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송인섭의 공부 병법] 시간활용 완전정복 [송인섭의 공부 병법] 시간활용 완전정복 [2007.09.18 17:37] 방과 후 스케줄이 바이올린 레슨으로 채워진 주연(가명). 남들 다 하는 학과 공부에 실기 연습까지 감당해야 하는 주연이에게 시간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자원'이다. 숨겨진 금광은 자투리 시간. 색색깔 형광펜에 교과서, 문제집, 연습장까지 제..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6
[스크랩] [송인섭의 공부 병법] 내신성적 올리기 [송인섭의 공부 병법] 내신성적 올리기 [2007.10.02 18:24] 고교생 형연(가명)은 우등생에 인기 만점. 특별 활동에도 적극적인 팔방미인이다. 적어도 중학교 때까지는 그랬다. 고교 진학 후 형연의 학교 성적은 하향곡선을 긋기 시작했다. 벼락치기로 상위권 유지가 가능했던 중학교 때와 달리 고교 과정은 ..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6
[스크랩] [송인섭의 공부 병법] 우등생은 다 아는 수학 금기 7가지 [송인섭의 공부 병법] 우등생은 다 아는 수학 금기 7가지 [2007.09.04 17:46] 수학 우등생에겐 금기지만 수학 열등생들은 오늘도 반복하는 그런 공부법이 있다. 우등생만 아는 수학 필패(必敗)의 공부법은 과연 뭘까. ①수학 공식 많이 외울수록 좋다 너무 많이 알아서 병 되는 게 수학 공식이다. 기본 공식을..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6
[스크랩] [이원영 교수의 무릎교육법] 영·유아 장난 꾸중 말고 호기심 갖게 ...중요 [이원영 교수의 무릎교육법] 영·유아 장난 꾸중 말고 호기심 갖게 하는게 중요 37개월인 외손자 동연이는 엄마 화장대에 놓여있는 화장품을 만져보려고 호시탐탐 기회를 노렸다. 그럴 때마다 엄마는 "동연아, 그거 만지지 마"라며 못하게 했고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으로 물건들을 옮겨 두었다. 엄마..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6
[스크랩] 9세까지는 칭찬 11세때부턴 꾸중 `뇌` 똑똑해진다 9세까지는 칭찬 11세때부턴 꾸중 '뇌' 똑똑해진다 "9세까지는 칭찬하고 11세 때부터 꾸짖어라." 9세 아동에게는 "잘했다"는 식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대해주고, 11세 아동에게는 "이렇게 하면 안 된다"는 식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대해주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라이덴대..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6
[스크랩] [송인섭의 공부 병법] 공부 잘하는 학생의 특징 [송인섭의 공부 병법] 공부 잘하는 학생의 특징 공부는 맞은 것과 틀린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공부를 한다는 것은 모르는 것을 이해하고 기억함으로써 현재 학습한 지식을 학습자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학생들이 자주 잊어버리곤 하는 사실이다. 공부를 잘..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6
[스크랩] 교육정보/ 과목별 도우미 사이트 모음 ※클릭☞ 하시면, 새창에서 열립니다!※ 검색엔진 국어 수학 사회/역사 에듀모아 야후 꾸러기 다음 꿈나무 엠파스 어린이 심마니 구글 미스다찾니 알타비스타 네띠앙 마이서치 HanMir 주니어네이버 엠파스 초등교육길라잡이 어린이를 위한 공간 초등교과학습 키즈에버랜드 보물섬 자료실 청와대어린..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3
[스크랩] 엄청난링크 학생있으신분들 스크랩하세요 즐거운 재량시간 http://cont112.edunet4u.net/2002/~leey1012/ 기념일을 찾아서 떠나자! http://cont111.edunet4u.net/2002/sizechoi/ 다양한 나라 다양한 친구들 http://cont111.edunet4u.net/2002/hgdw11/ 도자기와 천연염색 http://cont111.edunet4u.net/2002/geoinang/ 만화로 배우는 삼강행실도(효자편) http://cont112.edunet4u.net/2002/~hys4/ 스스로 학습하..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10.03
[스크랩] 왕따에 대하여.........(우린 필요없는데) [서울신문]‘혹시 우리 아이도…?’ 해마다 새 학기가 되면 집단따돌림(속칭 왕따)을 걱정하는 학부모들이 적지 않다. 우리 아이는 내성적이고 수줍음을 잘 타는데, 친구들보다 한 살 어린데 등 이유도 여러 가지다. 그러나 그리 걱정할 일은 아니다. 대부분의 집단따돌림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일시적.. 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2008.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