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1 子路從而後 遇丈人 以杖荷? 子路問曰 子見夫子乎 丈人曰四體不勤 五穀不分 孰爲夫子 植其杖而芸
丈人 亦隱者 ? 竹器 分 辨也 五穀不分 猶言不辨菽麥爾 責其不事農業而從師遠游也 植 立之也 芸 去草也
子路從而後(자로종이후)러니 : 자로가 공자를 따라 뒤에 가다가
遇丈人以杖荷蓧(우장인이장하조)하여 : 지팡이에 대그릇을 맨 장인을 만나
子路問曰子見夫子乎(자로문왈자견부자호)아 : 자로가 묻기를,
“노인은 우리 선생님을 보았습니까.”고 하니
丈人曰四體不勤(장인왈사체불근)하며 : 장인이 말하기를,
“사체를 삼가지 못하며
五穀不分(오곡불분)하나니 : 오곡을 분별지 못하는데
孰爲夫子(숙위부자)오하고 : 누가 선생이냐.”고 하고
植其杖而芸(식기장이운)하더라 : 지팡이를 꽃고 김을 매었다
荷 멜 하.㉠메다 ㉡연 ㉢짐 ㉣화물.五穀 다섯 가지 곡식(穀食). 곧 쌀, 보리, 조, 콩, 기장. 곡식(穀食)을 통틀어 일컫는 말.芸 향풀 운.㉠향풀 ㉡운향(시의 신비로운 운치와 음조) ㉢김매다 ㉣많다.植 심을 식.㉠심다 ㉡세우다 ㉢수립하다 ㉣식물 ⓐ두다 (치) ⓑ감독 (치).菽麥(숙맥) ①콩과 보리 ②숙맥 불변(不辨)菽 콩 숙.麥 보리 맥.菽麥不辨(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 분별(分別)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
子路從而後, 遇丈人, 以杖荷蓧. 子路問曰: 「子見夫子乎? 」 丈人曰: 「四體不勤, 五穀不分. 孰爲夫子? 」 植其杖而芸.
蓧, 徒弔反. 植, 音値. ○丈人, 亦隱者. 蓧, 竹器. 分, 辨也. 五穀不分, 猶言不辨菽麥爾, 責其不事農業而從師遠遊也. 植, 立之也. 芸, 去草也.
18-07-2 子路拱而立
知其隱者 敬之也
子路拱而立(자로공이립)한대 : 자로가 공손하게 섰더니
拱 팔장낄 공.㉠팔짱끼다 ㉡두 손을 마주 잡다 ㉢아름 .
18-07-3 止子路宿 殺鷄爲黍而食之 見其二子焉 明日子路行以告 子曰隱者也 使子路反見之 至則行矣
孔子使子路反見之 蓋欲告之以君臣之義 而丈人意子路必將復來 故 先去之 以滅其跡 亦接輿之意也
止子路宿(지자로숙)하여 : 노인은 자로를 머물러 묵게 하고
殺雞爲黍而食之(살계위서이식지)하고 : 닭을 잡고 기장밥을 지어 먹이고
見其二子焉(견기이자언)이어늘 : 그 두 아들을 뵙게 하였다
明日(명일)에 : 다음날
子路行(자로행)하여 : 자로가 떠나와서
以告(이고)한대 : 공자께 고하니
子曰隱者也(자왈은자야)라하시고 :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은둔로다.”고 하고
使子路反見之(사자로반견지)러시니 : 자로로 하여금 다시 돌이가 보게 하시어
至則行矣(지칙행의)러라 : 가본즉 그는 떠나버렸다
黍 기장 서. 鷄黍(계서) 닭을 잡아서 더운 국물을 만들고 기장밥을 지어 대접(待接)한다는 뜻에서, 사람을 대접(待接)하는 일.滅 꺼질 멸.㉠(불이)꺼지다 ㉡멸하다 ㉢멸망하다 ㉣없어지다 ㉤다하다 ㉥죽다 ㉦빠지다 ㉧열반.
子路拱而立. 知其隱者, 敬之也.
止子路宿, 殺雞爲黍而食之, 見其二子焉. 食, 音嗣. 見, 賢遍反.
明日, 子路行以告. 子曰: 「隱者也. 」 使子路反見之. 至則行矣.
孔子使子路反見之, 蓋欲告之以君臣之義. 而丈人意子路必將復來, 故先去之以滅其跡, 亦接輿之意也.
18-07-3 子路曰 不仕無義 長幼之節 不可廢也 君臣之義 如之何其廢之 欲潔其身而亂大倫 君子之仕也 行其義也 道之不行 已知之矣
子路曰不仕無義(자로왈불사무의)하니 : 자로가 그 집 사람에게 말하기를,
“벼슬하지 않으면 의가 없어질 것이다.
長幼之節(장유지절)을 : 장유의 예절도
不可廢也(불가폐야)니 : 폐하지 못하거늘
君臣之義(군신지의)를 : 군신의 의를
如之何其廢之(여지하기폐지)리오 : 어찌 폐하겠는가
欲潔其身而亂大倫(욕결기신이란대륜)이로다 :
자기의 몸을 정결케 하고자 하여 도리어 큰 인륜을 어지럽게 함이로다
君子之仕也(군자지사야)는 : 군자가 벼슬을 하는 것은
行其義也(행기의야)니 : 그 의를 행하고자 한 것이니
道之不行(도지불행)은 : 도가 행해지지 못할 것은
已知之矣(이지지의)시니라 : 우리도 이미 알고 있다.”고 하였다.
子路述夫子之意如此 蓋丈人之接子路甚倨 而子路益恭 丈人因見其二子焉 則於長幼之節 固知其不可廢矣 故 因其所明以曉之 倫 序也 人之大倫 有五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是也 仕 所以行君臣之義 故 雖知道之不幸 而不可廢 然 謂之義 則事之可否 身之去就 亦自有不可苟者 是以 雖不潔身以亂倫 亦非忘義以徇祿也 福州 有國初時 寫本 路下 有反子二字 以此爲子路反而夫子言之也 未知是否
倨 거만할 거.㉠거만하다 ㉡걸터앉다(=踞) ㉢굽다.長幼 어른과 어린이.曉 새벽 효.㉠새벽 ㉡깨닫다 ㉢타이르다 ㉣밝다 ㉤사뢰다.殉 따라 죽을 순.㉠따라 죽다 ㉡구하다 ㉢경영하다 ㉣바치다 ㉤순사하다.徇 돌 순.㉠돌다(순행하다) ㉡쫓다(殉) ㉢두르다 ㉣경영하다 ㉤부리다 ㉥빠르다
子路曰: 「不仕無義. 長幼之節, 不可廢也; 君臣之義, 如之何其廢之? 欲潔其身, 而亂大倫. 君子之仕也, 行其義也. 道之不行, 已知之矣. 」
長, 上聲. ○子路述夫子之意如此. 蓋丈人之接子路甚倨, 而子路益恭, 丈人因見其二子焉. 則於長幼之節, 固知其不可廢矣, 故因其所明以曉之. 倫, 序也. 人之大倫有五: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是也. 仕所以行君臣之義, 故雖知道之不行而不可廢. 然謂之義, 則事之可否, 身之去就, 亦自有不可苟者. 是以雖不潔身以亂倫, 亦非忘義以殉祿也. 福州有國初時寫本, 路下有 「反子」 二字, 以此爲子路反而夫子言之也. 未知是否?
○ 范氏曰 隱者 爲高故 往而不返 仕者 謂通故 溺而不止 不與鳥獸同群 則決性命之情以?富貴 此二者 皆惑也 是以 依乎中庸者爲難 惟聖人 不廢君臣之義而必以其正 所以或出或處而終不離於道也
性命 사람의 천성(天性)과 천명(天命).決 결단할 결.㉠결단하다 ㉡결정하다 ㉢끊다 ㉣끊어지다 ㉤판단하다 ㉥이별하다(=訣) ㉦결코 .饕 탐할 도.㉠탐하다 ㉡욕심이 과도하다 ㉢악한 짐승의 이름.惑 미혹할 혹. 依 의지할 의.㉠의지하다 ㉡전과 같다 ㉢좇다 ㉣따르다 ㉤우거지다 ㉥머릿병풍 ㉦비유.或 혹 혹.㉠혹 ㉡괴이쩍어하다 ㉢존재하다.
○范氏曰: 「隱者爲高, 故往而不反. 仕者爲通, 故溺而不止. 不與鳥獸同吳, 則決性命之情以饕富貴. 此二者皆惑也, 是以依乎中庸者爲難. 惟聖人不廢君臣之義, 而必以其正, 所以或出或處而終不離於道也. 」
'이야기테크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微子 第十八 - 4.5 (0) | 2010.01.28 |
---|---|
[스크랩] 微子 第十八 - 6. (0) | 2010.01.28 |
[스크랩] 微子 第十八 - 8 (0) | 2010.01.28 |
[스크랩] 微子 第十八 - 9 (0) | 2010.01.28 |
[스크랩] 微子 第十八 - 10.11 終 (0) | 2010.01.28 |