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9-1 大師摯 適齊
大師 魯樂官之長 摯 其名也
大師摯(대사지)는 : 태사 지는
適齊(적제)하고 : 제나라로 가고
大師 :태사(太師).摯 잡을 지.㉠잡다 ㉡이르다 ㉢올리다 ㉣지극하다 ㉤사납다 ㉥폐백.
18-09-2 亞飯干 適楚 三飯? 適蔡 四飯缺 適秦
亞飯以下 以樂侑食之官 干?缺 皆名也
亞飯干(아반간)은 : 아반이었던 간은
適楚(적초)하고 : 초나라로 가고
三飯繚(삼반료)는 : 삼반이었던 요는
適蔡(적채)하고 : 채나라로 가고
四飯缺(사반결)은 : 사반이었던 결은
適秦(적진)하고 : 진나라로 가고
侑食(유식) ①어른을 모시고 식사(食事)를 함 ②음악(音樂) 등을 연주(演奏)하여 식사(食事)를 즐겁게 하도록 도움.侑 권할 유.㉠권하다 ㉡돕다 ㉢배식하다 ㉣용서하다 ㉤갚음.
大師摯適齊, 大, 音泰. ○大師, 魯樂官之長. 摯, 其名也.
亞飯干適楚, 三飯繚適蔡, 四飯缺適秦. 飯, 扶晩反. 繚, 音了. ○亞飯以下, 以樂侑食之官. 干̖ 繚̖ 缺, 皆名也.
18-09-3 鼓方叔 入於河
鼓 擊鼓者 方叔名 河河內
鼓方叔(고방숙)은 : 북을 치는 방숙은
入於河(입어하)하고 : 하내로 들어가고
擊鼓(격고)북을 두드림.河內 하남성(河南省) 黃河(황하) 이북(以北) 땅의 총칭(總稱)
18-09-4 播?武 入於漢
播 搖也 ? 小鼓 兩旁有耳 持其柄而搖之 則旁耳還自擊 武 名也 漢 漢中
播鼗武(파도무)는 : 소고를 흔드는 무는
入於漢(입어한)하고 : 한중으로 들어가고
播 뿌릴 파.㉠뿌리다 ㉡달아나다 ㉢퍼뜨리다 ㉣베풀다 ㉤까불다 鼗 땡땡이 도.㉠땡땡이(북자루를 잡고 돌리면 양쪽 끝에 단 구슬이 북면을 치게 만든 북).旁 곁 방.㉠곁 ㉡널리 ㉢방(한자의 오른쪽) ㉣기대다 ⓐ달리다 (팽). 柄 자루 병.㉠자루(기구의 손잡이) ㉡근본 ㉢권세 .
18-09-5 小師陽 擊磬襄 入於海
少師陽(소사양)과 : 소사인 양과
擊磬襄(격경양)은入 : 경쇠를 치는 양은
於海(어해)하니라 : 바다섬으로 들어갔다
磬 경쇠경.㉠경쇠(옥이나 돌로 만든 악기의 한 가지) ㉡경석 ㉢목메다 ㉣굽다 ㉤굽히다 ㉥달리다 ㉦다하다
少師 樂官之佐 陽 襄 二人名 襄 卽孔子所從學琴者 海 海島也 ○ 此 記賢人之隱遁 以附前章 然 未必夫子之言也 末章放此 張子曰 周衰樂廢 夫子自衛反魯 一嘗治之 其後 伶人賤工 識樂之正 及魯益衰 三桓僭妄 自大師以下皆知散之四方 逾河蹈海以去亂 聖人俄頃之助 功化如此 如有用我 期月而可 豈虛語哉
佐 도울 좌.㉠돕다 ㉡도움 ㉢속료(속관).琴 거문고 금.隱遁 은둔. 伶人 악공(樂工)과 광대. 伶 영리할 영.㉠영리하다 ㉡외롭다 ㉢하인 ㉣악공 ㉤노리개.賤工 천한 일을 하는 장색 .僭 주제넘을 참.㉠주제넘다 ㉡참람하다 ㉢분에 넘치다 ㉣참소 ㉤거짓 ㉥어그러지다 妄 ㉠망령되다 ㉡허망하다 ㉢무릇 ㉣거짓 .逾 넘을 유.㉠넘다 ㉡지나다 ㉢더욱.蹈 밟을 도.㉠밟다 ㉡슬퍼하다(悼).俄頃(아경) ①조금 있다가. 아간(俄間) ②아까. 俄 아까 아.㉠아까 ㉡갑자기 ㉢잠시 ㉣기울다 頃 이랑 경.㉠이랑(밭 넓이 단위,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잠깐 ㉢이마적 ㉣잠시 ㉤근자에 ㉥기울다 ⓐ반걸음 (규).期月 ①정한 기간(期間)의 달 ②온 한 달. 만 한 달.
播鼗武入於漢, 鼗, 徒刀反.
○播, 搖也. 鼗, 小鼓. 兩旁有耳, 持其柄而搖之, 則旁耳還自擊. 武, 名也. 漢, 漢中.
少師陽̖ 擊磬襄入於海.
少, 去聲. ○少師, 樂官之佐. 陽̖ 襄, 二人名. 襄卽孔子所從學琴者. 海, 海島也. ○此記賢人之隱遯以附前章, 然未必夫子之言也. 末章放此. 張子曰: 「周衰樂廢, 夫子自衛反魯, 一嘗治之. 其後伶人賤工識樂之正. 及魯益衰, 三桓僭妄, 自大師以下, 皆知散之四方, 逾河蹈海以去亂. 聖人俄頃之助, 功化如此. 如有用我, 期月而可. 豈虛語哉? 」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微子 第十八 -7 (0) | 2010.01.28 |
---|---|
[스크랩] 微子 第十八 - 8 (0) | 2010.01.28 |
[스크랩] 微子 第十八 - 10.11 終 (0) | 2010.01.28 |
[스크랩] 子張 第十九 (0) | 2010.01.28 |
[스크랩] 子張第十九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