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과 행사>
1.설날(お正月):한해의 첫날. '도시가미(年神)' 또는 '도시도꾸진(歲德神)'이라는 신을 맞이하는 날이다. 이 신은 높은 곳에서 인간세상에 내려와 인간들이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문을 가도마쓰(門松)로 장식하고, 가가미모찌(鏡もち)를 만들어 신에게 바친다. '가도마쓰'는 신이 내려올 수 있도록 문옆에 세워둔 소나무 장식. '가가미모찌'는 신에게 올리는 떡. 또 사람들은 오세찌(お節) 요리라는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오세찌 요리는 야채나 생선을 달게 삶아서 만든 음식. 설날에는 또 연날리기나 다른 전통놀이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2.성인의 날(成人の日):1월15일. 20세가 된 사람들을 성인으로 인정해주고 독립된 사회인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날. 선거권도 주어진다. 1948년에 제정. 각지에서 성인식이 열리고 기념품을 나누어준다. 새로 성인이 된 여성들이 기모노 차림으로 성인식에 참가하는 광경이 볼 만하다. 지역에 따라서는 8월에 성인식이 행해지는 곳도 있다고 한다.
3.건국 기념일(建國記念の日):2월11일.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기원절(紀元節)'이라고 하였다. 일본이 건국된 날로 초대 천황인 '진무(神武)천황'이 즉위한 날이라고 한다.
4.세쓰분(節分):'세쓰분'은 4계절이 나뉘는 날로 입춘(立春),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의 전날을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는 입춘의 전날인 2월3일을 세쓰분이라 한다. 이 때에는 '마메마끼(豆まき)'라 하여 콩을 뿌려 귀신을 쫓는 풍습이 있다. '귀신은 밖으로 복은 안으로(鬼は外,福は內)'라는 말을 외치며 집안에 콩을 뿌리고 자신의 나이만큼 주워 먹는 행사인데, 이렇게 하면 1년간 병이 들지 않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다고 한다. 신사나 사원에서는 유명인을 초청하여 '마메마끼'행사를 벌이기도 한다.
5.히나 마쓰리(ひな祭り):3월3일. 빨간색의 단(壇)에 히나 인형을 장식한다. 히나 인형은 사람모양의 인형으로 제일 윗단에는 '다이리비나(內裏びな)'라 하여 왕과 왕비 모양의 인형을, 다음 단에는 '산닌간죠(三人官女)'라 하여 궁녀 모양의 인형 세 개를, 그 아래에는 '고닌바야시(五人ばやし)'라 하여 악기를 연주하는 악사모양의 인형 다섯 개를 장식한다. 2월부터 이미 크게는 7,8단이나 되는 히나 인형이 집집마다 장식되는데 이 행사에는 여자 어린이가 건강하게 잘 자라주길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 원래는 인형에 신체의 더러움을 옮겨 바다나 강에 흘려 보냄으로써 재앙을 씻어내는 행사였다. 헤이안 시대의 일. 이것이 후에 인형을 장식하는 마쓰리로 발전하고, 18세기에 이르러 3월3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6.춘분(春分の日):3월21일경.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 '히간(彼岸)'의 기간중 한 가운데에 있는 날이다. '히간'은 불교와 관련된 연중행사로 춘분을 전후한 7일간. 많은 사람들이 조상의 묘에 성묘를 가고 궁중에서도 천황의 조상에 대한 제사가 행해진다. 자연이나 생물을 소중히 하는 날이라고 한다.
7.식목일(みどりの日):4월29일. 자연의 은혜에 감사하고 마음의 풍요로움을 가꾸는 날이다. 쇼와(昭和)천황의 생일이라고 한다.
8.헌법기념일(憲法記念日):5월3일. 일본국 헌법이 시행된 날이다.
9.어린이 날(子供の日):5월5일. 원래는 '단고노 셋쿠(端午の節句)'라 하여 남자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날. '고이노보리(こいのぼり)'를 세우고 무사인형을 장식하여, 악(惡)을 물리치고 강하게 자라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다. '고이노보리'는 잉어 모양의 장식물을 나무에 매달아 세운 것. 잉어가 황하를 거슬러 올라가 용이 된다는 중국의 전설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에도(江戶)시대부터 세우기 시작하였다.
10.골든 위크(Golden Week):특별한 행사나 명절은 아니지만, 4월29일 식목일 부터 5월3일 헌법기념일, 5월4일 국민 휴일, 5월5일 어린이 날까지 연휴가 이어지는 주간. 회사에 따라서는 사이에 끼인 날까지 휴무하여 8-9일간 휴일이 계속되기도 한다. 유원지나 행락지는 온통 사람들로 붐비고 공항은 해외여행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만원을 이룬다.
11.어머니 날(母の日):5월 둘째주 일요일. 원래 미국의 교회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일본에서도 기독교 교회의 활동에 따라 확산되어 1949년 경 어머니 날이 확정되었다. 어머니에게 빨간 카네이션과 선물 등을 드리며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날이다.
12.칠석(七夕):'다나바타(たなばた)'라고 한다. 7월7일에 열리는 축제.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헤어져 있는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만난다는 중국의 전설에 의한 것. 에도시대에는 막부의 공식행사중 하나였다고 한다. 1873년, 공식행사로서의 다나바타는 폐지되었지만 아직도 이날을 기념하는 행사는 이어진다. 상점가에서는 화려한 장식물을 내걸고 손님을 끌며 문구점에서는 '단자쿠(短冊)를, 꽃가게에서는 대나무를 판다. '단자쿠'는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어다는 종이. 가정이나 유치원 등에서 주로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며 다나바타를 즐긴다.
13.중원(お中元):1월15일을 상원(上元), 10월15일을 하원(下元)이라 하고 7월15일을 중원(中元)이라 한다. 이 날은 과거의 음력으로 볼때 뒤에 설명하는 '오봉(お盆)'에 해당하는 날. 고향을 찾거나 선물을 가지고 윗사람을 찾는 풍습이 있었다. 지금도 '중원'을 전후한 날에는 주위 사람들에게 선물을 보내는 풍습이 있다. 일본어로는 '오츄우겐(おちゅうげん)'이라 한다.
14.바다의 날(海の日):7월 제3월요일. 바다와 바다의 교통을 이해하고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는 날이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나라여선지 각별한 의미가 있다.
15.원폭기념일(原爆記念日):8월6일. 1945년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날이다. 핵무기에 반대하고 세계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만든 기념일. 당시 히로시마에서는 14만명이 사망하였으며, 8월9일에는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어 7만명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매년 8월6일이면 히로시마를 시작으로 각지에서 기념행사가 열리고, 9일에는 나가사키에서 기념행사가 열린다.
16.오봉(お盆):8월15일을 전후한 명절. 돌아가신 선조를 모시는 날. 불단에 불을 켜고 조상의 영혼을 집에 모셔 들인다. 많은 사람들이 귀성길에 오르고 성묘를 가기도 한다. 마을 사람들이 모여 '본오도리(盆踊り)'를 추는 곳도 많다. '본오도리'는 악기 연주자나 노래하는 사람이 서 있는 대(臺)를 중심으로 빙빙 돌며 추는 독특한 원무. 이는 선조의 영혼을 공양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데, 젊은 남녀의 만남의 장소가 되기도 하면서 점차 오락화되어 왔다. '오봉'은 원래 음력 7월15일에 행해지는 불교행사로서 석가모니가 제자 모친의 혼을 구원한 날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선조뿐만 아니라 신을 모시는 날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17.종전기념일(終戰記念日):8월15일. 1945년에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일본에서는 이렇게 '패전'이라는 말보다 '종전'이라는 말을 흔히 사용한다. 1963년부터 동경에서 행해졌으며, 1982년에는 정부가 이 날을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날'이라고 정의하였다.
18.오쓰키미(お月見;中秋明月):9월15일경. 보름달을 구경하는 날. 과거에는 음력을 사용하여 날짜가 정해져 있었으나 지금은 양력을 사용하므로 매년 조금씩 날짜가 다르다. 음력 8월15일에 보름달을 즐기는 풍습은 헤이안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가을의 첫 수확물을 바치는 의례일이 되기도 하였으며 달을 노래하는 많은 시가(詩歌)가 불리워졌다.
19.경로의 날(敬老の日):9월15일. 오랫동안 사회에 공헌해 온 노인들을 공경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날. 1966년부터 경축일이 되었다. 각지에서 노인을 초청한 행사가 열리고 기념품이 증정된다.
20.추분(秋分の日):9월23일 경. 춘분과 마찬가지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이며, 가을철 '히간(彼岸)'의 기간중 한 가운데에 해당하는 날이다. 자연과 생물을 소중히 하는 날이며 궁중에서 선조를 모시는 제사가 이루어지는 것도 춘분때와 같다.
21.체육의 날(體育の日):10월10일. 1964년의 동경 올림픽을 기념하는 날이다. 많은 학교에서 운동회가 열린다.
22.문화의 날(文化の日):11월3일.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메이지 절(明治節)'이라 하여 '메이지 천황'의 탄생일 이었다. 궁중에서는 문화발전에 공헌이 큰 사람들에게 주는 훈장 수여식이 열린다. 훈장 수여대상자는 문부대신이 임명하는 10인의 심사위원회에서 결정. 매년 심사위원회가 선정한 5인을 문부대신이 총리에게 추천하고 총리의 심사와 내각의 심의를 거쳐 훈장을 수여한다.
23.시치고산(七五三):11월15일. 어린이의 성장과 건강을 기원하는 행사. 3살, 5살이 된 남자 어린이와 3살, 7살이 된 여자 어린이가 대상이 된다. 기모노를 입혀 신사에 데리고 가 참배하고 '치토세아메(千歲あめ)'라는, 장수를 기원하는 과자를 사서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돌리기도 한다. 중세의 귀족이나 무사들 사이에는 남자아이가 3살이 되면 '하카마기(はかま着)'라 하여 '하카마'를 입히고, 5살이 되면 '히모토키(ひもとき)'라 하여 끈이 달린 기모노를 벗기고 '오비(帶;허리띠)'를 묶는 기모노를 입히는 풍습이 있었다. 이런 의식(儀式)이 근세 이후 에도(江戶)를 중심으로 한 행사로 정착되었고 지방에도 이와 유사한 풍습이 있어서 이들이 '시치고산'의 원형이 되었다.
24.근로감사의 날(勤勞感謝の日):11월23일. 근로와 생산을 소중히하며 국민들이 서로에게 감사하는 날.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니이나메사이(新嘗祭;신상제)'라 하여 천황이 그 해에 수확한 곡식을 신에게 바치고 함께 나누어 먹는 날이었다.
25.천황 탄생일(天皇誕生日):현재 천황의 탄생일. 12월23일.
26.오오미소까노 히(大晦日):12월31일. 대청소를 하고 새해 맞이를 한 후 '도시꼬시 소바(年越しそば)'를 먹는다. '도시꼬시 소바'는 에도(江戶)시대의 상인들에게서 유래. 월말에 결산으로 바쁜 상인들이 밤늦게 소바를 먹는 습관이 있었던 것. 소바는 가늘고 길어서 장수를 의미하기도 하고, 쉽게 자를 수 있어서 질병이나 빚과 같은 나쁜 것들과 관계를 끊는다는 의미가 있다고도 한다. 자정이 되면 각지의 사원에서 제야(除夜)의 종이 울리는데 108번뇌를 상징하여 108번을 울린다고 한다.
'이야기테크 > 일본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일본의 정치] 천황 (0) | 2010.05.23 |
---|---|
[스크랩] [일본의 정치] 지방자치 (0) | 2010.05.23 |
[스크랩] [일본문화] 기모노 (0) | 2010.05.23 |
[스크랩] [일본문화] 일본 유녀의 예능과 생활 (0) | 2010.05.23 |
[스크랩] [일본의 지방] 홋카이도 (0) | 2010.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