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1 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公孫朝 衛大夫
衛公孫朝問於子貢曰仲尼焉學(위공손조문어자공왈중니언학)고 :
위나라 공손조가 자공에게 묻기를, “중니는 어디서 배웠는가.”고 하니
19-22-2 子貢曰 文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 識其大者 不賢者 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 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文武之道 謂文王武王之謨訓功烈 與凡周之禮樂文章 皆是也 在人 言人有能記之者 識記也
子貢曰文武之道未墜於地(자공왈문무지도미추어지)하며 :
자공이 대답하기를, “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아 .
在人(재인)이라 : 사람에게 남아 있으니
賢者(현자)는 : 어진 이는
識其大者(식기대자)하고 : 그 큰 것을 기록하고 (지기대자)
不賢者(불현자)는 : 어질지 못한 이는
識其小者(지기소자)하여 : 그 작은 것을 기록함에
莫不有文武之道焉(막불유문무지도언)하니 :
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닌 것이 없으니
夫子焉不學(부자언불학)이시며 : 선생님께서는 어디선들 배우지 아니하겠으며
而亦何常師之有(이역하상사지유)시리오 :
또한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겠는가.”고 하였다
識 ㉠알다 ㉡지식 ㉢식견 ㉣친분 ⓐ적다 (지) ⓑ기록하다 (지) ⓒ표시하다 (지) ⓓ표지 (지) ⓔ깃발 (치). 常 ㉠떳떳하다 ㉡항상 ㉢늘 ㉣일찍(嘗) ㉤상사람 ㉥범상.謨 꾀 모.㉠꾀 ㉡꾀하다 ㉢없다.訓 가르칠 훈.㉠가르치다 ㉡따르다 ㉢새기다 ㉣새김 ㉤가르침 ㉥훈.功 ㉠공 ㉡공적 ㉢보람 ㉣상복 ㉤공치사하다 烈 매울 렬.㉠맵다 ㉡(기세가)대단하다 ㉢사납다 ㉣포악하다 ㉤굳세다 ㉥강하다 ㉦세차다 ㉧빛나다 ㉨불사르다 ㉩아름답다 ㉪밝다 ㉫공덕 ㉬편오(5명의 대오) ㉭나머지 ㉭큰 사업.
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 朝, 音潮. 焉, 於虔反. ○公孫朝, 衛大夫.
子貢曰: 「文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
識, 音志. 下焉字, 於虔反. ○文武之道, 謂文王̖ 武王之謨訓功烈, 與凡周之禮樂文章皆是也. 在人, 言人有能記之者. 識, 記也.
19-23-1 叔孫武叔 語大夫於朝曰 子貢 賢於仲尼
武叔 魯大夫 名州仇
叔孫武叔(숙손무숙)이 : 손숙무숙이
語大夫於朝曰子貢賢於仲尼(어대부어조왈자공현어중니)하니라 :
조정에서 대부에게 말하기를, “자공이 중니보다 어질다고 본다.”고 하였다.
19-23-2 子服景伯 以告子貢 子貢曰 譬之宮牆 賜之牆也及肩 竅見室家之好
牆卑室淺
子服景伯(자복경백)이 : 잡족경백이
以告子貢(이고자공)한대 : 자공에게 고했더니
子貢曰譬之宮牆(자공왈비지궁장)컨대 : 자공이 말하기를, “궁실 담에 비유한다면
賜之牆也(사지장야)는 : 나의 담은
及肩(급견)이라 : 어께에 미쳐서
窺見室家之好(규견실가지호)어니와 : 집안의 좋은 것을 엿볼 수 있으려니와
宮牆 궁성(宮城) : 宮墻. 牆 담 장.㉠담 ㉡경계 ㉢관의 옆널.賜 줄 사.㉠주다 ㉡하사하다 ㉢하사한 물건. 肩 어깨 견.㉠어깨 ㉡세 살 먹은 짐승 ㉢곧다 ㉣견디다.窺見 규견(規見). 엿봄. 규시(窺視).室家 ①집 ②주거(住居) ③가정(家庭) ④일가(一家)
19-23-3 夫子之牆 數? 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 百官之富
七尺曰? 不入其門 則不見其中之所有 言牆高而宮廣也
夫子之牆(부자지장)은 : 부자의 담은
數仞(수인)이라 : 몇 길이나 높아서
不得其門而入(불득기문이입)이면 : 그 분을 들어가지 않으면
不見宗廟之美(불견종묘지미)와 : 종묘의 아름다움과
百官之富(백관지부)니 : 백관의 호화한 것을 볼 수 없는 것이다.”고 하였다.
仞 길 인.㉠길다 ㉡재다 ㉢깊다 ㉣높다 ㉤차다 ㉥채우다 ㉦알다.
19-23-4 得其門者 或寡矣 夫子之云 不亦宜乎
此夫子 指武叔
得其門者或寡矣(득기문자혹과의)니 : 그 문에 들어간 사람은 적으니
夫子之云(부자지운)이 : 무숙의 한 말이
不亦宜乎(불역의호)아 : 또한 마땅치 않겠는가.”고 하였다.
寡 적을 과.㉠적다 ㉡작다 ㉢홀어미 ㉣나(王侯의 자칭) ㉤늙은 과부 ㉥왕후의 자칭
叔孫武叔語大夫於朝, 曰: 「子貢賢於仲尼. 」
語, 去聲. 朝, 音潮. ○武叔, 魯大夫, 名州仇.
子服景伯以告子貢. 子貢曰: 「譬之宮牆, 賜之牆也及肩, 窺見室家之好.
牆卑室淺.
夫子之牆數仞, 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 百官之富.
七尺曰仞. 不入其門, 則不見其中之所有, 言牆高而宮廣也.
得其門者或寡矣. 夫子之云, 不亦宜乎! 」 此夫子, 指武叔.
19-24-1 叔孫武叔 毁仲尼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 不可毁也 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踰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 人雖欲自絶 其何傷於日月乎 多見其不知量也
無以爲 猶言無用爲此 土高曰丘 大阜曰陵 日月 喩其至高 自絶謂以謗毁自絶於孔子 多 與祇同 適也 不知量 謂不自知其分量也
叔孫武叔(숙손무숙)이 : 숙손무숙이
毁仲尼(훼중니)어늘 : 중니를 헐뜯어 말하니
子貢曰無以爲也(자공왈무이위야)하라 : 자공이 말하기를, “방법이 없다
仲尼(중니)는 : 중니는
不可毁也(불가훼야)니 : 가이 헐뜻을 수 없다
他人之賢者(타인지현자)는 : 다른 사람의 어진 것은
丘陵也(구릉야)라 : 언덕과 같아서
猶可踰也(유가유야)어니와 : 넘을 수 있지마는
仲尼(중니)는 : 중니는
日月也(일월야)라 : 해와 달이라
無得而踰焉(무득이유언)이니 : 아무도 넘을 수 없다
人雖欲自絶(인수욕자절)이나 : 사람이 비록 일월을 끊으려 한들
其何傷於日月乎(기하상어일월호)리오 : 어떻게 일월을 손상하겠는가
多見其不知量也(다견기불지량야)로다 :
마치 자기의 헤아림을 깨닫지 못하는 것을 자주 드러낼 뿐이다
毁 헐 훼.㉠헐다 ㉡비방하다 ㉢야위다 ㉣상처를 입히다 ㉤무찌르다. 踰 넘을 유.㉠넘다 ㉡지나가다 ㉢뛰다 ㉣더욱 ⓐ멀다 (요).量 ㉠헤아리다 ㉡추측하다 ㉢달다 ㉣재다 ㉤되다 ㉥가득차다 ㉦양 ㉧분량 ㉨용기 ㉩용적 ㉪기량 ㉫성격 ㉬재능 ㉭되.
無以爲 猶言無用爲此 土高曰丘 大阜曰陵 日月 喩其至高 自絶謂以謗毁自絶於孔子 多 與祇同 適也 不知量 謂不自知其分量也
阜 언덕 부.㉠언덕 ㉡성하다 ㉢성하게 하다 ㉣살찌다 ㉤크다 ㉥크게 하다 ㉦많다 ㉧자라다.陵 언덕 릉.喩 ㉠깨우치다 ㉡깨닫다 ㉢비유하다 ㉣좋아하다 ㉤비유.謗 헐뜯을 방.㉠헐뜯다 ㉡헐뜯는 말. 祇 땅 기㉠땅 귀신 ㉡편안하다 ㉢크다 ⓐ마침 (지) ⓑ다만 (지)
叔孫武叔毁仲尼.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 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踰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 人雖欲自絶, 其何傷於日月乎? 多見其不知量也! 」
量, 去聲. ○無以爲, 猶言無用爲此. 土高曰丘, 大阜曰陵. 日月, 踰其至高. 自絶, 謂以謗毁自絶於孔子. 多, 與祗同, 適也. 不知量, 謂不自知其分量.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子張 第十九 - 13.14.15.16.17 (0) | 2010.01.28 |
---|---|
[스크랩] 子張 第十九 - 18.19.20.21 (0) | 2010.01.28 |
[스크랩] 子張 第十九 - 25 終 (0) | 2010.01.28 |
[스크랩] 堯曰 第二十 (0) | 2010.01.28 |
[스크랩] 堯曰 第二十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