往
佛? 晉大夫趙氏之中牟宰
佛肹(불힐)이 : 필힐이
召(소)어늘 : 공자를 초청하거늘
子欲往(자욕왕)이러시니 : 공자께서 가려고 하시니
牟 성 모.㉠성(姓)의 하나 ㉡보리 ㉢소 우는 소리 ㉣제기 ㉤질냄비
佛힐(月+八+十)召, 子欲往. 佛, 音弼. 힐(月+八+十), 許密反. ○佛힐(月+八+十), 晉大夫趙氏之中牟宰也.
17-07-2 子路曰 昔者由也 聞諸夫子 曰親於其身 爲不善者 君子不入也 佛힐以中牟畔 子之往也如之何
子路曰昔者(자로왈석자)에 : 자로가 말하기를, “옛적에
由也聞諸夫子(유야문제부자)하니 : 제가 선생님께 들으니,
曰親於其身(왈친어기신)에 : 말씀하시기를, ‘자신의 몸에 친히
爲不善者(위불선자)는 : 착하지 않은 짓을 하는 자에게는
君子不入也(군자불입야)라하시니 : 군자는 들어가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佛肹(불힐)이 : 필힐이
以中牟畔(이중모반)이어늘 : 중모를 배반하였는데
子之往也(자지왕야)는 : 공자께서 가려고 하시는 것은
如之何(여지하)잇고 : 어찌된 일입니까.”고 하였다.
子路恐佛?之?夫子 故 問此以止夫子之行 親 猶自也 不入 不入其黨也
子路曰: 「昔者由也聞諸夫子曰: 親於其身爲不善者, 君子不入也. 佛힐(月+八+十)以中牟畔, 子之往也, 如之何! 」
子路恐佛힐(月+八+十)之浼夫子, 故問此以止夫子之行. 親, 猶自也. 不入, 不入其黨也.
17-07-3 子曰然 有是言也 不曰堅乎 磨而不? 不曰白乎 涅而不緇
? 薄也 涅 染?物 言人之不善 不能?己 楊氏曰 磨不? 涅不緇而後 無可無不可 堅白不足而欲自試於磨涅 其不?緇也者幾希
子曰然(자왈연)하다 : 공자 말씀하시기를, “그러하다
有是言也(유시언야)어니와 : 그런 말이 있었다
不曰堅乎(불왈견호)아 : 확고하다고 말하지 않겠는가
磨而不磷(마이불린)이니라 : 갈아도 얇아지지 않으면
不曰白乎(불왈백호)아 : 희다고 하지 않겠는가
涅而不緇(열이불치)니라 : 물들여도 검어지지 않으면
磷 돌 틈을 물이 흐르는 모양 린(인) .㉡험한 모양.㉢엷은 돌.㉣험하다.涅 개흙 열.㉠개흙 ㉡진흙 ㉢반석(盤石) ㉣극락에 가다 ㉤죽다 ⓐ앙금흙 (날) ⓑ개흙 (날) ⓒ검은 물을 들이다 (날) .緇 검을 치.㉠검다 ㉡검게 물들(이)다 ㉢중 ㉣검은빛 ㉤검은 옷
染皁(염조) 染물들 염.㉠물들다 ㉡물들이다 ㉢옮다 ㉣더러워지다 ㉤더럽다 ㉥더럽히다 皁 하인 조.㉠하인 ㉡검정 ㉢검다 ㉣검은비단 ㉤쭉정이 ㉥상수리 ㉦도토리 ㉧외양간 ㉨마구간 ㉩구유 ㉪마판 ㉫말열두필.
子曰: 「然. 有是言也. 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
磷, 力刃反. 涅, 乃結反.
○磷, 薄也. 涅, 染皁物. 言人之不善, 不能浼己. 楊氏曰: 「磨不磷, 涅不緇, 而後無可無不可. 堅白不足, 而欲自試於磨涅, 其不磷緇也者, 幾希. 」
17-07-4 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吾豈匏瓜也哉(오개포과야재)라 : 내가 어찌 포과이리오
焉能繫而不食(언능계이불식)이리오 :
한 곳에 매달려 따먹지도 못하게 하겠느냐.”고 하셨다.
匏 박 포.㉠박 ㉡바가지 ㉢별 이름 ㉣팔음의 하나 瓜 외 과.繫 맬 계.㉠매다 ㉡얽다 ㉢묶다 ㉣매달다 ㉤매달리다 ㉥죄수 ㉦끈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匏 瓠也 匏瓜 繫於一處而不能飮食 人則不如是也 ○ 張敬夫曰 子路昔者之所聞 君子守身之常法 夫子今日之所言 聖人體道之大權也 然 夫子於公山佛?之召 皆欲往者 以天下無不可變之人 無不可爲之事也 其卒不往者 知其人之終不可變而事之終不可爲耳 一則生物之仁 一則知人之智也
瓠 박 호.㉠박 ㉡표주박 ㉢병 ㉣항아리.權 ㉠권세 ㉡권도 ㉢방편 ㉣저울 ㉤저울질하다 ㉥꾀하다.可變 변화(變化)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
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
焉, 於虔反. ○匏, 瓠也. 匏瓜繫於一處而不能飮食, 人則不如是也. ○張敬夫曰: 「子路昔者之所聞, 君子守身之常法. 夫子今日之所言, 聖人體道之大權也. 然夫子於公山佛힐(月+八+十)之召皆欲往者, 以天下無不可變之人, 無不可爲之事也. 其卒不往者, 知其人之終不可變而事之終不可爲耳. 一則生物之仁, 一則知人之智也. 」
堅白同異(견백동이)
①중국(中國) 전국(戰國) 시대(時代)의 공손용이 내어 건 일종(一種)의 궤변(詭辯).
이를테면,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서는 그것이 흰 것을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았을 때에는 그것이 단단한 것인 줄 알 수 있을 뿐 빛깔은 흰지 모르므로,
단단하고 흰 돌은 동일한 물건(物件)이 아니라고 설명(說明)하는 것. 견백론. 견석백마(堅石白馬)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陽貨第十七 - 2.3 (0) | 2010.01.28 |
---|---|
[스크랩] 陽貨第十七 - 4.5 (0) | 2010.01.28 |
[스크랩] 陽貨第十七 - 8.9 (0) | 2010.01.28 |
[스크랩] 陽貨第十七 - 10.11.12 (0) | 2010.01.28 |
[스크랩] 陽貨第十七 - 13.14.15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