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한자이야기

[스크랩]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1

명호경영컨설턴트 2010. 1. 28. 20:28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1

中 庸 은  何 爲 而 作 也 오   子 思 子    憂 道 學 之 失 其 傳 而 作이시니라
중 용      하 위 이 작 야       자 사 자    우 도 학 지 실 기 전 이 작

...............................................................................
蓋 自 上 古   聖 神 繼 天 立 極 으로   而 道 統 之 傳 이   有 自 來 矣 라
개 자 상 고   성 신 계 천 입 극          이 도 통 지 전       유 자 래 의

*庸-쓸용, 평소 용.     *傳-전할 전. 전기 전.  *蓋-덮을 개. 대개 개.
*子思-공자의 손자 급(伋)의 字, 중용의 저자.
*聖神- 고대의 성인.   *極-다할 극. 표준 극.


<중용>은 무엇 때문에 지었는가?  子思께서 중용의 道學이 상실된 것을 염려하여 그것을 전수하려고 지은 것이다. 대체로 아주 옛날부텨 무불명 무불통한 성인이 천지의 원리를 계승하여 인극(人極:황제)을 세움으로 중용 도통의 전수가 자연히 유래하게 되었느니라.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2

其 見 於 經 則 允 執 厥 中 者 는    堯 之 所 以 授 舜 也 요   人 心 惟 危    道  心 惟 微    惟 精 惟 一   允 執 厥 中 者 는    舜 之 所 以 授 禹 也 니    堯 之 一 言 이    至 矣 盡 矣 어시늘    而 舜 이    復 益 之 以 三 言 者 는    則 所 以 明 夫 堯 之 一 言 이니    必 如 是 而 後 에야    可 庶 幾 也 라 

*厥- 그 궐       *堯-높을 요, 멀 요, 요임금 요. *舜-순임금 순. 무궁화 순.
*所異明- 분명히 하기 위한 것.   *庶幾- 근사하다.

그 도가 경서에 나타나 있는 것을 보면, 진실로 그 중심을 잡고 지키라는 네 글자는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제위(帝位)를 전수할 때에 쓴 것이요. 인심(사람의 私心)은 오직 위태하기만 하고, 정도의 마음은 오직 은미하기만 하니, 오직 정수(精粹)하고 오직 한결같이 진실로 그 중심을 잡고 지키라는 열여섯 글자는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제위를 전수할 때에 쓴 것이다. 요임금의 한 구절의 말씀이 지극하고 남김없이 다한 말이지만, 순임금이 그것에 다시 세 마디의 말씀으로서 보탠 것은 곧 대저 요임금의 한 구절의 말씀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와 같이 한 연후에야 그 본 뜻에 근사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蓋 嘗 論 之 컨재     心 之 虛 靈 知 覺 이     一 而 已 矣 어늘    而 以 爲 有 人 心 道 心 之 異 者 는   則 以 其 或 生 於 形 氣 之 私 하며    或 原 於 性 命 之 正 하여    而 所 以 爲 知 覺 者 不 同 이라    是 以 로    或 危 殆 而 不 安 하고     或 微 妙 而 難 見 耳 라

대체로 전에도 이 문제를 논의했는데 마음의 허령과 지각은 하나일 뿐이거늘, 또 인심과 도심이 다른 것으로 여기는 것은 그것이 어떤 경우에는 형기의 사심에서 생긴다고 여기며, 어떤 경우에는 성명의 바름에 근원한다고 함은 지각하려는 까닭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혹시 위태로워 불안하고 혹시 미묘하여 알아보기가 어려울 뿐이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3

然 이나   人 莫 不 有 是 形 이라    故 로     雖 上 智 라도    不 能 無 人 心 이요    亦 莫 不 有 是 性 이라    故 로    雖 下 愚 라도    不 能 無 道 心 하니    二 者 가    雜 於 方 寸 之 間 이나    而 不 知 所 以 治 之 면    則 危 者 愈 危 하고    微 者 愈 微 하여    而 天 理 之 公 이    卒 無 以 勝 夫 人 欲 之 私 矣 리라

그러나 사람은 그런 형체를 가지지 않은 이가 없다. 그러므로 비록 지혜로운 이라도 능히 인심이 없을 수 없는 것이니, 이 둘이 마음속에 섞여 있어서 그것을 다스리는 것은 더욱 은미하여 천리의 공심(公心)이 마침내 대저 인욕의 사심을 이길 수 없다.


.............................................................................................
精 은   則 察 夫 二 者 之 間 而 不 雜 也 요    一 則 守 其 本 心 之 正 而 不 離 也 니    從 事 於 斯 하여    無 少 間 斷 하여    必 使 道 心 으로   常 爲 一 身 之 主 하여    而 人 心 으로    每 聽 命 焉 이면    則 危 者 安 하고   微 者 著 하여    而 動 靜 云 爲    自 無 過 不 及 之 差 矣 리라

정수(精粹)하면 대저 둘 사이를 관할하여 아무것도 섞이는 것이 없이 순수하게 되고, 한결같으면 그 본심의 바름을 준수하여서 떠나지 않고 한결같게 되는 것이니, 이로부터 일을 좇아 조금도 중간에 끊어짐이 없게 하여 반드시 도심으로 하여금 항상 내 일신의 주인이 되게 하여, 인심이 매양 이 도심의 명을 듣고 순종케 하면, 위태함은 안정되고, 은미함을 드러나서 동정과 언행에 자연히 초과와 미치지 못함의 차별이 없게 될 것이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4

夫 堯 舜 禹 는    天 下 之 大 聖 也 시고    而 天 下 相 傳 은    天 下 之 大 事 也 니    以 天 下 之 大 聖 으로    行 天 下 之 大 事 하시되    而 其 授 受 之 際 에    丁 寧 告 戒 는     不 過 如 此 하시니    則 天 下 之 理 가    豈 有 以 加 於 此 哉 리오

대저 요 순 우는 천하의 위대한 성인이시고, 천하를 가지고 서로 전수하는 것은 천하의 대사업을 행하시되, 그들이 그것을 주고 받을 즈음에 재삼 부탁해 경계하신 말씀은, 이와같은 것에 지나지 않았으니, 천하의 이치가 어찌 이것에 더 보탤 것이 있겠는가?


..............................................................................................
自 是 以 來 로    聖 聖 相 承 하시니    若 成 湯 文 武 之 爲 君 과    皐 陶 伊 傅 召 之 爲 臣 이    旣 皆 以 此    而 接 夫 道 統 之 傳 하시고    若 吾 夫 子 는    則 雖 不 得 其 位 나     而 所 以 繼 往 聖 開 來 學 은    其 功 이    反 有 賢 於 堯 舜 者 라
*皐-언덕 고.         *陶- 질그릇 도. 화할 도. 여기서는 즐거울 요.

이로부터 이후로 성인과 성인이 서로 계승이 되었으니, 성탕과 문왕 무왕 같은 이가 임금이 되고, 고요 이윤 부열 죽홍 소공 같은 이가 신하가 되어, 이미 모두 이것으로서 대체로 도통의 전수에 접하셨고, 우리 선생님(孔子) 같은 분은 비록 그 지위를 얻지 못하였으나, 지나간 성인들을 이어 받으셨고 후세 학자들에게 중용의 도를 열어놓았으니, 그 공은 도리어 요순보다 훌륭함이 있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5

然 이나    當 是 時 하여    見 而 知 之 者 는     惟 顔 氏 曾 氏 之 傳 이    得 其 宗 이러시니    及 其 曾 氏 之 再 傳 하여    而 復 得 夫 子 之 孫 子 思 하여는    則 去 聖 達 而 異 端 이    起 矣 라

그러나 그때를 당하여 보고 그것을 깨달아 안자는  오직 안회와 증삼의 전승이 그 종지를 얻었고, 그 증삼이 두 번 전하여 다시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깨달음을 얻게 됨에 이쳐서는 [及], 과거 성인과의 세월의 거리가 멀어 , 이단들이 일어나게 되었다.



...........................................................................................
子 思 懼 夫 愈 久 而 愈 失 其 眞 也 하사    於 是 에    推 本 堯 舜 以 來 相 傳 之 意 하시고    質 以 平 日 所 聞 父 師 之 言 하여    更 互 演 繹 하여    作 爲 此 書 하사    以 詔 後 之 學 者 하시니    蓋 其 憂 之 也 深 하니   故 로    其 言 之 也 切 하고    其 慮 之 也 遠 하고     故 로    其 說 之 也 詳 하시니라
*演繹- 한가지 일을 추리하여 다른 일을 끌어냄.   *詔는 알릴 조. 고할 조.

자사는 대저 세월이 더 오래되면 그 중용지도의 진리를 더 잃을까 두려웠다. 그래서 요순으로부터 이후 서로 전수하던 뜻을 근본으로 받들고, 평소에 들은 바 스승의 말씀으로서 본질로 삼아서, 다시 상호 관계를 미루어 풀이하여 이<중용> 책을 만들어서 훗날의 학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대개 그가 근심하던 것들이 깊었던 고로 그의 말한 것들이 간절하였고, 그 우려함이 원대하였던 고로 그의 설명이 자상하였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6

其 曰   天 命 率 性   則 道 心 之 謂 也 오    其 曰   擇 善 固 執   則 精 一 之 謂 也 오    其 曰   君 子時 中    則 執 中 之 謂 也 니    世 之 相 後 千 有 餘 年 이로되    而 其 言 之 不 異 가    如 合 符 節 이라
*世之相後- 요순부터 춘추시대까지 약 1500여년의 기간
*率- 거느릴 솔.             *符節- 신표

거기서(중용) 말하는 천명(天命)과 솔성(率性)은 곧 도심(道心)을 두고 하는 말이요, 거기서 말하는 택선(擇善)과 고집(固執)은 곧 정일(精一)을 두고 하는 말이요, 거기서 말하는 군자시중(君子時中)은 곧 윤집궐중을 두고 하는 말이니, 세대의 상호 선후 차이가 천여 년이 되었으되, 그 말뜻의 본질이 다르지 아니함이 부절(符節)을 합한 것과 같다.



..........................................................................................
歷 選 前 聖 之 書 하여    所 以 提 설 綱 維 하여    開 示 蘊 奧 가    未 有 若 是 其 明 且 盡 者 也 라    自 是 而 又 再 傳 鎰 孟 氏 하여    爲 能 推 明 是 書 하여    以 承 先 聖 之 統  이러시니    及 其 沒 而 遂 失 其 傳 言 하니    則 吾 道 之 所 寄 는    不 越 乎 言 語 文 字 之 間 하고    而 異 端 之 說 이     日 新 月 盛 하 여    以 至 於 老 佛 之 徒 出 하야    則 彌 近 理 而 大 亂 眞 矣 라
*설(契大換手)- 이지러질 계. 끌 설. 달아올릴 설.  *綱- 벼리 강.
*彌- 두루 미. 더할 미. 오랠 미.      *蘊- 쌓일 온.  *維- 바 유. 벼리 유.

전성(前聖)들의 책을 편력(篇歷)하여 골라서 그물 벼리를 잡아끌듯이 하였으니, 학문의 심오한 이치를 열어 보인 것이, 아직이 <중용>같이 그것이 분명하고 또 부족함이 없이 다한 책은 없다. 이로부터 또 두 번째 전수되어(자사-맹자) 맹자를 얻음으로서, 능히 이 책을 미루어 알 수 있게 되어서 선성(先聖)들의 도맥(道脈)을 계승한 것으로 여겼더니 맹자가 세상을 떠남에 미쳐서는 드디어 그 전승이 끊어졌다. 우리들의 도학이 붙어있는 곳은 언어와 문자 사이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단(異端)의 주장은 날로 새로워지고 달로 성해져서 벌써[以] 노장과 불타의 무리들이 나옴에 이르러서는 더욱 이치에 가까운 듯하여 크게 진실로 어지럽게 되었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7

然 而 尙 幸 此 書 之 不 泯 이라    故 로    程 夫 子 兄 弟 者 出 하사    得 有所 考 하여    以 續 夫 千 載 不 傳 之 緖 하시고     得 有 所 據 하여    以 斥 夫 二 家 似 是 之 非 하시니    蓋 子 思 之 功 이    於 是 爲 大 요    而 微 程 夫 子 면    則 亦 莫 能 因 其 語 而 得 其 心 也 리라
*尙幸- 다행.    *泯-없어질 민. 망할 민.
*程夫子兄弟- 程顥와 程이 형제. 정호는 자가 伯淳 호가 明道이고, 정이는 자가 正叔 호가 伊川으로 宋朝 六賢이다.

그러나 다행히 이 <중용>의 책이 없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정호와 정이 선생 형제가 나셔서 또 참고할 것을 얻은 것은, 대저 천년 동안 전하지 않던 통서(統緖)를 계속함으로서, 또 근거한 것을 얻은 것은 노불의 옳은 것 같으나 틀린 것을 물리쳤으니, 대개 자사의 공이 여기에서 위대하였고, 정씨 두 선생이 없었더라면 역시 능히 그 <중용>과 같은 말로부터 그 중심을 깨달을 수는 없을 것이다.


...................................................................................................
惜 乎 라    其 所 以 爲 說 者 不 傳 이요     而 凡 石 氏 之 所 輯 錄 은    僅 出 於 其 門 人 之 所 記 라    是 以 로    大 義 雖 明 이나    而 微 言 未 析 하고    至 其 門 人 所 自 爲 說 하여는     則 雖 頗 詳 盡 而 多 所 發 明 이나   然 이나    倍 其 師 說 而 淫 於 老 佛 者 亦 有 之 矣 라
*惜- 아낄 석.     *輯- 모을 집.   *僅- 겨우 근.  *微- 아닐 미 작을 미.
*析- 쪼갤 석.     *頗- 비뚤어질 파. 자못 파.

애석하도다. 그가 말하려고 생각한 것이 전하지 않고, 무릇 석씨[石대]가 모아 기록한 것은 겨우 그 문인들이 기록한 것에서 나온 것이라. 그러므로 큰 뜻은 비록 밝게 알았지만 은미한 듯의 말은 아직 해석이 안되고, 그 문인들 각자가 논설한 바에 이르러서는 비록 자못 상세하게 설명을 다하여 새로 밝힌 것이 많다. 그러나 스승의 학설에 위배되고 노불(老佛)에 지나치게 빠진 것이 역시 거기에 있었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8


熹 自 蚤 歲 로    卽 嘗 受 讀 而 竊 疑 之 하여    沈 潛 反 復 이    蓋 亦 有 年 이러니    一 旦 恍 然 하여     似 有 鎰 其 要 領 者 라     然 後 에     乃 敢 會 衆 說 而 折 其 衷 하여    旣 爲 定 著 章 句 一 篇 하여    以 俟 後 之 君 子 하고    而 一 二 同 志 로    復 取 石 氏 書 하여    刪 其 繁 亂 하여     名 以 輯 略 하고    且 記 所 嘗 論 辨 取 舍 之 意 하여     別 爲 或 問 하여    以 附 其 後 라 
*熹- 성할 희. 밝을 희.   *蚤-벼룩 조. 일찍 조.  *竊- 저으기 절. 훔칠 절. 
*沈- 빠질 침. 깊을 심.   *潛- 잠길 잠. 빠질 잠. *恍然- 문득. 갑자기.
*俟-기다릴 사.             *刪-깎을 산.              *繁- 번잡할 번. 번성할 번.

모[熹]는 젊었을 때부터 일찍이 이 책을 받아 읽어보고 저으기 의심이 생겨, 침잠하고 반복함이 대체로 역시 여러해였는데 하루아침에 문득 흡사 그 요령을 터득한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런 이후에 마침내 감히 여러 학설을 모아 그것을 절충하여 장구 1편을 저술하기를 이미 확정하여, 후세의 군자를 기다리기로 생각하고, 한두 명의 동지들과 다시 석씨의 책을 모아 그 번잡하고 혼란함을 산정하여 <집략>이라 명명하고, 또 일찍이 논변하여 취사한 뜻을 기록하여 별도로 <혹문>이라 하여 그 뒤에 첨부하었다.



.........................................................................................
然 後 에    此 書 之 旨 이    支 分 節 解 하여    脈 絡 貫 通 하고    詳 略 相 因 하며    巨 歲 畢 擧 하여    而 凡 諸 說 之 同 異 得 失 이    亦 得 以 曲 暢 旁 通 하야    而 各 極 其 趣 하니    雖 於 道 通 之 傳 에    不 敢 妄 議 어니와   然 이다    初 學 之 士 이    或 有 取 焉 이면    則 亦 庶 乎 行 遠 升 高 之 一 助 云 爾 니라
*絡- 이을 락.             *曲暢- 상세히 통찰함.       *旁- 곁 방. 두루 방.
*妄- 거짓 망. 앙령 망. *庶- 무리 서. 바라건대 서. *爾- 너 이.  뿐 이.

그러한 뒤에야 이책의 취지가 가지마다 나뉘고 마디마다 풀려서 맥락이 관통하고, 상세함과 간략함이 서로 원인이 되고, 크고 작은 것이 모두 들리게 되고, 무릇 모든 학설의 동이(同異)와 득실(得失) 역시 상세히 통찰하여 사방이 통하여 각기 그 취지를 다하니, 비록 도통(道通)의 전수로부터 감히 망령되이 논의할 수는 없으나 그러나 처음 배우는 선비가 혹시 거기에서 취할 것이 있다면, 역시 먼 곳에 가고, 높은 곳에 오르는 데 하나의 도움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淳 熙 己 酉 春 三 月 戌 申 에     新 安 朱 熹 는   序 하노라
*淳熙- 남송 효종(1189년; 고려 34대 명종 19년)의 연호로 주희의 나이 60세 때임.

순희 기유 춘3월 무신에 신안 주희는 서문을 짓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中庸 ~ 右第十章.  (0) 2010.01.28
[스크랩] 중용(中庸)-1 역주  (0) 2010.01.28
[스크랩] (中庸)- 讀中庸法  (0) 2010.01.28
[스크랩] 中庸章句序 1.  (0) 2010.01.28
[스크랩] 中庸章句序 2  (0) 201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