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장 성실 총론-20
有弗學, 學之弗能弗措也; 有弗問, 問之弗知弗措也; 有弗思, 思之弗得弗措也;
有弗辨, 辨之弗明弗措也; 有弗行, 行之弗篤弗措也;
人一能之己百之, 人十能之己千之.
비우지 않음이 있을 망정 배울진댄 능하지 못하거든 놓지 말며, 묻지 않음이 있을 망정 물을진댄
알지 못하거든 놓지 말며, 생각하지 않음이 있을 망정 생각할진댄 체득하지 못하거든 놓지 말며,
행하지 못함이 있을망정 행할진댄 독실치 않거든 놓지 말며,
남이 한 번하여 능하거든 자기는 백번하며, 남이 열번하여 능하거든 자기는 천번해야 하느니라.
君子之學, 不爲則已, 爲則必要其成, 故常百倍其功. 此困而知, 勉而行者也,
勇之事也.
군자의 배움은 하지 않으면 그만이거니와 하면 반드시 그 완성을 요한다.
그러므로 항상 공부를 백배로 하는 것이니, 이것은 애써 알고 힘써 행하는 자이니 용기있는
자의 일이다
사람에는 세 등급이 있는 데 그 어느 등급이든 진리를 깨닫고 선을 행하는 바는 똑 같다.
그런데도 범인들이 잘하지 못하는 까닭은 단지 중용을 중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서 중용을 하기위해 용이 있어야 성을 실천할 수 있으며 정성스런 실천이 요구된다
하겠다
제20장 성실 총론-21
果能此道矣, 雖愚必明, 雖柔必强.
과연 능히 이런 방법으로 할 수 있으면 비록 어리석으나 반드시 현명해지며,
비록 유악하나 반드시 강해지니라
明者擇善之功, 强者固執之效.
명은 선을 택한 공적이다.강은 굳게 잡은 공적이다
呂氏曰: 「君子所以學者, 爲能變化氣質而已. 德勝氣質, 則愚者可進於明, 柔者可進於强. 不能勝之, 則雖有志於學, 亦愚不能明, 柔不能立而已矣.
여씨왈 군자가 배우는 까닭은 능히 기질을 변화하기 위한 것일 분이니, 덕이 기질을 이기면
어리석은 자가 밝음에 나아갈 수 있고, 유약한 자가 강하게 나아갈 수 있다.
그것을 이기지 못하면 비록 배움에 뜻이 있어도 역시 어리석음이 능히 밝게 될 수 없고, 유약한
이가 능히 자립할 수 없을 뿐이다
蓋均善而無惡者, 性也, 人所同也; 吳明强弱之稟不齊者, 才也, 人所異也.
蓋均善而無惡者 性也 人所同也 昏明强弱之稟 不齊者 才也 人所異也
대개 균등하게 선하고 악함이 없는 것이 성품인데 사람은 동일한 것이요, 혼미하고 밝고 강하고
유약한 천품이 가지런하지 않음은 재능인데 사람마다 다르다
昏明 어둠과 밝음.
誠之者所以反其同而變其異也. 夫以不美之質, 求變而美, 非百倍其功, 不足以致之.
성실히 하는 것은 동일한 것을 돌아오게 하고 차이를 변화하는것이다. 대저 불미한 자질로서
변화하여 아름답기를 구할진댄 그 공부를 백배로 하지 않으면 충분히 거기에 이를 수 없을
것이다
今以鹵莽滅裂之學, 或作或輟, 以變其不美之質, 及不能變, 則曰天質不美, 非學所能變. 是果於自棄, 其爲不仁甚矣! 」
그런데 지금 일을 대충대충하고, 경솔하고, 무모하게 배움으로서, 혹은 하기도 하고,
혹은 중단하기도 하면서, 그 불미한 자질을 변화시키려 생각하다가 능히 변화되지 못함에
이르면, 곧 타고난 자질이 아름답지 못하면 배워서 능히 변화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자포자기에 과감한 것이니, 아마 어질지 못함이 심한 것이다.
鹵 소금 노.㉠소금 ㉡염밭 ㉢(큰)방패 ㉣우둔하다 ㉤노략질하다
莽 풀 망.㉠풀(잡초) ㉡초목이 우거지다 ㉢거칠다 ㉣넓다 ㉤멀다 ㉥아득하다 . 滅裂 (멸렬).찢기고 흩어져 없어짐 .支離滅裂 이리저리 흩어져 갈피를 잡을 수 없음 .輟 그칠 철.㉠그치다 ㉡버리다 .
氣質之性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설. 본연(本然)의 성(性)이 순수(純粹)한 것에 대하여 후천적인 혈기(血氣)의 성을 말함. 기질의 성(性)은 기(氣)에서 생기므로, 기(氣)의 청탁(淸濁)ㆍ혼명(昏明)ㆍ후박(厚薄)에 의하여 성(性)에도 자연(自然)히 차별이 생겨 사람의 선악ㆍ현우(賢愚)가 생긴다고 했음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右第十九章. 5 (0) | 2010.01.28 |
---|---|
[스크랩] 右第十九章. 6 (0) | 2010.01.28 |
[스크랩] 右第二十章 (0) | 2010.01.28 |
[스크랩] 右第二十一章. 右第二十二章 (0) | 2010.01.28 |
[스크랩] 右第二十五章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