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⑴ 공과금 |
|
|
① 공과금 |
|
|
ㆍ |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이 납부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서 상속인에게 승계된 조세, 공공요금, 기타 이와 유사한 것 |
|
|
② 장례비 : 다음 두 가지 금액을 합한 금액 |
|
|
ㆍ |
피상속인의 사망일부터 장례일까지 장례에 직접 소요된 금액 |
|
|
|
- 소요 금액이 1,000만원을 초과하면 1,000만원까지만 공제 |
|
|
|
- 소요 금액이 500만원에 미달하여도 500만원을 공제 |
|
|
ㆍ |
납골시설의 사용에 소용된 금액 |
|
|
|
- 소요 금액이 500만원을 초과하면 500만원까지만 공제 |
|
|
③ 채무 |
|
|
ㆍ |
상속개시 당시 피상속인이 부담하여야 할 채무로서 상속인이 실제로 부담하는 사실이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입증되는 경우 |
|
|
|
-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금융기관에 대한 채무는 당해 기관에 대한 채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
|
|
- 기타의 채무는 채무부담계약서, 채권자확인서, 담보설정 및 이자지급에 관한 증빙 등에 의하여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
|
⑵ 상속공제 |
|
|
① 기초공제 |
|
|
ㆍ |
기초공제액은 2억원으로 상속을 받건 안받건, 상속인이 있건 없건 무조건 1회에 한해 공제 |
|
|
ㆍ |
기초공제액 2억 원과 별도로 가업상속은 가업상속재산가액(1억원 한도), 영농상속은 영농상속재산가액(2억원 한도)을 추가로 공제 |
|
|
|
- 가업상속 : 피상속인이 5년 이상 계속 영위한 사업의 재산을 당해 사업에 종사하는 상속인(상속개시일 현재 18세 이상으로서 2년 이상 가업에 종사한 자)이 상속 받는 경우 |
|
|
|
- 영농상속 : 피상속인 및 상속인 모두 상속개시 2년 전부터 영농에 종사하면서 농지ㆍ초지ㆍ산림지 등을 상속 받는 경우 |
|
|
② 배우자 상속공제 |
|
|
ㆍ |
배우자의 법정상속분 범위 내에서 실제로 상속 받은 금액을 공제하되, 공제 받을 금액이 3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0억원까지만 공제 |
|
|
ㆍ |
배우자가 상속 받은 금액이 없거나 상속 받은 금액이 5억원 미만인 경우에는 5억원 공제 |
|
|
③ 기타 인적 공제 |
|
|
ㆍ |
자녀공제 |
|
|
|
- 1인당 3천만원을 공제 |
|
|
|
- 나이나 동거여부와는 무관하며 인원제한도 없음 |
|
|
ㆍ |
미성년자공제 |
|
|
|
- 배우자를 제외한 상속인 및 상속개시 당시 피상속인과 동거하던 가족 중 20세 미만인 자에 대해 공제 |
|
|
|
- 500만원에 20세에 달하기까지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공제 |
|
|
ㆍ |
연로자공제 |
|
|
|
- 배우자를 제외한 상속인과 피상속인과 동거하던 가족 중 60세 이상인 자에 대하여 공제 |
|
|
|
- 1인당 3천만원을 공제합니다 |
|
|
ㆍ |
장애자 공제 |
|
|
|
- 배우자를 포함한 상속인 및 피상속인과 동거하던 가족 중 장애자에 대하여 공제 |
|
|
|
- 500만원에 75세에 달하기까지의 연수를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공제 |
|
|
④ 일괄공제 |
|
|
ㆍ |
기초공제 2억원과 기타 인적공제의 합계금액을 항목별로 공제 받는 대신에 일괄적으로 5억원을 공제할 수도 있음 |
|
|
ㆍ |
단, 배우자 단독상속의 경우 일괄공제를 적용할 수 없음 |
|
|
|
 |
|
|
⑤ 금융재산 상속공제 |
|
|
ㆍ |
상속재산 중에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예금, 적금, 신탁, 예탁금, 출자금 등 금융자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래의 금액을 공제 |
|
|
|
순금융재산가액 |
금융재산 상속공제액 |
2,000만원 이하인 경우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당해 순금융재산가액 순금융재산가액×20% (2억한도) | |
|
|
|
순금융재산가액 =금융재산가액-금융부채 |
|
|
⑥ 재해 손실 공제 |
|
|
ㆍ |
신고기한 이내에 발생된 상속재산의 재해손실 가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