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7-1 子夏曰 百工居肆 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肆謂官府造作之處 致 極也 工不居肆 則遷於異物而業不精 君子不學 則奪於外誘而志不篤 尹氏曰 學所以致其道也 百工居肆 必務成其事 君子之於學 可不知所務哉 愚按 二說相須 其義始備
子夏曰百工居肆(자하왈백공거사)하여 : 자하가 이르기를, “모든 기술자는 공장에서
以成其事(이성기사)하고 : 그 일을 이루고
君子學(군자학)하여 : 군자는 배워서
以致其道(이치기도)니라 : 그 도를 이룬다.”고 하였다.
肆 ㉠방자하다 ㉡늘어놓다 ㉢늦추다 ㉣시험하다 ㉤곧다 ㉥찌르다 ㉦마굿간 ㉧가게 ㉨넉 ㉩드디어.官府 조정(朝廷)이나 정부(政府)를 이르던 말. 造作 ①물건(物件)을 지어서 만듦 ②일부러 무엇과 비슷하게 만듦 ③일을 꾸미어 만듦.遷 ㉠옮기다 ㉡천도
工 장인 공.㉠장인 ㉡공업 ㉢벼슬아치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 ㉤공교하다(工巧--: 솜씨나 꾀 따위가 재치가 있고 교묘하다) ㉥만들다.精 정할 정.㉠정하다 ㉡찧다 ㉢정성스럽다 ㉣깨끗하다 ㉤세밀하다 ㉥정기 ㉦정액 ㉧도깨비.誘 꿜 유.㉠꾀다 ㉡가르치다 ㉢달래다 ㉣꾐.須 ㉠모름지기 ㉡수염 ㉢필요하다 ㉣잠깐 .
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
肆, 謂官府造作之處. 致, 極也. 工不居肆, 則遷於異物而業不精. 君子不學, 則奪於外誘而志不篤. 尹氏曰: 「學所以致其道也. 百工居肆, 必務成其事. 君子之於學, 可不知所務哉? 」 愚按: 二說相須, 其義始備.
19-08-1 子夏曰 小人之過也 必文
文 飾之也 小人憚於改過 而不憚於自欺 故 必文以重其過
子夏曰小人之過也(자하왈소인지과야)는 : 자하가 이르기를, “소인은 허물을 범하면
必文(필문)이니라子 : 반드시 좋도록 꾸민다.”고 하였다.
19-09-1 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 卽之也溫 聽其言也?
儼然者 貌之莊 溫者 色之和 ?者 辭之確 ○ 程子曰 他人 儼然則不溫 溫則不? 惟孔子全之 謝氏曰 此非有意於變 蓋竝行而不相悖也 如良玉溫潤而栗然
夏曰君子有三變(하왈군자유삼변)하니 : 자하가 이르기를,
“군자의 모습에 세 가지 변하는 것이 있는데 .
望之儼然(망지엄연)하고 : 멀리서 바라보면 엄연하고
卽之也溫(즉지야온)하고 : 가까이 나아가면 온화하고
聽其言也厲(청기언야려)하니라 : 그 말을 들으면 확실한 것이다.”고 하였다
儼然 ①겉 모양(模樣)이 장엄(莊嚴)하고 엄숙(嚴肅)한 모양(模樣) ②아무리 해도 움직일 수 없는 모양(模樣) ③현상(現象)이 뚜렷하여 누구도 감히 부인(否認)할 수 없음.儼 엄연할 엄.㉠엄연하다 ㉡의젓하다 ㉢근엄하다 ㉣공손하다 ㉤공근하다 ㉥삼가다.望 바랄 망.㉠바라다 ㉡바라보다 ㉢원망하다 ㉣보름.卽 ㉠곧 ㉡이제 ㉢만약 ㉣나아가다 ㉤가까이 하다 ㉥불똥. 厲 갈 려.㉠갈다 ㉡괴롭다 ㉢힘쓰다 ㉣높다 ㉤사납다 ㉥위태롭다 ㉦빠르다 ㉧맑다 ㉨미워하다 ㉩화 ㉪좋지 않은 일 ㉫귀신 ㉬숫돌 ㉭문둥병 ⓐ문둥병 (라) ⓑ문둥이 (라)栗 밤 율.㉠밤 ㉡밤나무 ㉢여물 ㉣단단하다 ㉤공손하다 ㉥엄하다 ㉧춥다 ㉨건너뛰다 ㉩떨다.
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 卽之也溫, 聽其言也厲. 」
儼然者, 貌之莊. 溫者, 色之和. 厲者, 辭之確.
○程子曰: 「他人儼然則不溫, 溫則不厲, 惟孔子全之. 」 謝氏曰: 「此非有意於變, 蓋並行而不相悖也, 如良玉溫潤而栗然. 」
19-10-1 子夏曰 君子信而後 勞其民 未信則以爲?己也 信而後諫 未信則以爲謗己也
信 謂誠意惻달而人信之也 ? 猶病也 事上使下 皆必誠意交孚而後 可以有爲
子夏曰君子(자하왈군자)는 : 자하가 이르기를, “군자는
信而後勞其民(신이후로기민)이니 : 미덥게 한 뒤에 그 백성을 부려야 할 것이니
未信則以爲厲己也(미신칙이위려기야)니라 :
믿음이 없이 일을 시키면 자기를 해친다고 할 것이니
信而後諫(신이후간)이니 : 믿음 없이 충고하면 믿은후에 간해야.
未信則以爲謗己也(미신칙이위방기야)니라 :
믿지 못하고 자기를 비난한다고 할 것이다.”고 하였다
謗 헐뜯을 방.㉠헐뜯다 ㉡헐뜯는 말.
惻怛(측달) 불쌍히 여기어 슬퍼함 .惻 슬플 측.㉠슬퍼하다 ㉡가엾게 여기다 怛 슬플 달.㉠슬프다 ㉡놀라다 ㉢애태우다.
子夏曰: 「君子信而後勞其民, 未信則以爲厲己也; 信而後諫, 未信則以爲謗己也. 」
信, 謂誠意惻怛而人信之也. 厲, 猶病也. 事上使下, 皆必誠意交孚, 而後可以有爲.
19-11-1 子夏曰 大德不踰閑 小德 出入可也
大德 小德 猶言大節小節 閑 ?也 所以止物之出入 言人能先立乎其大者 則小節 雖或未盡合理 亦無害也 ○ 吳氏曰 此章之言 不能無弊 學者詳之
子夏曰大德(자하왈대덕)이 : 자하가 이르기를, “큰 덕이
不踰閑(불유한)이면 : 법도를 넘지 아니하면 넘고 막지않으면
小德(소덕)은 : 작은 덕은
出入(출입)이라도 : 나고 들더라도
可也(가야)니라 : 좋을 것이다.”고 하셨다.
踰 넘을 유.㉠넘다 ㉡지나가다 ㉢뛰다 ㉣더욱 ⓐ멀다 (요) .閑 한가할 한.㉠한가하다 ㉡등한하다 ㉢막다 ㉣닫다 ㉤마굿간 ㉥법(도) ㉦익다(熟習) ㉧틈.闌 가로막을 란.㉠가로막다 ㉡방지하다 ㉢쇠퇴하다 ㉣다하다 ㉣저물다 ㉤잃다 ㉥늦다 ㉦드물다 ㉧문에 가로질러 출입을 차단하는 나무 ㉨난간 ㉩병가 ㉪한창 ㉫함부로.
子夏曰: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 」
大德̖ 小德, 猶言大節̖ 小節. 閑, 闌也, 所以止物之出入. 言人能先立乎其大者, 則小節雖或未盡合理, 亦無害也.
○吳氏曰: 「此章之言, 不能無弊. 學者詳之. 」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子張 第十九 - 1.2.3 (0) | 2010.01.28 |
---|---|
[스크랩] 子張 第十九 - 4.5.6 (0) | 2010.01.28 |
[스크랩] 子張 第十九 - 12 (0) | 2010.01.28 |
[스크랩] 子張 第十九 - 13.14.15.16.17 (0) | 2010.01.28 |
[스크랩] 子張 第十九 - 18.19.20.21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