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게리 콜린스 - 내담자의 생각을 인식하라.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25. 19:58
게리 콜린스 -
  내담자의 생각을 인식하라.

 


  예를 들어, 내담자는 자신이 문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내담자는 자기의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라 생각하며

문제의 해결 방법이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과거에 어떤 것을 시도해 보았는가?

 내담자가 이야기할 때, 횡설수설하거나 명확성의 결여,

집중력의 부족이나 거짓된 결론으로 비약하는 경향과 같은

긴장의 징후가 나타나는가를 살피라.

하나님께서 우리를 합리적인 존재로 만드셨지만,
우리가 스트레스 아래 놓여 있을 때는

합리적으로 생각하지 못할 때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한 사람이 무엇을 생각하느냐와 어떻게 사고하는냐 하는 것은

문제의 성격을 파악하는 (p124) 데 좋은 단서가 될 수 있다.

 

    내담자의 행동에 민감하라.


2차 세계 대전 중에 폴 토니어(Paul Tournier)는

고독에 대하여 재미있는 책을 서술한 바 있는데 이 책에서 그는

많은 고독의 원인이 우리 자신의 잘못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주9. P. Tournier, Escape from Loneliness(Philadelphia: Westminster, 1962).)

우리는 "불쌍하고 가련한 나, 아무도 나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면서

우리는 운명의 희생물이며 다른 이들의 무감각으로 말미암은 피해자라고 불평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우리 자신의 태도와 행동 때문에

사람들은 우리를 멀리하게 되고 따라서 우리는 비참한 지경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모든 문제가 우리의 잘못에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문제가 우리의 잘못에서 기인하고 있다.

죄는 우리를 문제와 곤경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일관성이 없는 행위나 행동은 자기 파멸과 실패를 자초한다.


  다른 곳에서 나는 자기의 결혼한 딸을 상실하는 것이 두려워, 이를 막기 위해

 질식할 정도로 요구적인 "사랑"으로 딸에게 접근했던 어떤 어머니의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자연히 딸은 이에 저항했으며 뒤로 움츠러들었다.

딸이 이러한 반응을 보이자 어머니는 더 많은 사랑과 관심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결국 딸을 몰아내는 결과를 초래했다.

어머니는 자기 자신의 행동에 의하여 자기가 가장 두려워하던 결과를 자초했던 것이다.


  끝으로 우리의 행동에 일관성이 없을 때 우리는 곤경에 빠지게 된다.

거짓말을 하고 이를 덮어버리려 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믿고 저렇게 생활하려 할 때 또한 문제가 따르기 마련이다.

"행동과 기본적인 생활 철학 사이에 갈(p125)등이 있을 때,

 대개 인격은 문제에 빠지게 된다." (주10. L. Brammer and L. Shostrom,

Therapeutic Psychology(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68), p.435)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